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환경수용력 環境收容力, Environmental capacity
    환경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로 한 생태계에서 개체군의 수가 증가할 수 있는 최대치를 의미하기도 하고, 인간이 환경을 오염시켰을 때 환경이 자정작용을 할 수 있는 최대치의 오염범위를 의미하기도 함|자연이 스스로 정화하여 일정수준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며 자원을 재생한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생태계의 자...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환경수용력 carrying capacity
    특정 환경조건에서 특정한 종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개체수.|인간이 대상이 되는 경우는 인구지지력이라고 한다. 환경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 화전농경민이나 채집수렵어민을 대상으로 적정 인구밀도를 추정할 때 자주 쓰는 개념이다. 농경민의 경우에는 경작기술의 차이가 인구지지력의 값을 크게 좌우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태계
  • 환경수용력 環境受容力
    개체군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의 수준
    분야 :
    해양정책
  • 환경수용력 環境收容力, carrying capacity
    어떤 지역(공간)에서 특정한 종이 유지할 수 있는 최고의 개체군 레벨.
  • 199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환경에 주목했던 90년대 문학
    태주의 상상력’을 향해 한 환경 전문 도서는 그 책의 끝머리에 실은 용어 해설에서 ‘생태 지향주의’에 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을 붙이고 있다. 데이비드 페퍼...내세우는 유사한 주장들과 함께 인구와 경제 성장에 절대적인 제한을 가함으로써 인간의 자유 행동을 억제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의 수용력까지도 감안한...
    시기 :
    1994년
  • 마르세유 자연·인문환경
    깊어 쉽게 항구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험준한 산지로 인해 시가지 확장에는 많은 장애가 따른다. 이미 19세기에 원래 천연 항구(비외포르)의 수용력이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구 항구와 인접해 라졸리에트 만을 매립하여 새로운 인공항만을 건설했고, 그외에도 5곳의 항만을 연이어 건설했다. 그러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로지스틱 방정식이란?
    어떤 종이 특정 환경에서의 수용능력에 도달할 때까지 그 종의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K로 나타내는 환경수용력은 특정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개체 수의 상한을 나타낸다. 이를테면 환경과 K의 변화는 포식자가 증가하거나 경쟁자가 제거되고 기생동물이 증가하게 되는 상황에서 변한다...
  • 지속 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持続可能な開発
    지속이 가능하려면 인류는 그 활동에서 자연적으로 보충될 수 있는 비율 내에서 자연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 원래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환경 수용력(Carrying capacity)'의 개념과 얽혀 있다. 이론적으로, 환경 퇴보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인류의 삶을 지탱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전지구적인 규모의...
    도서 위키백과
  • K-selection K선택
    어떤 집단이 환경수용력(K)에 가까운 고밀도로 유지될 경우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선택. 집단은 자손을 적게 낳는 대신 적응도를 높게 한다. 이같은 현상은 성체 사이의 경쟁적 상호작용과 밀도의존성 상호작용과 더불어 유체(幼體)의 가입기회가 좀처럼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성체는 성장과 유지에 주력...
  • 경쟁 배타의 원리 Competitive exclusion principle, 競争排除則
    짚신벌레(Paramecium aurelia, P.caudatum)를 이용한 실험으로 경쟁 배타의 원리를 정립하였다.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같은 조건에서 배양되었을 때는 환경수용력에 도달할 때까지 빠른 개체군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매일 신선한 물과 지속적인 먹이 공급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두 종이 같이 배양되었을 때는 처음...
    도서 위키백과
  • R/K 선택 이론 R/K 선택 이론, R/K selection theory
    r/K 선택 이론에서 선택 압력은 r - 또는 K-선택이라는 두 가지 일반화된 방향 중 하나로 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r은 최대 성장률, K는 지역 환경수용력, dN/dt(시간 t에 대한 N의 도함수)는 시간에 따른 인구 변화율이다. 따라서 방정식은 두 개의 상수 매개변수 r과 K의 효과를 통합하여 인구 N의...
    도서 위키백과
  • 로지스틱 방정식 Logistic differential equation, ロジスティック方程式
    있어 이후 개체군 생태학의 기본적인 수학 모델로 자리잡는다. 실제 식은 다음과 같다. \frac{dN}{dt} = rN(\frac{K - N}{K}) 여기서K는 환경 수용력, 즉 그 특정 환경에서 살 수 있는 개체 수의 정원이다. r는 내적 증가율로 부르며, 그 생물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증가율이다. 실제 증가율은 N이 K에 가까워지면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