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가족 家族비가족 가구(과도적 가족) 2.0%, 단순가족(핵가족) 52.7%, 확대가족 16.8%, 복합가족 21.6%, 기타 1.4%. 이 연구에 의하면, 가구별 분포는 핵가족 가구가 52.7%로서 최빈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별로 분석하면 당시 인구의 44.3%가 핵가족에 속하는 반면 51.4%의 인구는 확대가족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조선 朝鮮봉사가 통례화하고, 복상(服喪)의 한계도 남자의 경우 8촌친까지였으며, 족징(族徵)의 한계도 8촌의 범위였다. 따라서, 친족은 사회 구성의 기본 단위인 가족이 확대된 것이고, 또 종족은 친족 집단의 연장으로서 각기 사회 구성의 단위가 되었다. 가족제도와 관련된 예법으로 혼인 · 상장(喪葬) · 제사가 있다. 이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산가족 화상상봉 離散家族 畵像相逢화상상봉은 2005년 8월 15일 제1차 화상상봉 행사를 시작으로 2007년 11월 15일까지 7차례의 상봉 행사를 가져 총 557가족, 3,748명의 이산가족이 만남을 가졌다. 의의와 평가 이산가족 상봉 확대를 위해 새로이 도입된 방식인 화상상봉은 이산가족 교류(상봉.생사확인)규모의 확대와 함께, 특히 거동이 불편해 대면...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
남북이산가족고향방문 南北離散家族故鄕訪問전면적 생사확인과 상봉정례화에 필요한 기본자료 및 이산가족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한편,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을 보다 확대하고 정례화하기 위해 북한에 이산가족면회소 설치문제를 꾸준히 제기하여 왔다. 남북은 제4차 남북적십자회담(2002.9.6~8)에서 이산가족면회소 설치에 합의한 이후 여러...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