항목
-
땅과 관련된 우리말, 둔치뜻과 해설 기본 뜻 강, 호수 등 물가의 가장자리나 둔덕진 곳. 둔치는 예전의 '고수부지(高水敷地)'라는 어려운 한자말을 제치고 훌륭하게 되살아난 우리말이지요. 언뜻,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둔치는 눅눅한 모래흙에 무성한 잡풀이 우거져 있어서 마치 쓸모없이 버려진 땅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생태계에 무척 중요한 ...
-
-
-
-
-
-
-
고수부지 高水敷地부지(敷地)’는 비어 있는 터나 빈 땅을 가리키는 일본어이다. 바뀐 뜻 고수부지는 일본식 조어(造語)이므로 같은 뜻을 가진 우리말 ‘둔치’로 바꿔 쓰는 것이 좋겠다. ‘둔치’는 ‘물가의 언덕, 또는 강이나 호수 등 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보기글 ㆍ우리말을 아끼고 살려 써야 할 언론에서도...
- 유형 :
- 일본어에서 온 말
-
-
이형호군 유괴 살해 사건않았다. 유괴범은 메모지나 통장개설신청서에도 지문을 남기지 않았다. 은행계좌로 돈을 받는 게 어려워지자 유괴범은 이군 아버지에게 양화대교 남단 한강 둔치 인근 철제 박스위에 돈뭉치를 올려놓으라는 메모를 남겼고, 이군 아버지는 경찰과 의논한대로 진짜 돈 10만원에 가짜 돈 뭉치를 섞어 철제박스 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