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흰뺨검둥오리 우리나라의 텃새가 되어버린 대표적인 겨울철새특징 • 1950년대까지 흔한 겨울철새였으나 1960년대부터 번식을 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국의 강 주변 초지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 겨울에는 북쪽에서 번식한 대규모 무리가 월동을 위해 남하하므로 전국의 하천, 호수, 저수지 등에서 흔히 관찰된다. • 겨울철 하천, 호수에서는 청둥오리 등 다른 오리류와 ...
- 분류 :
- 기러기목>오리과
- 서식지 :
- 강, 하구, 저수지, 호수, 해안
- 먹이 :
- 식물의 종자, 낟알, 풀줄기 등
- 크기 :
- 약 61cm
- 학명 :
- Anas poecilorhyncha
- 수명 :
- 약 2~10년
-
흰뺨검둥오리 spot-billed duck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중형의 오리. 암갈색을 띤다. 암수의 형태와 색깔은 같다.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고, 논과 호수, 소택지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벼를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58~61cm 정도이고, 무게는 795g~1.35k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개요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오리속
- 원산지 :
- 아시아, 유럽
- 서식지 :
- 논, 호수, 소택지, 간척지, 하천, 하구, 해안, 연못
- 먹이 :
- 벼
- 크기 :
- 약 58cm ~ 61cm
- 무게 :
- 약 795g ~ 1.35kg
- 학명 :
- Anas poecilorhyncha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26일
- 멸종위기등급 :
- 낮은위기
-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형태 크기: 약 52~62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이고 머리의 뺨 부분과 앉았을 때 날개 끝 부분만 흰색으로 보인다. 다리는 황색을 띠고 부리는 검은색에 끝 부분만 노란색으로 보인다. 주요 형질: 전체적으로 암수가 비슷하며, 부리는 검은색 바탕에 끝이 노랗다. 둘째 날개깃의 광택깃은...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 학명 :
- Anas poecilorhyncha (Forster, 1781)
- 국내분포 :
- 우리나라 전국의 하천, 강 하구 및 연안 갯벌 등지에서 분포한다.
- 해외분포 :
- 러시아,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특징 :
- 겨울철새
-
흰뺨검둥오리 Spot-billed Duck서식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중국 동부와 동북부, 한국, 대만, 일본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1950년대까지 흔한 겨울철새였으나, 1960년대부터 번식하기 시작해 현재는 전국의 야산, 풀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로 자리 잡았다. 국내에서 월동하는 개체수는 60,000~100,000개체다. 행동 번식기에는 낮에도 활발히 움직...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시베리아 동남부, 몽골, 중국 동부와 동북부, 한국, 대만, 일본에 서식한다.
- 크기 :
- L52~62cm
- 학명 :
- Anas zon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
-
흰뺨검둥오리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오리과의 텃새 또는 겨울 철새. [형태] 흰뺨검둥오리의 몸길이는 61㎝ 정도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고, 뺨 부분은 비교적 밝다. 부리는 검은색이나, 부리 끝이 노란색이어서 다른 오리류와 쉽게 구별된다. 셋째 날개깃 가장자리는 흰색으로 멀리에서도 쉽게 잘 보인다. 다...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Spot-billed duck 흰뺨검둥오리, カルガモThe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spotbill, is a dabbling duck which breeds in tropical and eastern Asia. It has three populations, treated here as subspecies, the Indian spot-billed duck (A. poecilorhyncha poecil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A. poecil...출처 영어 위키백과
-
내도발견. ㆍ주요 해양생물 - 해양무척추동물 총 14종 관찰. - 해조류 총 14종. 녹조 2종, 갈조 4종, 홍조 11종.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 3과 3종 관찰(흰뺨검둥오리, 흰물떼새, 멸종위기동물 Ⅱ급-흰뺨검둥오리) - 소나무 위주의 식생이 특징이다. 키 작은 초본류 혼재. 노랑날개무늬가지나방, 두줄점가지나방 등 관찰...
- 면적 :
- 1,223m 2
- 좌표 :
- 34° 38′ 44.15″ N, 126° 10′ 48.52″ E
- 해도번호 :
- 342
- 지번 :
- 전남 신안군 장산면 팽진리 239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해남군 문내면 무고리에서 약 7.4km
-
살개섬총 18종 출현하여 빈약한 종조성, 해조류는 녹조류 1종, 갈조류 2종, 홍조류 2종으로 총 5종이 출현 ㆍ주요 육상동물 : 소형 동물은 서식이 가능할 것, 흰뺨검둥오리의 둥지가 상당히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대형 포식자는 서식하는 것이 확실 ㆍ주요 조류 · 곤충 : 총 7종, 천연기념물로 제326호인 검은...
- 면적 :
- 793m 2
- 좌표 :
- 34° 54′ 4.56″ N, 127° 55′ 52.86″ E
- 해도번호 :
- 236
- 지번 :
- 남해군 설천면 문항리 산5
- 소유현황 :
- 사유(류홍태)
- 육지와의 거리 :
- 0.65km
도서 무인도서 -
감토도고둥 우점. - 해조류는 총 5종으로 녹조류 1종, 갈조류 2종, 홍조류 2종 출현, 톳, 풀가사리 우점 ㆍ주요 조류 · 곤충 - 총 1종 1개체로 흰뺨검둥오리가 관찰됨, 흰뺨검둥오리 둥지와 알이 관찰됨 - 조류의 배설물이 산재하였고 여러 조류의 흔적. - 관찰된 곤충은 회색애기자나방, 침노린재류, 일본왕개미, 병대벌레과...
- 면적 :
- 2,281m 2
- 좌표 :
- 34° 19′ 02.5″ N, 126° 36′ 44.5″ E
- 지번 :
- 북평면 영전리 산238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땅끝항으로부터 7.68km
-
독섬4종 출현. 총알고둥 우점. - 해조류는 총 2종으로 녹조류 1종, 홍조류 1종 출현, 불등풀가사리 우점 ㆍ주요 조류 · 곤충 - 총 4종 25개체로 왜가리, 흰뺨검둥오리, 깝작도요, 바다직박구리가 관찰됨 - 왜가리의 집단 휴식장소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흰뺨검둥오리가 알과 둥지가 관찰됨 - 관찰된 곤충은 무당벌레, 벌류...
- 면적 :
- 2,975m 2
- 좌표 :
- 34° 12′ 58.5″ N, 126° 33′ 03.4″ E
- 지번 :
- 노화읍 고막리 산275
- 소유현황 :
- 공유지(완도군)
- 육지와의 거리 :
- 미라항으로부터 1.22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