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UN 환경개발회의의 배경 UN 환경개발회의의 배경Development/ESSD)이라는 개념이 보편화되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1989년 제44차 UN 총회는 1992년 6월 'UN 환경개발회의'를 개최하도록 결의했으며, 지난 3년간 4차례에 걸친 준비회의가 매번 1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개최되었다. 회의조직은 다음과 같다. ①...
-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쟁점사항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쟁점사항문제와 관련해서 개도국들은 선진국들이 파괴한 지구환경의 복구에 소요되는 환경기금을 제공할 것을 요구했으며, 이 기금으로 기존의 개발원조와는 구별되는...않았고 공적개발원조(ODA)의 증액에만 원칙적인 합의를 했다. 개도국들은 UN이 설정한 ODA의 국민총생산(GNP) 0.7% 목표를 2000년까지 선진국들이 이행할 것...
-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 회의 결과 UN 환경개발회의의 주요 회..선언, 의제21, 산림원칙 등이 채택되었으며, 기후변화협약과 생물다양성협약이 회의기간중에 서명되었는데 각각 158개국과 156개국이 서명했다. UN 체제와 관련해서는 UN의 ECOSOC 산하에 CSD를 설치하기로 했다. 리우 선언 지구환경보전과 개발을 조화하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실천하기 위한 지구동반자 관계의 기본...
-
UN 환경개발회의의 의의 UN 환경개발회의의 의의질서의 주요원칙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구환경보전의 책임분담 문제를 놓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국익을 앞세운 갈등이 첨예화됨에 따라 남북간의 갈등이 심화될 전망이다. 특히 UN의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산하에 '지속개발위원회'(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CSD)를 설치하기로 합의함에...
-
국제연합환경개발회의 UNCED, 國際聯合環境開發會議환경개발회의(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일명 Earth Summit)’와 각국 민간단체가 중심이 된 ‘지구환경회의(Global Forum '92)’가 함께 개최되었는데, 이를 통칭하여 ‘리우회의’라 한다. 이 회의의 주제는 '인간과 자연환경 보전 경제개발의 양립'과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외교
-
환경교육 環境敎育개념이 등장하였고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그것의 해결에 필요한 인식이 세계적으로 확산된 때였다. 제3단계 정착기(1992년∼1999년)에서는 ‘UN 환경개발회의’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구현하기 위한 국제 협약이 채택되었다. 제4단계는 확립기(2000년 이후)로서 이 시기에는 특히 ‘지속가능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세계 사막화와 가뭄과의 투쟁의 날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 World Day to Com..연합(UN)이 제정한 기념일이다. 사막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날짜는 매년 6월 17일로,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을 채택한 1994년 6월 17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 1995년부터 매년 이날에는 사막화에 관한 대중의 인식을 촉구하고 사막화 방지와 대처를...
- 분류 :
- 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1995년
- 날짜 :
- 6월 17일
- 제정처 :
- 국제연합(UN)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려면 돈을 내야 한다?유엔기후변화협약(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은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채택된 것이다. '리우환경회의'라고도 불리는 이 자리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에 따라 각자의 능력에 맞게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을...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