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사도요 천연기념물 제449호, Greater Painted-snipe
    서식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아프리카,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드문 나그네새이며, 일부 지역에서 적은 수가 번식하고 월동한다. 행동 습지, 휴경지, 하천 등지에 서식한다. 비번식기에는 작은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보통 일처다부제로 알려져 있다. 암컷이 수컷에게 접근해 구애행동을 한다. 둥지는 식물로...
    분류 :
    호사도요과(Rostratul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449호
    서식지 :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아프리카,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크기 :
    L23.5~26cm
    학명 :
    Rostratula benghalensis Greater Painted-snipe
  • 호사도요 흰고리눈도요, 豪奢─
    도요목 호사도요과의 철새.|개설 2005년 3월 17일에 천연기념물 제449호로 지정되었다. 중국, 일본, 타이완, 필리핀, 아프리카 등지에서 번식하며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으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이전까지는 매...
    시대 :
    현대
    분류 :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호사도요과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449호
    서식지 :
    충청남도 천수만
    출산시기 :
    4∼7월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크기 :
    부리 41∼50㎜, 날개 115∼146㎜, 부척 38∼45㎜
    학명 :
    Rostratula benghalensis
    분야 :
    과학/동물
  •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형태 크기: 약 23~26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수컷의 이마에서 머리꼭대기와 뒷머리까지는 갈색을 띤 황색의 폭 넓은 머리 중앙선이 지나고 그 양쪽은 어두운 올리브색으로 각 깃털에는 흰색의 가는 가장자리가 있으며 눈위는 그것보다 엷은색으로 다소 갈색을 띤다. 눈 주위에는 엷은 황갈색을 띤 흰색 고리모...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호사도요과(Rostratulidae)
    학명 :
    Rostratula benghalensi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2006년 6월 충청남도 천수만에서 번식이 확인된 이후, 고창, 무안, 제주도 등지에서 번식이 확인되고 있다.
    해외분포 :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아프리카, 일본에 분포한다.
    특징 :
    통과철새, 천연기념물 449호
  • 호사도요류 호사도요류 호사도요, painted snipe
    도요목 호사도요과를 이루는 2종의 섭금류.|몸과 부리가 꺅도요류와 유사한 눈에 잘 띄는 종류이다. 호사도요류는 몸길이가 약 25㎝이고 갈색과 흰색을 띤다. 구대륙의 호사도요는 아프리카에서부터 오스트레일리아·한국·일본에 걸쳐 분포하며 눈 주위에 안경 모양의 노란색 띠가 있다. 남미호사도요는 보다 어두운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황새목 > 호사도요과
    원산지 :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서식지 :
    호수, 습지와 같은 물가
    먹이 :
    갑각류, 조개류, 곤충의 유충, 지렁이 등
    크기 :
    약 23cm
    무게 :
    약 112g ~ 221g
    학명 :
    Rostratula benghalensi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19일
    멸종위기등급 :
    관심 대상
  • 호사도요 Greater painted-snipe, タマシギ
    호사도요(豪奢 - , Rostratula benghalensis)는 도요목 호사도요과에 속하는 새이다.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습지에서 서식한다. 2005년 3월 1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49호로 지정되었다. 다른 새들과 비교하여 몸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토실토실한 모습의 섭금류 새이다. 긴 적갈색 부리를 가지며 부...
    도서 위키백과
  • Greater painted-snipe 호사도요, タマシギ
    The greater painted-snipe (Rostratula benghalensis) is a species of wader in the family Rostratulidae. It is found in marshes in Africa, India, Pakistan, and South-east Asia (Sulawesi) Medium-sized, plump wading bird. Long reddish-brown bill, slightly decurved at tip, and distinct white or pinkis...
  •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Australian painted-snipe
    생물 분류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Rostratula australis)는 호사도요과에 속하는 종으로, 섭금류로 분류된다. 오스트레일리아페인티드스나이프(Australian painted-snipe)라고도 일컬어지며, 신체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부리가 긴 편에 속한다. 1838년에 존 굴드는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를 Rostratula australis라고...
    도서 위키백과
  • 남미호사도요 South American painted-snipe, 半领彩鹬
    생물 분류 남미호사도요(Nycticryphes semicollaris)는 호사도요과의 한 종이다. 호사도요과에는 남미호사도요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호사도요의 두 가지 종이 더 포함된다. 머리와 목은 어두운 적갈색이고, 머리꼭대기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상체는 어두운 회갈색으로 흰색 점이 있으며 하체는 흰색이다...
    도서 위키백과
  • 호사도요 Rostratula, 彩鹬属
    생물 분류 호사도요속(Rostratula)은 호사도요과에 속하는 속이다.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하는 현존하는 두 가지의 종이 포함된다. 사진 이름 학명 분포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Linnaeus, 1758)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의 습지에서 서식하는 종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도서 위키백과
  • 호사도요과 Painted-snipe, タマシギ科
    호사도요과는 두 종으로 이루어져 있는 도요목의 과이다. 호사도요는 아프리카에서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까지의 지역에 분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 아프리카, 인도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습지에서 발견된다.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도서 위키백과
  • 도요목의 번식
    모여 둥지를 틀기도 한다. 도요목의 조류는 일반적으로 알을 적게 낳으며(대부분 2~4개이며 6개인 것도 있음) 때때로 보호색을 띠고 있다. 자카나류·호사도요·지느러미발도요류 등은 번식양상이 약간 변형되었는데, 이들은 암컷이 수컷보다 색깔이 밝으며 구애행동에서도 암컷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수컷이 알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5건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호사도요 수컷 겨울깃(2009.12.25. 전북 고창)
호사도요 암컷 겨울깃(2010.1.10. 전북 고창)
호사도요 수컷 여름깃(2004.5.27. 전남 영암)
호사도요 암컷 여름깃(2010.4.7. 전북 고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