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혼작 混作, companion cropping
    생활사가 같은 2가지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땅에 섞어서 재배하는 것. 섞어짓기라고도 함.|2가지 이상의 여름작물을 동시에 재배하는 것이 보통이다. 혼작을 하면 토양과 기상에 대한 적응력이 약한 작물이 있더라도 다른 종류에 의하여 보충될 수 있고 재해 및 병충해에 대한 위험성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섞어짓기 混作
    내용 대부분 여름작물이다. 우리 나라에서 섞어짓기[混作]의 역사는 확실하지 않으나 매우 오랜 것만은 틀림이 없으며, 15세기 초의 기록을 보면 혼작이 발전된 까닭은 기상재해나 병충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자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한다. 1429년에 편찬된 ≪농사직설≫에 따르면 “섞어짓기의 기술은 해에 따라 수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수수
    條播)를 할 경우에는 10당 4l 정도를 파종하여 30㎝당 4·5본이 자라도록 한다. 시비량은 10a당 질소 8㎏, 인산 6㎏, 칼리 6㎏, 퇴비 1,000㎏이 적당하다. 이식혼작의 경우는 주로 보리의 뒷그루로 재배하는 콩과 혼작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는 묘를 키워서 이식한다. 묘판은 5월 중순경에 파종하고 부식퇴비·재...
    분류 :
    벼과
    원산지 :
    열대 아프리카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m
    학명 :
    Sorghum bicolor MOENCH
    분야 :
    과학/식물
  • 논과 밭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대에 따라 크게 다른데, 1934∼1936년의 3개년 평균을 보면 〈표 1〉과 같으며 이를 지대구분하여 전작지대(田作地帶) · 답전혼작지대(畓田混作地帶) · 답작지대(畓作地帶)로 구분하였다. 전작지대는 평안남북도의 서부지방과 함경남북도의 북부지방을 포괄하며 총경지면적 중 논면적이...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들깨
    높다. 보통 채소밭의 한 모퉁이에서 재배되고, 길가쪽 몇 고랑에 심어서 가축들에 의한 작물의 피해를 막기도 한다. 또, 들깨는 콩이나 그 밖의 곡물과 혼작을 하기도 한다. 종자의 일반적 성분은 수분이 17.8%, 단백질 18.5%, 섬유질 28%, 비타민 B2가 0.11㎎%, 니코틴산 3.1㎎%이다. 지방은 약 40%로 주로...
    분류 :
    꿀풀과
    성격 :
    식물, 초본식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60∼90㎝
    학명 :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8∼9월
  • 농사직설 農事直說
    줄뿌리기)·살파(撒播:흩뿌리기)·혼파(混播:몇몇 다른 종류의 씨를 섞어 뿌리기) 등 3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경작방식으로는 2년3작·단작(單作)·혼작(混作)·휴한(休閑)·간작(間作) 등을 채용했다. 중경제초(中耕除草) 작업은 작물에 따라 달랐는데 언급이 없는 것(메밀), 1번에 그치는 것(삼·보리), 3~4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농사직설 農事直說
    條播:줄뿌리기)·살파(撒播:막뿌리기)·혼파(混播:몇몇 다른 종류의 씨를 섞어 뿌림) 등 세 가지 방법이 시행되었으며, 경작방식으로는 2년3작·단작·혼작·휴한·간작 등이 적절히 채택되었다. ≪농사직설≫의 내용은 판본이 거듭되고 개수됨에 따라 계속 증보되었는데, 예를 들면 조도앙기(早稻秧基), 화누법(火耨...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초, 변효문
    창작/발표시기 :
    1429년, 1492년, 1656년
    성격 :
    농업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강낭콩
    고위도지대나 산간지대에서도 추파소맥 등과 윤작을 하기에 알맞다. 그러나 소규모 재배가 많아 감자밭이나 채소밭, 또는 여러 여름작물의 주위작이나 혼작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에서는 품종이 정리되지 못하였고 재래종은 경협왜성종(硬莢矮性種)이 많다. 열매는 팥처럼 밥에 넣어 먹거나 떡·과자의 소...
    분류 :
    콩과
    성격 :
    식물
    유형 :
    동식물
    학명 :
    Phaseolus vulgrais var. humilis ALEF
    분야 :
    과학/식물
  • 이년삼작 二年三作
    않고 재배한다. 그 까닭은 전년도에 두류를 재배하여 땅이 기름진 뒤에 겨울철에는 휴한하여 땅이 비교적 비옥해졌기 때문이다. 한편 조밭에는 간간이 콩이 혼작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풍뎅이·잎벌레 등의 해충에 의한 조의 피해를 적게 하면서 지력보급을 하기 위한 것이다. 제2작인 밀은 조를 수확한 다음에 파종...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생산력 生産曆
    농업생산력은 쉽사리 구분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여기에 충청남도의 어촌인 녹도(鹿島)와 반농반어(半農半漁)의 성격을 띤 원산도(元山島) 및 논밭의 혼작지대(混作地帶)인 연기군 남면 수산리의 농업생산력을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다. 녹도에서는 논이 없기 때문에 밭농사만 짓는데, 농사는 주로 부녀자들의 소관...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촌락
  • 친환경농법연구원
    생장촉진, 흙살림순환농법(배출된 음식물찌꺼기를 닭에게 주고, 닭의 배설물은 퇴비장에서 지렁이 등을 이용하여 퇴비화하여 순환시키는 농법), 한 경작지에 특성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같이 재배하는 혼작(섞어짓기) 등의 친환경농법을 연구한다. 그 외에 연구원(일반)이 수행하는 일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육체활동 :
    웅크림, 시각
    직무기능(자료) :
    종합
    직무기능(사람) :
    자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고용직업분류 :
    [122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11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산업분류 :
    [M701]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루앙남타주 Luang Namtha province, ルアンナムター県
    작물을 키운다. 한편 골짜기에서 3 ~ 년의 유휴 주기로 화전을 영위하지만, 그것을 보완하는 형태로 최근 논이 소규모로 조성되었다. 야채 작물은 우기, 화전 혼작과 건기에는 하천을 따라 재배되고 있다. 마을 주변의 숲은 거의 이차림화되었고, 화전에 의한 생산성은 저하되고 있다. 산지 화전 마을에서는 5 ~ 20년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