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旗, flag
    어떤 단체나 군대, 관공서, 또는 개인을 상징하기 위해 천 등을 이용해서 만드는 표식.|여러 가지 모양이 있지만 대개는 직4각형이고, 한쪽 면을 깃발끈에 매달아놓는다. 깃대에 닿는 기의 세로폭 부분을 호이스트(hoist)라 하며 가장자리로 향하는 가로폭을 플라이(fly)라고 하는데 보통 플라이가 호이스트의 길이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헝겊·종이 등에 글자·그림·부호 등을 잘 보이도록 그리거나 써서 특정한 표상으로 쓰는 물건.|개설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국가나 군대, 그밖의 여러 단체나 시설, 혹은 선박 등의 표장(標章)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천으로, 일반적으로 정해진 형태·도안·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보통 장방형으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생태계 일반을 두루 관통하고 있는 우주적 생명력.|내용 기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것이 농경사회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사서인 『설문해자(設文解字)』는 기를 운기(雲氣), 즉 구름이라 풀고 있는데, 은·주시대 이전부터 기는 바람이나 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도교
  • 사실을 그대로 적는 한문의 문체.|내용 사물을 객관적인 관찰과 동시에 기록하여 영구히 잊지 않고 기념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글이다. 옛사람이 (記)라고 이름을 한 문장은 너무나 광범하여 일체의 기사문(記事文)과 기물문(記物文)을 포괄하고 있다. 현존하는 기의 문장을 분석하면 인물을 적기도 하고 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한문학
  • 문예사에서 김춘수의 시 「집2」·「갈대」 등 8편을 수록하여 1951년에 간행한 시집.|개설 18.8×25.6(cm), 80면. 1951년 문예사에서 발행하였다. 서문과 발문 없이 후기를 비롯 8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내용 김춘수 시의 시적 지속성과 변이 양상은 존재의미를 탐구한 전기시로부터 무의미를 추구한 중기시와 이를...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기원은 〈서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명칭은 〈예기〉에서 처음 보인다. 기는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잊지 않고 기념하기 위해 기록하는 것이다. 대개 산문으로 쓰였는데, 주제를 기술한 뒤 자신의 소감을 쓰거나 주제와 관계가 있는 글을 토론식으로 엮는 것이 보통이다. 사물이나 사건의 서술에 의론을 덧붙이는 것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氣, ch'i
    중국 철학용어. (병). qi. (웨). ch'i .|보통 미세한 물질(기체)을 가리키며 훗날 물질을 두루 가리키게 되었고 만물생성의 본질로 여겨진다. 예컨대 왕충은 "천지가 를 합쳐서 만물이 스스로 생겨났다"고 했고, 장재는 "필연적으로 가 모여 만물을 이룬다"고 생각했으니 ''란 운명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정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성(姓)의 하나.|본관은 행주 하나뿐이다. 〈행주기씨보〉에 따르면, 기자(箕子)를 선계조라 밝히고 있다. 기자는 은(殷)나라 주왕(紂王)의 태사로 기국의 자작으로 있다가 주(周)나라 무왕의 침입으로 은나라가 정벌되자 5,000여 명을 이끌고 동천하여 기자조선을 세웠다. 그뒤 기자의 41세손인 기준(箕準:哀王)이 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에 대하여 《육서고(六書故)》에서는 채사로 무늬를 짠 것을 금이라고 하고, 소사로 무늬를 짠 것을 기라고 한다고 하였다. 우리 나라의 《삼국사기》에는 통일신라의 직관에 ‘기전(綺典)’이 있는데 이 기전은 경덕왕 때 별금방(別錦房)으로 고쳤다가 다시 그대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역시 기는 금과 어떤 양식에...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역사 사, 歷史
    19세기 말 서양의 히스토리(History)라는 용어의 번역어. 사·감·통감·서·|개설 근대 이후 한국·일본·중국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가 들어오기 전 동양의 역사는 사(史)·감(鑑)·통감(通鑑)·서(書)·(記)라는 용어로 쓰였다. 한편, 사(史)라는 한자의 어원은 객관성을 상징하는 중(中)과 기록...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근대사
  • 기운. 자연현상. 절후(節侯).|6기(六氣) : 하늘과 땅 사이의 6가지 기운. 곧 음(陰), 양(陽), 풍(風), 우(雨), 회(晦, 어둠 또는 밤), 명(明, 밝음 또는 낮). 기절(氣節) : 기후(氣候). 일(日) · 시(時) · (氣) · 후(候) · 절(節) · 연(年) · 세(歲)의 상호 관계 1시(時) = 6기(氣) 1기(氣) = 3후(候) 1년(...
    유형 :
    때나 시간에 관련된 한자
  • 器, ch'i
    중국 철학용어. (병). qi. (웨). ch'i.|형상과 형질이 있는 물체를 가리키며, 형상·형질이 없는 규율이나 법칙과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역경〉의 계사상에서 "형이상이란 도를, 형이하란 를 가리키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여기서 뒤에 말한 ''는 서방 과학기술을 가리킨다. 청말 정관응은 〈성세위언 盛世危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8건

기
기
기
기
기
기
기
기
기(ghi)
기(ch'i )
조선소년군수기
연암집(권14) / 일야구도하기
국군의 날 시가행진 / 군기단
대동굿 / 뱃기 내림
대한독립만세 깃발
마산 농청놀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