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흰기러기 snow goose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 북아메리카·아시아·유럽이 원산지이다. 농경지·소택지·호수 등에 서식하고, 포란기간은 24~26일 정도이다. 주로 초식성이지만 수서동물·곤충·패류도 먹는다. 크기는 65~75cm, 무게는 2.3~3k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정의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서식지 :
    농경지, 소택지, 호수, 해상
    먹이 :
    고구마, 새우, 밀, 보리, 감자, 옥수수
    크기 :
    약 65cm ~ 75cm
    무게 :
    약 2.3kg ~ 3kg
    학명 :
    Anser caerulescens hyperboreu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4~26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흰기러기 Anser caerulescens
    형태 크기: 약 67~80cm 정도로 기러기류중 중형에 속한다. 채색과 무늬: 몸의 윗면과 아랫면은 흰색이지만 첫 번째 날개깃은 검은색이고 바깥 기부는 회색이다. 다 자란 것은 흰 깃과 검은색 날개 끝으로 다른 회색 기러기와 쉽게 구별된다. 그러나 어린 것은 등이 회갈색이고 아랫면이 회색이어서 구별하기 어렵다. 주...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Anser caerulescen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강원도 철원평야, 강화도, 금강 하구, 주남저수지, 우포늪, 충청남도 천수만, 제주도 등지에서 매우 소수개체가 월동한다.
    해외분포 :
    알래스카, 캐나다 동북부, 그린란드 북극권, 동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 흰기러기 Snow Goose
    서식 알래스카, 캐나다 동북부, 그린란드의 북극권, 북동시베리아의 콜리마천 하류, 추코트반도 북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에서 월동한다. 2아종으로 나눈다. 번식지에서는 집단으로 번식하며 개체수가 증가하는 매우 흔한 종이지만, 국내에서는 희귀한 겨울철새로 불규칙하게 찾아온다. 철원평야, 강화도, 금강 하...
    분류 :
    오리과(Anatidae)
    서식지 :
    알래스카, 캐나다 동북부, 그린란드의 북극권, 북동시베리아의 콜리마천 하류, 추코트반도 북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에서 월동한다.
    크기 :
    L67~80cm
    학명 :
    Chen caerulescens Snow Goose
  • 흰기러기 Snow goose, ハクガン
    생물_분류 흰기러기 또는 눈기러기(snow goose)는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이다. 이 품종은 크기 및 지리에 기초하여 2가지 아종으로 나뉜다. 몸의 색깔이 흰 종류와 청회색인 종류로 나뉜다. 색깔이 달라서 서로 다른 품종으로 취급 받았으나 이종교배가 가능하고 같은 영역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같은 품종으로 분류하고...
    도서 위키백과
  • 작은흰기러기 Ross's goose, ヒメハクガン
    생물 분류 작은흰기러기는 흰색 깃털과 검은색 날개깃, 비교적 짧은 목을 하고 있는 오리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 물새의 일종이다. 북미 대륙에 서식하는 3종의 기러기속 물새 종 가운데 가장 작다. 1900년대 초에는 희귀종으로 여겨졌으나 보호 정책이 강화되어 현재는 수가 많이 늘었다.서적 인용Cite...
    도서 위키백과
  • 기러기속 Anser
    기러기목 오리과의 한 속. 이 속에 속하는 것들을 기러기류(goose)라 하며, 쇠기러기·회색기러기·흰기러기 등이 있다.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철새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매년 1월 0~5°C 사이의 기온을 가진 온난한 지역으로 이주한다. 오늘날 기러기속에 속하는 종 중 약 10여 종이 생존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기러기
    기럭이 · 기럭기라고 불렸다.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흑기러기 · 회색기러기 · 쇠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흰기러기 · 개리 등 7종이 기록되어 있다. 북반구의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하, 이동해 온다. 흰이마기러기 · 회색기러기 · 흰기러기 등 3종의 길 잃은 새...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편경 編磬
    따라 틀의 위아래 2단으로 나누어 8매씩 홍승으로 묶어놓고 암소뿔에 자루를 끼운 각퇴로 쳐서 소리를 낸다. 음고는 경돌의 두께에 따라 다르며 틀은 백아(흰기러기)로 고정했다. 또 봉두와 치미유소로 장식했다. 맑고 청아한 소리가 난다. 중국 고대 악기로 1116년(예종 11)에 유입되었다. 1425년(세종 7) 경기도 남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기러기류(개리·흑기러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기러기는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는데, 우리 나라에는 흑기러기 · 회색기러기 · 쇠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흰기러기 · 개리 · 붉은가슴기러기 · 캐나다기러기 · 흰머리기러기 · 줄기러기 등 11종이 기록되었다. 이 가운데 개리와 흑기러기는 매우 희귀하여 1982...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기러기속 Anser (bird), マガン属
    생물 분류 기러기속(Anser)은 오리과의 속이다. 회색기러기와 흰기러기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겨울에 남쪽으로 이주하는 철새이며 보통 1월 0 °C~5 °C 사이 등치선의 온난한 지역으로 이주한다. 11개의 종이 생존해있으며 가장 큰 것은 회색기러기로 2.5~4.1킬로그램에 달한다. 모든 종이 다리가 핑크색이나 오렌지색...
    도서 위키백과
  • 기러기 Anserini, 雁族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한다. 전 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에는 흑기러기·회색기러기·쇠기러기·흰이마기러기·큰기러기·흰기러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른 봄에 북극권의 번식지로 이동해서 짝짓기를 하며 가을에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V자 모양으로 큰 무리를 이루어 이동한다...
    도서 위키백과
  • 큰기러기
    부산광역시를 포함하여 전국에 서식하는 오리과의 조류로 기러기류[기러기속]에 속한다. 기러기류는 지구상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흑기러기·흰기러기·개리·쇠기러기·큰기러기 등 5종이 겨울철에 우리나라를 찾으며, 캐나다기러기·흰기러기·회색기러기·흰이마기러기는 길 잃은 새로 다른 기러기 무리에...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81건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흰기러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