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Bow 활 (악기), Bow (music)In music, a bow is moved across some part of a musical instrument, causing vibration which the instrument emits as sound. The vast majority of bows are used with string instruments, although some bows are used with musical saws and other bowed idiophones. A bow consists of a specially shaped stic...출처 영어 위키백과
-
-
아쟁 牙箏궁중 음악과 민속 음악, 창작 음악, 무용 및 창극 반주 등에 합주 및 독주 악기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연주 아쟁을 연주할 때는 미단(尾團) 쪽의 초상(草床...20-30㎝ 정도 떨어져 앉는다. 오른손으로 활을 쥐고 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데, 활을 잡을 때는 검지손가락이 활 위로 오게 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국악악기 시리즈 (제4집) 해금(奚琴)왼쪽으로 반음씩 올라간다. 관의 밑은 납밀(蠟蜜)로 막혀 있어서 만약 어느 관의 음이 맞지 않을 때는 납밀로서 조절한다. 해금(奚琴) 두 줄 사이에 활로 줄을 그어서 소리를 낸다. 해금은 관현합주, 줄풍류, 삼현육 등에 편성되는 중요한 악기이다. 한 국악기 가운데서 활을 사용하는 악기는 아쟁과 해금뿐이다.
- 발행일 :
- 1974.8.20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30원
- 디자인 :
- 해금(奚琴)
- 우표번호 :
- 906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국악악기 시리즈 (제4집) 소(簫)왼쪽으로 반음씩 올라간다. 관의 밑은 납밀(蠟蜜)로 막혀 있어서 만약 어느 관의 음이 맞지 않을 때는 납밀로서 조절한다. 해금(奚琴) 두 줄 사이에 활로 줄을 그어서 소리를 낸다. 해금은 관현합주, 줄풍류, 삼현육 등에 편성되는 중요한 악기이다. 한 국악기 가운데서 활을 사용하는 악기는 아쟁과 해금뿐이다.
- 발행일 :
- 1974.8.20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소(簫)
- 우표번호 :
- 905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
포부가 가장 큰 악기, 해금 두 줄로 표현하는 무한대의 영역꽂는다. 활대는 출단화목이나 오죽(烏竹), 해죽(海竹)으로 만들고, 말총으로 활시위를 만들며, 송진을 칠해서 줄을 마찰한다. 왼손으로 줄을 짚고 오른손으로 활을 긋는다.” 여기서 중국의 해족이 좋아하는 ‘현도’라는 악기에서 나온 해금과 우리 해금의 다른 점이 보인다. 중국의 해족이 좋아한다는 해금은 죽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