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랑 골, furrow
    종자 뿌리기 또는 모종을 심기 위해 경작지(땅)의 높낮이를 만드는데 이때 움푹 들어간 부분|종자 뿌리기 또는 모종을 심기 위해 경작지(땅)의 높낮이를 만드는데 이때 움푹 들어간 부분을 의미하며, ‘골’이라고도 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일반상식
  • 수수 (동의어 고랑)
    잎 어긋나며 길이 50~60cm, 나비 5~6cm인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한 줄기에 10개 정도씩 달리는데 끝이 처진다. 처음에는 줄기와 더불어 녹색이지만 점차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꽃 7~8월에 줄기 끝에서 이삭이 나와 많은 꽃이 큰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빽빽하게 달려 핀다. 작은 이삭은 불임화(不稔花)와 임실화(...
    학명 :
    Sorghum bicolor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밭에 재배
    번식 :
    약효 부위 :
    껍질을 벗긴 씨, 뿌리, 오래 묵은 수수깡
    생약명 :
    촉맥(蜀麥)
    키 :
    1.5~3m
    과 :
    볏과(화본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떫고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씨 15~25g, 뿌리 10~15g, 수수깡 40~60g
    주의사항 :
    많이 써도 무방하다.
  • 수수 (동의어 고랑)
    벼과에 속하는 일년생 작물.|내용 한자어로는 고량(高梁)·촉서(蜀黍)라고 하며 학명은 Sorghum bicolor MOENCH이다. 높이가 2m에 달하는 식물로 원줄기의 속이 충실하며 마디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60㎝, 너비 6㎝ 내외로서 끝이 처지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차츰 적갈색으로 된다. 큰 원추화서(圓錐花序:...
    분류 :
    벼과
    원산지 :
    열대 아프리카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m
    학명 :
    Sorghum bicolor MOENCH
    분야 :
    과학/식물
  • 고랑균핵버섯
    형태 자실체는 지름이 2~8㎜, 자루의 길이가 2~20㎜로 컵 모양에서 잔 모양으로 되며 검은 균핵에서 하나가 솟아오른다. 자실층은 밋밋하고 광택 나는 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된다. 바깥 표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고 미세한 백색의 서리 같은 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때때로 미세한 박편이다. 자루는 다소 원통형으로 흔히...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두건버섯강 > 살갗버섯목 > 균핵버섯과 > 균핵버섯속
    학명 :
    Sclerotinia sulcata (Roberge ex Desm.) Whetzel
    분포지역 :
    한국, 유럽
    발생시기 :
    봄~여름
  • 구리빛고랑버섯
    형태 자실체의 지름은 1~2㎜로 아구형에서 원형이 되거나 길게 늘어나서 불규칙하게 된다. 성숙하면 편평하고 또는 약간 둥근 산 모양이다. 안쪽의 자실층 표면은 짙은 밝은 오렌지색이며 바깥 표면은 안쪽보다 짙은 밝은색이다. 자루가 있다면 매우 짧으며 강한 털이 나 있고 자실체가 기질에 부착하는 하얀색의 균사체...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주발버섯강 > 주발버섯목 > 술잔버섯과 > 고랑버섯속
    학명 :
    Pithya cupressina (Batsch) Fuckel
    분포지역 :
    한국, 유럽, 북아메리카
    발생시기 :
    봄~여름
  • 고랑덩이버섯
    형태 자실체는 유구형으로 지름이 40㎜ 정도다. 표면에 불규칙한 고랑이 있으며 흡수성이다. 자루는 없다. 자실체의 바깥 표면은 다면체의 사마귀점으로 덮여 있고 적갈색에서 오렌지-갈색이 된다. 표면의 파편이나 고랑에는 노란색에서 오렌지-갈색으로 된 솜털이 덮여 있다. 자실체의 속(내부)은 대리석 같고 뒤얽힌...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주발버섯강 > 주발버섯목 > 덩이버섯과 > 덩이버섯속
    학명 :
    Tuber canaliculatum Gilkey Elaphomyces granulatus Fr.
    분포지역 :
    한국, 유럽
    발생시기 :
    여름~겨울
  • 고랑종양 pulmonary sulcus tumor
    팬코스트종양(Pancoast tumor). 폐(허파) 꼭대기 부근에 발생한 폐암.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팔과 머리로 연결되는 혈관과 교감신경절을 압박하여 팔의 신경통, 팔과 손의 근위축, 호너증후군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대부분 비소세포폐암이다.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질병 , 건강
  • 고랑딱개비
    형태 껍질 크기(지름) 2cm 정도로, 석회질로 된 다른 고둥들의 껍질과는 달리 이 종류의 껍질은 키틴(chitin)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교적 쉽게 부서진다.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띠는 껍질의 외부 표면에는 방사상의 많은 주름들이 명확하게 나타난다(a). 생태 갯바위 중간부분부터 아래쪽 사이에서 주로 살고 있으며...
    분류 :
    연체동물문>복족강>기안목>고랑딱개비과
    학명 :
    Siphonaria japonica (Donovan)
  • 고랑딱개비 siphonaria sirius
    형태 황갈색 또는 흑갈색을 나타내는 껍질은 어린 시기에는 주로 흑갈색을 나타내지만, 자라면서는 밝은 황갈색을 나타내는 것들이 흔하다. 비교적 얇고 쉽게 부서지는 껍질은 크기(지름)가 2cm 정도이고, 표면에는 15개 정도의 뚜렷한 세로 방향의 능선 모양 방사상 주름들이 나타난다. 공기 호흡이 가능한 몇 안 되는...
    분류 :
    연체동물문>복족강>기안목>고랑딱개비과
    학명 :
    Siphonaria sirius Pilsbry
  • 폐위고랑종양 superior pulmonary sulcus tumor
    팬코스트폐암(Pancoast lung cancer). 폐(허파) 꼭대기 부근에 발생한 폐암.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팔과 머리로 연결되는 혈관과 교감신경절을 압박하여 팔의 신경통, 팔과 손의 근위축, 호너증후군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대부분 비소세포폐암이다.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질병 , 건강
  • 고랑은검뎅이침버섯
    형태 자실체는 지름이 0.3㎜ 정도로 자낭각은 검고 구형이며 검은 자낭각 아래에 쌍으로 또는 3개씩 파묻힌다. 성숙하면 숙주 지역에 펴져서 난형으로 된다. 포자의 크기는 8.75~11.25×1.25~2㎛로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1개의 격막이 있고 대부분 4개의 기름방울을 함유하며 양단은 둥글다. 자낭은 8-포자성으로...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동충하초강 > 검뎅이침버섯아강 > 검뎅이침버섯목 > 바늘침버섯과 > 은검뎅이침버섯속
    학명 :
    Cryptodiaporthe lirella (Moug. & Nestl.) M. Monod Diaporthe lirella (Mougeot & Nestler) Fuckel
    분포지역 :
    한국, 유럽
    발생시기 :
    여름~가을
  • 고랑종양 superior sulcus tumor
    팬코스트폐암(Pancoast lung cancer) 폐(허파) 꼭대기 부근에 발생한 폐암.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팔과 머리로 연결되는 혈관과 교감신경절을 압박하여 팔의 신경통, 팔과 손의 근위축, 호너증후군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대부분 비소세포 폐암이다. pulmonary sulcus tumor라고도 한다.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건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98건

무주 인삼농가 빗속 파종 작업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딱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딱개비
고랑딱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딱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고랑따개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