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둘기 섬에만 사는 귀한 비둘기, Black Wood Pigeon
    특징 • 한국과 일본의 섬에서 국지적으로 서식한다. • 국내에 서식하는 비둘기류 중 크기가 가장 크다. • 주로 후박나무 숲 등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생활하며, 나뭇가지 위에서는 직립자세로 앉아 있고, 날 때는 직선으로 날며 때로는 날개를 움직이지 않는 활공을 한다. • 생활환경이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
    분류 :
    비둘기목>비둘기과
    서식지 :
    울릉도, 가거도, 제주도, 흑산도 등 후박나무가 자생하는 도서
    먹이 :
    나무열매, 종자
    크기 :
    약 40cm
    학명 :
    Columba janthina
    수명 :
    약 3∼5년
  • 비둘기 Japanese wood pigeon
    비둘기목 비들기과에 속하는 중형의 드문 텃새.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해안 앞바다와 마을에 서식한다. 크기는 36~38cm 정도이고, 무게는 300~350g 정도이다. 식성은 초식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개요 조강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Col...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비둘기목 > 비둘기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해안 앞바다, 마을
    크기 :
    약 36cm ~ 38cm
    무게 :
    약 300g ~ 350g
    학명 :
    Columba janthina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18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비둘기 黑─
    비둘기과에 속하는 조류.|내용 천연기념물 제215호. 학명은 Columba janthina janthina TEMMICK.이다. 전장 약 40㎝의 꼬리가 긴 큰 비둘기이다. 온 몸이 흑색인데 머리는 자적색 광택이 있고 몸에는 녹색의 금속광택이 있다. 부리는 암청색이나 겉은 녹색이고 다리는 적색이다. 주로 일본 혼슈(本州) 중부 이남의 해...
    분류 :
    비둘기과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215호
    출산시기 :
    5∼6월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크기 :
    전장 약 40㎝
    학명 :
    Columba janthina janthina TEMMICK.
    분야 :
    과학/동물
  • 비둘기 천연기념물 제215호, Black Wood-pigeon
    서식 한국과 일본의 도서지방, 중국 산둥반도의 제한된 지역에 국지적으로 번식한다.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나눈다. 국내에서는 주로 서·남해, 울릉도 등 도서 지역에서 번식하는 텃새 또는 여름철새다. 행동 거목이 자생하는 울창한 상록활엽수림을 선호한다. 후박나무, 누리장나무, 마가목의 열매를 즐겨 먹으며 잣나...
    분류 :
    비둘기과(Columb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15호
    서식지 :
    한국과 일본의 도서지방, 중국 산둥반도의 제한된 지역에 국지적으로 번식한다.
    크기 :
    L40cm
    학명 :
    Columba janthina Black Woodpigeon
  • 비둘기 Columba janthina
    형태 크기: 약 40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전체적으로 색이 검다. 부리는 검은색, 다리는 붉은색이다. 주요 형질: 목에 녹색과 보라색 광택이 있다. 생태 서식지: 후박나무, 누리장나무, 마가목 같은 나무 열매가 풍부한 일부 지역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후박나무, 누가장나무, 마가목의 열매를 줄겨 먹으며...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비둘기목(Columbiformes) > 비둘기과(Columbidae)
    학명 :
    Columba janthina Temminck, 1830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서해안,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과 울릉도에서 번식한다.
    해외분포 :
    일본 도서지방, 중국 산둥반도 등 제한된 지역에서 서식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 목록에 NT(준위협종)으로 분류된 국제 보호조류이다.
    특징 :
    텃새, 천연기념물 215호
  • 비둘기 Black wood pigeon, カラスバト
    생물 분류비둘기는 온몸이 검은 비둘기과의 새이며 야생 비둘기 무리 중 가장 큰 종류이다. 한정된 지역에만 분포하는 희귀한 텃새이므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울릉도에서는 검다 하여 ‘검은비둘기’또는 울음소리 때문에 ‘뻐꿈새’라고도 부른다. 동아시아 지역...
    도서 위키백과
  • 울릉도 사동의 비둘기서식지
    오래된 후박나무 거목들이 산재하여 비둘기의 훌륭한 서식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비둘기가 즐겨 찾는 섬 안의 동백림이 거의 벌채되었기 때문에 비둘기의 보호를 위한 후박나무의 보호가 더욱 절실해졌다. 후박나무의 열매가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든지 비둘기를 관찰할 수 있는데, 특히 섬의 남쪽 면 사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비둘기, 슴새) 번식지 濟州 泗水島 바닷..
    개설 사수도(泗水島)는 슴새와 비둘기 번식지로서 1982년 11월 20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슴새의 번식지로는 가장 큰 곳이다. 추자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33.3㎞에 위치해 있다. 섬 전체의 면적은 223,000㎡이고, 해발고도는 79m인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면적은 69,223㎡이다. 섬의...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호도의 상록활엽수림 및 비둘기 번식지 虎島의 常綠闊葉樹林 및 ..
    지 관목림은 토심이 깊은 곳에서 까마귀쪽나무 · 도깨비고비 군집이 발달하고 있고, 토심이 얕은 곳에서는 돈나무 · 사철나무의 군집이 발달하고 있다. 비둘기는 한국 · 일본 · 중국의 도서지역에서만 번식하는 희귀한 텃새이다. 비둘기의 남방 한계선은 추자군도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 학술조사를 통해...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울릉 사동 비둘기 서식지 鬱陵 沙洞 黑비둘기 棲息地
    목본이 많고 너도밤나무·섬피나무·섬고로쇠나무 등의 순림(純林)과 섬잣나무·솔송나무 등이 무성하며 해안 주변에는 후박나무의 노거수가 산재하여 비둘기의 훌륭한 서식지가 되고 있다. 울릉도에서 처음으로 비둘기가 알려진 것은 1936년 일본인 학자가 암컷 한 마리를 채집하여 학계에 보고하면서부터이다. 그...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동물
  •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남한 천연기념물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비둘기, 슴새) 번식지(濟州 泗水島 바닷새類(비둘기, 슴새) 繁殖地)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사수도에 있는 천연기념물이다. 1982년 11월 20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33호로 지정되었다. 사수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추자도에서 20km 정도...
    도서 위키백과
  • 오가사와라비둘기 Bonin wood pigeon, オガサワラカ..
    생물 분류 오가사와라비둘기는 일본 남부 보닌 제도의 지치지마 섬, 나코도섬에 자생하는 비둘기이다. 1827년에 처음으로, 마지막 것은 1889년까지 4개의 종이 기록되었다. 평균 길이는 45 cm에 이른다. 이 비둘기는 19세기 말 탈산림화, 사냥, 쥐와 고양이의 유입에 의한 포식의 결과로 멸종하였다. Kittlitz...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4건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
흑비둘기(천연기념물 215호)
흑비둘기 성조(2008.5.3. 경북 울릉도 저동)
흑비둘기 성조(2009.8.5. 경북 울릉도 도동)
흑비둘기 성조(2008.5.3. 경북 울릉도 저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