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회계사회계에 관한 용역업무를 계획 및 관리하고, 의뢰인의 위임에 따라 재무회계서류의 작성, 기업의 소득세보고서 작성, 재무회계감사 또는 증명을 하며, 재무서류의 조정, 재무조사 및 기타 회계사무에 관한 상담을 한다. 수행직무 법정기업, 특수목적기업의 회계시스템을 계획·설정·관리한다. 개인, 부서, 회사나 기타...
- 교육수준 :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교육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유사명칭 :
- 공인회계사(CPA)
- 고용직업분류 :
- [0231]회계사
- 표준직업분류 :
- [2712]회계사
- 자격/면허 :
- 공인회계사(CPA)
- 표준산업분류 :
- [M712]회계 및 세무관련 서비스업
- 조사연도 :
- 2021년
-
회계사 會計司조선시대 호조 소속의 한 부서. 내용 서울과 지방의 각 관청에 비축된 미곡·포(布)·전(錢) 등의 연도별 회계, 관리 교체 때 맡은 물건의 휴흠(虧欠 : 정수 부족의 유무를 밝히는 일)을 살펴 해유(解由 : 관원을 교체할 때 전임자의 책임을 면제해주는 일)를 내는 일 등을 관장하였다.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Accountant 회계사, 会計士An accountant is a practitioner of accounting or accountancy, which is the measurement, disclosure or provision of assurance about financial information that helps managers, investors, tax authorities and others make decisions about allocating resources.In many jurisdictions, professional account...출처 영어 위키백과
-
한국회계사연구 韓國會計史硏究내용 A5판. 376쪽. 1984년 한국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한국고유의 사개치부법(四介治簿法)에 관한 내용과 서양의 복식부기(複式簿記)의 도입과정 및 보급 등에 관하여 고찰한 것으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인 「송도사개치부법에 관한 연구」와 「서양부기의 한국에의 도입」, 「구한말의 서양부기서」 및 「조선왕조의...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윤근호(尹根鎬)
- 창작/발표시기 :
- 1984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한국연구원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공인회계사 公認會計士내용 공인회계사제도의 변천과정을 보면 우리 나라에서 실질적으로 공인회계사의 자격에 대한 법제화가 이루어진 것은 1950년 3월 <계리사법 計理士法>이 제정되면서부터이다. 그 이전의 민족항일기에는 한국인 20여 명이 계리사 자격을 갖고 개업을 하고 있었는데, 광복이 되면서 회원 12명으로 조선계리사회가 조직...
- 시대 :
- 현대
- 성격 :
- 개념, 용어
- 유형 :
- 제도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