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일분수 氣一分殊반해 임성주는 이이의 이일분수나 이통기국은 결국 이동기이(理同氣異)의 설로 되기 때문에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의 철학에서 벗어나게 된다고 생각해서 기일분수설을 제창한다. 그는 이 현상계에 존재하는 것은 모두 기의 작용이며, 이는 별도로 기보다 앞서 존재하는 최고의 존재원리가 아니라 기의 분화(分化)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기제 기제사, 忌祭달(음력 2, 5, 8, 11월)에 지내는 사시제(四時祭), 시조에 대한 초조제(初祖祭), 시조 및 고조 이하를 위한 선조제(先祖祭), 아버지에게 올리는 예제(禰祭), 기일에 지내는 기일제(忌日祭), 묘소에서 행하는 묘제(墓祭)가 그것이다. 기일제의 근원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가례집람(家禮輯覽)』의 「제례」에는 “장자...
- 유형 :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 분야 :
- 사회/가족
-
흠영 흠영원본, 欽英개설 24책. 필사본. ‘흠영원본(欽英元本)’ · ‘흠영계징(欽英稽徵)’ · ‘흠영계징원본(欽英稽徵元本)’ · ‘흠영집기(欽英集記)’ · ‘흠영기일(欽英記日)’로도 불린다. 편찬/발간 경위 유만주 사후에 2년간에 걸쳐 벗 임로(任魯)가 주관하여 난초(亂草) 상태의 초고를 정리하였다. 전(全) 25책으로 편찬되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대보단에 모신 세 황제의 기일을 새긴 현판 三皇忌辰日 懸板유물설명 대보단에 향사(鄕祠)하던 명나라 세 황제의 기일을 새긴 현판이다. 5월 10일 태조(太祖), 7월 21일 신종(神宗), 3월 19일 의종(毅宗)의 기일이 새겨져 있다. 현판 좌측에 새겨진 신미년에 해당하는 1751년(영조 27)의 3월 19일 『영조실록』 기사를 보면, 영조가 의종 황제의 기일을 맞아 망배례를 행하고, 5월...
- 분류 :
- 유물 > 현판
- 크기 :
- 가로: 52.2cmcm, 세로: 33.7cmcm
- 재질 :
- 나무 / 피나무
-
-
변론기일 辩论日期, date for pleading소송행위를 위해 법원, 당사자, 그 밖의 소송관계인이 모여 구술로 판결의 기초가 되는 소송자료를 제출하는 날짜를 말함.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은제합은제완금제완, 皇南大塚 北墳 金銀製 그릇 一括내용 197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은제합은 높이 8㎝, 입지름 10㎝, 은제완은 높이 5.5㎝, 입지름 10.5㎝, 금제완은 높이 4.5㎝, 입지름 11㎝.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황남대총은 표주박 모양으로 붙어있는 북분과 남분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그중 북분에서 은제합, 은제완, 금제완 3종 16점이 출토되었다...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꼭 지내야 하는 제사가 있을까요?제사입니다. 그런데 1년에 네 번씩 제사(잔치)를 치르기가 경제적으로 힘이 드니까 1년에 두 번으로 줄였다가 지금은 한 번만 가을 즈음에 하고 있습니다. 기일제사 기제사(忌祭祀)라고 합니다. 그런데 기제사는 공자 시대에는 없었으며, 신유학이 생겨난 시대와 그것을 우리나라에 도입했던 조선시대 이후에 큰 영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