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전농법 火田農法, slash-and-burn agriculture
    세계 각지의 열대림에서 근채류 재배를 위해 사용하거나 동남아시아의 산림 구릉지대에서 밭벼 경작에 사용하는 경작법.|산림지역을 태워 자라고 있는 식물들을 없앤 후 작물을 심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으로 잡초를 없앨 수 있으며 재를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몇 년 간 경작한 후 농지의 비옥도가 떨어지고 잡초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부여의 경제 생활
    화전농업’은 정주농민(定住農民)들이 정주지 주변의 삼림을 불살라 경지로 만들고, 주로 자연지력(自然地力)에 따라 윤경(輪耕)하는 한전농법(旱田農法)이었다. 개척형 화전농업은 잡곡(雜穀) 중심의 한전농업을 기축으로 전개되었는데, 이는 특히 철기 문명이 등장해 화북(華北)평야 일대가 개척된 춘추전국 시대(春秋...
  • 화전 火田
    내용 화전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랜 농경방식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중국의 화경(火耕)이나 일본의 야키바타(燒畑)도 화전과 같다. 화전을 개척하면 그 동안에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화전에 의한 농업은 유랑화전농업(流浪火田農業)과 정착화전...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fire
    벌목 후 방화(slash and fire) 농법, 즉 화전농법(火田農法)이라고 불린다. 지금도 열대지방에서 널리 사용되며 온대지방에서도 일부 이용되고 있다. 화전농법은 그 지역의 기후·지질, 지역적 조건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서 그 지역 풍경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 신대륙에서는 유카탄 반도에 있던 마야 시대의 대규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리우데자네이루(주) 리우데자네이루, Rio de Janeiro
    뒤덮인 습윤지역이었으나 16세기 인디언과 유럽인 거주자들이 임시 농경지를 만들기 위해 나무를 베고 불을 지르는 케이마다스 농법으로 넓은 토지를 개간하면서 열대림은 파괴되었다(화전농법). 플랜테이션 농경으로 사탕수수를 재배하면서 삼림개간은 계속되었다. 커피재배가 늘면서 더욱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구 :
    시 : 6,453,682명 , 대도시권 : 12,090,607명 (2014)
    면적 :
    시 : 1,221㎢, 대도시권 : 4,557㎢
    국가 :
    브라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199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문재 ‘느림’에 싣는 농경 사회적 세계관
    불 이문재는 ‘도보 고행자’에서 ‘산책자’를 거쳐 ‘농부’로 가는 길 위에 서 있다. 시인이 꿈꾸는 ‘마음의 오지’는 전근대적인 원시 농법의 한 형태인 ‘화전’을 통해 일굴 수도 있을 것이다. 『마음의 오지』에 실린 시편 중에서 가장 힘찬 리듬을 가진 「화전」은 “농경공동체 문화에 대한 유전자적인 그리움...
    출생 :
    1959년
  • 빌족 Bhil
    타나, 그리고 동쪽으로는 마디아프라데시의 인도르에 이르는 고지대에 널리 퍼져 살고 있다.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일부는 원시적인 화전농법(jhum)을 쓰기도 하나 대체로 쟁기를 사용해 농사를 짓고 있다. 산악 지대에 사는 빌족들은 대개 욋가지와 짚으로 지붕을 이은 농가에서 드문드문 흩어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타날라족 안타날라족, Tanala
    타날라이콩고족은 여러 개의 독립 영지를 유지하고 있었다. 타날라족은 벌목·식량채집·사냥 등에 능하다. 밀랍·꿀 등 숲에서 나는 산물들을 교환하며, 화전농법을 이용해 주로 쌀을 생산한다. 중앙정부는 타날라족이 쌀과 커피를 생산하는 데 좀더 현대적인 방법을 쓰도록 장려하고 있다. 부계 혈통을 따르며, 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쿠나족 Cuna
    16세기에 이들은 꽤 세력이 컸다. 상당한 권한을 가진 추장들이 연합부락을 다스렸으며, 부족 내의 싸움도 잦았지만 이웃 부족들과도 전쟁을 벌였다. 화전농법을 이용해 농사를 지었으며, 해안을 따라 카누를 타고 다니며 장거리 무역을 했다. 이들은 매우 발달된 계급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포로를 노예로 삼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카시족 Khasi
    나뉘어 있다. 주식인 쌀은 계곡의 저지대나 산기슭의 계단식 논에서 경작된다. 아직도 많은 농부들이 밀림을 불태우고 그곳에다 1~2년간 곡물을 재배하는 화전농법으로 농사를 짓는다. 1950년대 이 지역에 만들어진 행정체계하에서 구성된 평의회는 부의원의 지도 아래 얼마간의 정치적 독립성을 누리고 있다. 그밖에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유카텍마야족 Yucatec Maya
    섬유 제조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전통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촌락에서 거주하며, 옥수수·콩·호박·칠리·마 등과 기타 작물들을 재배한다. 짚으로 지붕을 이은 집에서 살며, 돼지와 닭도 키운다. 농사는 주로 화전농법으로 지으며, 경작할 때 땅 파는 막대기, 괭이, 날이 넓은 큰 칼 등을 도구로 사용한다. → 마야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케니아족 Kenyah
    관계를 유지하며 생활하고 있는데 언어는 달라도 이들은 문화적인 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닌다. 케니아족의 전통적인 경제는 밀림의 개간지에서 행하는 화전농법에 의한 밭벼 재배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개 부락은 길이가 360m 되는 단 하나의 커다란 공동주택으로 이루어지는데, 말뚝 위에 세워진 이 집의 후면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