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2표법 12동판법, 十二表法
    BC 451~450년에 제정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로마 최초의 법전. (영). Law of the Twelve Tables.|12표법은 평민들의 요구에 따라 제정되었다고 전해지며, 당시 평민들은 법원의 판결이 불문의 관습에 의거하여 몇몇 학식 있는 귀족들에 의해 내려지는 데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10인(decemviri)위원회를 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12표법
    로마 최고의 성문법으로 귀족들이 법을 독점하는 것을 배제하고 개인의 권리와 사유권을 보장하는 등 평민의 권리를 보장했다.
  • 12표법 Twelve Tables, 十二表法
    12표법(十二表法, 혹은 공식 축약명 Duodecim Tabulae)은 로마법의 기초를 이룬 고대 로마의 성문법이다. 12표법은 로마 공화정 정체(政體)의 중심이자, 로마적 전통(Mos Maiorum)의 근간이었다. 로마의 학생들은 12표법의 원문을 암기해야 했다고 하는데, 이로 보아 구두로도 전승된 듯하며, 리비우스는 12표법이 모든 ...
    도서 위키백과
  • 로마 법 (관련어 12표법) Roman law
    로마 법은 유럽 대륙 대부분의 나라의 법전과 거기서 파생한 다른 국가들의 법체계의 기초를 이룬다. 로마 법이 최초로 현실화된 것은 법전화의 시도에 의해서였다. BC 451~450년경 지배층인 귀족계급에 속하는 신관들의 전유물로 되어 있던 결정과 절차를 모아 널리 알리기 위해 12표법이 반포되었다. 나무 또는 청동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포룸 forum
    공공집회 장소로 쓰인 포룸은 그리스의 아고라와 아크로폴리스를 질서정연한 공간으로 바꾼 것이다(→ 아크로폴리스). 12표법에서 포룸은 무덤의 전실(前室)을 가리키는 낱말로 쓰였고, 로마 군대에서는 진영의 정문 옆에 있는 개활지를 가리켰다. 따라서 이 용어는 원래 공공건물이나 입구 앞에 있는 공간에 널리 적용...
  • 실용적인 문화
    있던 결정과 절차를 모아 널리 알리기 위해 12표법이 반포되었다. 로마 시의 광장에 세운 12표법은 세속법과 성법(聖法), 민사법과 형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12표법은 AD 6세기에 이르러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로마의 모든 법을 모아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을 편찬할 때까지 사문화된 규정조차 폐지되지 않을 정도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로마인의 문화와 생활
    물을 보내기 위한 대규모 수로를 설치하였다. 이렇듯 실용적인 성격의 로마 문화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역시 로마법이었다. 로마인은 어린 시절부터 12표법을 암기하며 자라났고, 그런 까닭에 어른이 되어서도 자연스럽게 법을 존중할 줄 아는 시민이 되었다. 12표법은 귀족과 평민 간의 신분투쟁 과정에서...
    도서 이야기세계사1 | 태그 세계사
  • 불법행위 不法行爲, tort
    행위의 주요유형은 절도(furtum), 강도(rapina), 인격권 침해(injuria), 불법으로 가해진 손해(damnum injuria datum) 등 4가지였다. 로마 초기의 성문법인 12표법(BC 451~450)이 '인격권 침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보면 이 법률이 과도기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2표법은 피해자의 개인적 앙갚음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가이우스 Gaius
    부분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그의 본명과 이력(履歷)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법학제요〉 외에도 그는 BC 450년경 로마 왕정 아래에서 제정되었다고 하는 12표법의 주석서를 썼고, 로마 정무관들의 고시(告示)에 관한 글과 그밖에 여러 권의 저서를 남겼다. 161년경에 쓴 그의 〈법학제요〉는 4권으로 되어 있다. 1권...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법률가
  • 데켐비리 decemviri
    법률 10표를 제정했다. 어떤 학자들에 따르면 평민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2번째 데켐비리가 이 법률 10표에다 평민들에게 덜 이로운 법 2표를 더해 12표법을 완성했다고 한다. 2번째 데켐비리는 독재를 했기 때문에 BC 449년에 해체되었다. '사법10인위원회'는 개인의 신분, 즉 자유인이냐 노예냐를 결정하는 민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수권 手權, manus
    potestas)하에 있다가, 결혼함으로써 남편의 수권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로마 역사에서 초창기를 제외하고는 수권 없는 혼인이 보다 일반적이었다. 12표법시대(BC 451~450)에 이미 수권 없는 혼인이 가능했고, 부인은 아버지가 살아 있을 경우에 그 권력 아래 머물렀다. 수권 없는 혼인에서는 배우자의 재산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로마의 소송법 Roman legal procedure
    후기의 것은 오늘날 대륙법 국가 소송법의 기초가 되었다. 그 체계는 크게 3단계로 발전했다. BC 5세기의 12표법시대부터 BC 2세기 후반까지의 법률소송(legis actiones), BC 2세기부터 고전기 말기(AD 3세기)까지의 방식서 소송, 후기 고전기에 시행된 특별심리절차(cognitio extraordinaria)가 그것이다. '법률소송'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