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동구 共同溝, together ditch전기 ・ 가스 ・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시설,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미관의 개선, 도로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공동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기반시설 중 유통 ・ 공급시설의 하나이며, 반드시 도시 ・ 군관...
- 유형 :
- 도시 ・ 군계획시설
- 관련법령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4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5조의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5조의3,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79조
-
공동구 共同溝, common duct도로 관리자가 2가지 이상의 매설물을 공동 수용할 목적으로 시설하는 길(도랑). 도로의 지하 매설물(전기, 통신, 가스, 수도, 하수도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의 미관, 도로 구조의 보전과 원활한 교통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수용 방법에 따라 개별식, 분할식, 혼합식으로 분류되며, 통신용 케이블만 수용...
-
공동구재난 사고 시 행동요령후 출력하여 각 가정, 사무실, 학교 등에 비치하여 사전에 충분히 습득해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공동구재난 발생 우려시 • 거주지역 인근에 공동구가 있을 경우, 공동구관리자(지자체, 공단 등)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등을 사전에 파악합니다. * 공동구 설치지역...
-
터널 tunnel관통시켜 도로 · 철도 · 지하철 및 지하보도의 교통운수, 배수 및 용수(관개 · 발전 · 상하수도)의 수로, 유류의 운반 및 지하저장, 통신 및 전기의 지하공동구, 핵폐기물의 지하저장, 광산 · 군사시설 등에 이용된다. 터널의 역사는 원시시대의 동굴의 확장 및 토굴의 굴착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며, 인간의 활동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
-
기반시설 Infrastructure② 공간시설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 ・ 공공공지 ③ 유통 ・ 공급시설 : 유통업무설비, 수도 ・ 전기 ・ 가스 ・ 열공급설비, 방송 ・ 통신시설, 공동구 ・ 시장,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 ④ 공공 ・ 문화체육시설 : 학교·운동장 ・ 공공청사 ・ 문화시설 ・ 체육시설 ・ 도서관 ・ 연구시설 ・ 사회복지시설...
- 유형 :
- 기타(도시 ・ 군계획 ・ 건축용어)
- 관련법령 :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
-
목포시립도서관 木浦市立圖書館연원 및 변천 1907년 5월에 목포에 거주하던 일본인 유지들이 도서공동구독의 목적으로 목포도서구락부를 설치, 다카네(高根信禮)를 대표자로 선출하였는데, 그 뒤 장서수의 증가와 일반인들의 지적요구에 의하여 1912년 목포문고라고 개칭하여 일반인의 열람에 공여하였다. 그러나 재정난에 봉착한 목포문고는 1920...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