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조 요시토키 北條義時, Hojo Yoshitoki
    일본의 무사.|일본 중부의 가마쿠라에서 일본을 지배했던 가마쿠라 바쿠후[鎌倉幕府:1192~1333]의 권력을 공고히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아버지 호조 도키마사[北條時政]의 뒤를 이어 싯켄[執權:섭정]이 되고, 이 직책을 호조 가문의 세습직으로 만들었다. 이후 교토[京都]에 있던 덴노가 공식적인 정...
    출생 :
    1163, 일본
    사망 :
    1224. 7. 1, 일본 가마쿠라[鎌倉]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호조 요시토키 (관련어 호조요시토키) Hōjō Yoshitoki, 北条義時
    무사 정보 호조 요시토키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이다.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싯켄. 이즈(伊豆)의 호족·호조 도키마사의 차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실·호조 마사코의 동생. 도쿠소 가문 당주. 겐지 쇼군의 대가 끊긴 후 가마쿠라 막부의 실질적인 최고 지도자로서 조큐의 난 후에...
    도서 위키백과
  • Hōjō Yoshitoki 호조 요시토키, 北条義時
    was the second Hōjō shikken (regent) of the Kamakura shogunate and head of the Hōjō clan. He was the eldest son of Hōjō Tokimasa and his wife Hōjō no Maki. He was shikken from the abdication of his father Tokimasa in 1205 until his death in 1224. Early Years Until Fatherhood (1163–1183) ...
  • 가마쿠라 막부를 지배한 여걸, 호조 마사코 北條政子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가신과의 권력 다툼 도중에 제거되면서 요리토모의 직계 혈통이 끊어졌다. 이로써 막부의 실권은 요리토모의 정실부인 호조 마사코와 처남 호조 요시토키에게 넘어갔다. 이후 가마쿠라 막부가 무너질 때까지 130여 년간 호조 가문이 막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된다. 호조 마사코는 1157년 이즈국...
    출생 :
    1157년
    사망 :
    1225년
    국적 :
    일본
  • 호조 도키마사 北條時政, Hojo Tokimasa
    사네토모의 목숨을 노리는 기도가 있었으나 사네토모는 그의 어머니이자 도키마사의 딸인 마사코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 마사코와 그녀의 남동생인 호조 요시토키[北條義時]는 위원회를 소집하여 그들의 아버지인 도키마사에게 물러날 것을 강요했다. 요시토키가 도키마사를 대신해 싯켄의 자리에 올랐으며, 이 자리...
    출생 :
    1138, 일본 이즈 구니[伊豆國]
    사망 :
    1215. 2. 6, 이즈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호조 도키마사 Hōjō Tokimasa, 北条時政
    키의 딸.※이토 뉴도에 대해서는 이토 스케지카(伊東祐親)라는 설도 있다. 호조 마사코: 아노 젠세이(阿野全成)의 아내. 어머니는 이토 뉴도의 딸. 호조 요시토키: 겐지 일문의 아시카가 요시카네(足利義兼)의 아내. 어머니는 마사코와 같으나 불명. 이나게노뇨보의 아내 아시카가 요시즈미(足利義純)의 아내 호조 도키...
    도서 위키백과
  • 요시토키
    요시토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호조 요시토키: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오에노 요시토키: 일본 중고36가선 중 한 명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호조 마사코 Hōjō Masako, 北条政子
    2년(1200년)에 요리이에의 전제적 통치를 견제하기 위한 오오에노 히로모토(大江廣元)、가지와라 가게토키(梶原景時)、히키 요시카즈(比企能員)、호조 도키마사、호조 요시토키 등의 노신(老臣)으로 이루어진 13인의 합의제가 성립되었다. 그러다 고케닌 아다치 가게모리(安達景盛)의 애첩을 요리이에가 빼앗는 사건이...
    도서 위키백과
  • 호조 야스토키 北條泰時, Hojo Yasutoki
    쇼군[將軍] 군대의 사령관이 되어 반란을 재빨리 진압하고 일본 왕실에 대한 호조 가문의 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교토[京都]의 왕궁 근처에 군사 본부를 구축...호조 가문의 가신들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더욱 강화되었다. 1224년 요시토키가 죽자 섭정직은 야스토키에게 계승되었다. 개인적인 권력 강화를 유보하고...
    출생 :
    1183년, 일본 가마쿠라(鎌倉)
    사망 :
    1242년 7월 14일, 가마쿠라
    국적 :
    일본
  • 호조 마사코 北條政子, Hojo Masako
    아버지인 호조 도키마사[北條時政]의 보호·감시를 받고 있었는데, 이때 요리토모와 마사코는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요리토모와 결혼했으며, 이후 요리토모가 일본을 정복하도록 도왔다. 1199년 요리토모가 죽자 마사코는 비구니가 되었다. 1204년 그녀의 맏아들이자 요리토모의 후계자인 요리이...
    출생 :
    1157, 일본 이즈 구니[伊豆國]
    사망 :
    1225. 8. 16, 가마쿠라[鎌倉]
    국적 :
    미나모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본
  • 호조 쓰네토키 Hōjō Tsunetoki, 北条経時
    가 틀어올려 주고, 쇼군 요리쓰네의 헨기(偏諱)를 받아 야시로 쓰네토키라는 이름을 받게 되었다. 야시로라는 이름은 초대 싯켄이었던 호조 도키마사(北条時政)나 호조 요시토키(北条義時)의 가명이기도 했던 「시로(四郎)」를 의식한 것으로 도쿠소케 적류(嫡流)의 정당성을 보이려는 야스토키의 의사가 반영된 것...
    도서 위키백과
  • 호조 도키요리 Hōjō Tokiyori, 北条時頼
    요리쓰네를 비롯한 반호조 세력이 대두하고 간겐(寛元) 4년(1246년) 5월에는 요리쓰네의 측근으로 호조 일족이었던 나고시 미쓰토키(名越光時, 호조 요시토키北条義時의 손자)가 쇼군 요리쓰네를 끼고 군사행동을 준비하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으나 이를 도키요리는 진압하는 동시에 반(反)도쿠소(得宗, 호조 본종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