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기 旗헝겊·종이 등에 글자·그림·부호 등을 잘 보이도록 그리거나 써서 특정한 표상으로 쓰는 물건. 개설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국가나 군대, 그밖의 여러 단체나 시설, 혹은 선박 등의 표장(標章)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천으로, 일반적으로 정해진 형태·도안·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보통 장방형으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기 氣생태계 일반을 두루 관통하고 있는 우주적 생명력. 내용 기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것이 농경사회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사서인 『설문해자(設文解字)』는 기를 운기(雲氣), 즉 구름이라 풀고 있는데, 은·주시대 이전부터 기는 바람이나 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도교
-
기 記사실을 그대로 적는 한문의 문체. 내용 사물을 객관적인 관찰과 동시에 기록하여 영구히 잊지 않고 기념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글이다. 옛사람이 기(記)라고 이름을 한 문장은 너무나 광범하여 일체의 기사문(記事文)과 기물문(記物文)을 포괄하고 있다. 현존하는 기의 문장을 분석하면 인물을 적기도 하고 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
-
기 旗문예사에서 김춘수의 시 「집2」·「갈대」 등 8편을 수록하여 1951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18.8×25.6(cm), 80면. 1951년 문예사에서 발행하였다. 서문과 발문 없이 후기를 비롯 8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내용 김춘수 시의 시적 지속성과 변이 양상은 존재의미를 탐구한 전기시로부터 무의미를 추구한 중기시와 이를...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
역사 사, 歷史19세기 말 서양의 히스토리(History)라는 용어의 번역어. 사·감·통감·서·기 개설 근대 이후 한국·일본·중국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용어가 들어오기 전 동양의 역사는 사(史)·감(鑑)·통감(通鑑)·서(書)·기(記)라는 용어로 쓰였다. 한편, 사(史)라는 한자의 어원은 객관성을 상징하는 중(中)과 기록...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기 氣기운. 자연현상. 절후(節侯). 6기(六氣) : 하늘과 땅 사이의 6가지 기운. 곧 음(陰), 양(陽), 풍(風), 우(雨), 회(晦, 어둠 또는 밤), 명(明, 밝음 또는 낮). 기절(氣節) : 기후(氣候). 일(日) · 시(時) · 기(氣) · 후(候) · 절(節) · 연(年) · 세(歲)의 상호 관계 1시(時) = 6기(氣) 1기(氣) = 3후(候) 1년(...
- 유형 :
- 때나 시간에 관련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