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파종 播種씨앗을 뿌려 심는 일. 내용 작물의 번식에 쓰이는 씨앗을 심는 것을 넓은 뜻에서 파종이라고 하지만, 대체로는 종자나 이와 비슷한 씨앗을 뿌려 심는 것을 의미한다. 영양기관 등을 번식용으로 쓰는 경우에는 재식(栽植)·정식(定植)·삽식(揷植) 등으로 부르고, 볍씨를 물못자리에 파종하는 것은 낙종(落種)이라고도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밀 파종 방법 및 파종 밀 재배의 이론과 실제밀의 파종 양식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점파, 조파, 산파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점파는 종자의 3~5립을 한곳에 모아 파종하는 방법으로 종자의 균등 배치라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기계가 없고 인력으로는 파종 노력이 많이 들고 월동 기간 중 추운 지방에서는 군락을 형성하지 못해 얼어...
-
양파 고랭지 봄파종 재배기술여름 고온기에 양파를 재배하기 어려우나, 해발이 높을수록 기온 이 평지에 비해 낮은 점을 이용하여 해발 600m 이상 고랭지에서 2월 하순~3월 중순에 파종하여 8~9월에 수확하는 작형이다. 수확 후에는 자연적으로 저온에 접어들어 이듬해 3월까지 저장이 용이하다. 단경기에 출하하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고 국내의...
-
-
밀 봄 파종(춘파) 재배우리나라의 맥류는 가을에만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 이상기상, 특히 가을 파종기에 잦은 비로 파종을 하지 못하였을 때 밀 원맥의 생산, 공급의 안정화를 위해 봄 파종(춘파) 재배가 필요하다. 맥류는 11월 15일 이후 파종할 경우 겨울철이 되기 전의 수분과 겨울철의 저온 피해로 생산량의 감소가...
-
맥주보리 파종 방법 맥주보리 재배와 수확 후 관리 기술맥주보리도 일반 보리와 마찬가지로 논에서 이루어지는 논뒷그루(답리작) 조건과 밭에서의 밭농사(전작)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파종 방법은 흩뿌림(산파), 줄뿌림(세조파)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흩뿌림은 주로 논에서, 줄뿌림은 주로 밭에서 골을 만들어 파종하는 방법이다. 파종량 맥주보리는 가지치기...
-
맥주보리 파종 시기 맥주보리 재배와 수확 후 관리 기술적기 파종 안전다수확 재배의 기본 조건은 적기 파종이므로 그 지역의 알맞은 기간에 파종하여 월동 전에 잎이 5~6개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 남부 지방인 익산, 순창, 합천, 청도, 삼척 이남 지방은 10월 15일~10월 30일이 파종 적기이다. 그리고 제주도는 11월 1일~11월 15일이 파종 적기이다. 남부 지방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