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법신중 護法神衆, dharmapala
    불법을 지키는 선신. (티). drag-gshed. 호법선신이라고도 함.|8명의 선신이 있으며 악귀에 대한 두려움을 일으키기 위해 무섭고 끔찍한 모습으로 표상된다. 호법신중에 대한 경배는 8세기경 성인 파드마삼바바가 티베트의 악신들을 물리치고 불교를 믿도록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호법신중은 힌두교나 본교(티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호법신 Dharmapala, 護法善神
    호법신(護法神, 호법신이 무리로 있으면 "무리 중(衆)"자를 써서 호법신중(護法神衆) 또는 신중(神衆)이라고 부른다. 화엄성중(華嚴聖衆)이라는 말도 많이 쓰이는데, 화엄경에 등장하는 성스러운 호법신들의 무리라는 뜻이다. 보통 대웅전 한쪽 편에 있는 신중탱화가 화엄성중을 그린 것이다. 보통 무서운 얼굴과 무기를...
    도서 위키백과
  • 화엄신중도량 華嚴神衆道場
    따라 재래의 토속신을 수용하여 형성시킨 호법선신중(護法善神衆)으로 불교의 수호신이다. 재래의 신은 개개의 독립적인 존재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이들이...상실되고 호법신으로서의 복수적인 개념을 지니게 되었다. 즉, 신중이란 모든 재래의 신을 호법신으로 보는 복수개념이다. 한편, 호법선신중으로서의 재래의...
    성격 :
    종교의례, 불교의식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신중작법 神衆作法
    나오는 신중은 불법의 수호신으로서 법회가 있을 때마다 도량과 법사를 수호하겠다고 서원한 선신중(善神衆)이다. 모든 대승경전의 서분(序分)에서 이들 신중들은 호법선신중(護法善神衆)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전상의 구성을 근거로 하여 법회가 있을 때에는 이들 신중을 초청하여 의례를 행하는데 이를 신중...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서울 지장사 대웅전 신중도 서울 地藏寺 大雄殿 神衆圖
    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49㎝, 가로 197.5㎝. 불법을 수호하는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위태천(韋駄天)과 천룡팔부(天龍八部) 등 호법신중을 그린 신중도로, 1893년에 금호 약효(錦湖 若效)를 수화승으로 하여 정련(定鍊), 윤식(允植) 등이 함께 조성하였다. 내용 상단에는 제석과 범천을 중심...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범천과 제석, 그리고 신중
    등 모두 39위의 천왕(天王)·천신(天神)들이다. 39위 신중은 각종 선신과 천룡팔부와 사천왕 그리고 욕계·색계의 천왕들로 구성된 것이다. 의례를 집대성해놓은...수신(樹神)·귀자모신·마리지천·사갈라용왕·염라왕·북극대제·13성군(星君)·아수라·가루라·긴나라·마후라가의 43호법선신(善神)으로 이루어졌다...
  • 신중탱화 神衆幀畵
    내용 법당의 중심부에서 좌우측 벽에 봉안된다. 신중탱화에 나오는 많은 호법신들은 우리 나라 재래의 신들이 많다. 이는 재래 토속 신앙의 불교적 전개를 의미한다. 그리고 토속신들이 호법선신(護法善神)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점에서 신중탱화는 그 어떠한 탱화보다도 고유의 특성이 강하다...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천룡팔부 팔부중, 天龍八部
    투구와 갑옷을 갖춰 입은 무장(武將)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護法) 신장(神將)에 적합한 외형으로 변모된 것이다. 내용 『법화경』에는...이미 천과 용, 즉 천신과 용신이 포함되어있다. 이때의 천과 용은 팔부 신중을 대표하는 역할을 한다. 천은 하늘을 다스리는 천신을 말하는 것이고, 용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석도량 帝釋道場
    대상들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많은 신앙의 대상들이 불교 안에 흡수·융화되어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선신들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들을 호법신중이라고도 하는데, 제석천은 호법신중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호법신이다. 제석천은 원래 수미산 정상에 있는 도리천의 임금으로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식행사 , 불교 , 종교
  • 완주 화암사 괘불도 완주 화암사 괘불탱(完州 花巖寺 掛佛幀), 完州 花巖寺 掛佛圖
    자치도 완주군 화암사에 있는 1917년에 조성한 괘불도이다. 비로자나불과 문수보살, 보현보살의 삼존을 화면 전면에 배치하고 상단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호법신중, 화불 등을 작게 나타냈다. 불화를 조성한 수화승은 화삼(化三)이며 명진(明眞), 대흥(大興), 재환(在煥) 등 4명이 제작하였다. 비로자나삼존을 중심...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고산사 아미타불화 高山寺 阿彌陀佛畵
    중 서방 극락정토를 주관하는 부처인데, 이 그림은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 근거하여 주존인 아미타불이 팔대보살, 십대제자, 그리고 다양한 성격의 호법 신중을 모아 놓고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본존인 아미타불이 대좌 위의 연화좌에 결가부좌한 채 앉아 있으며 그 앞쪽에 좌협시인...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송광사응진당석가모니후불탱·십육나한탱 松廣寺應眞堂釋迦牟尼後佛幀·十六羅漢幀
    것이다. 송광사본은 총 여덟 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가모니후불탱의 좌우에 각 4폭씩 배치되어 있다. 그 중 여섯 폭에는 십육나한이, 나머지 두 폭에는 호법신중이 표현되어 있다. 제1폭에는 십육나한 중 제1, 3, 5존자, 제2폭에는 제2, 4, 6존자, 제3폭에는 제7, 9존자, 제5 폭에는 제11, 13, 15존자, 제6폭에는 제...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367호
    성격 :
    불화
    유형 :
    유물
    크기 :
    석가모니후불탱: 144.5×166.5cm십육나한도: 제1 폭: 123×183cm, 제2 폭: 122×187cm, 제3 폭: 120×97.5cm, 제4 폭: 123×102cm, 제5 폭: 120.5×151.5cm, 제6 폭: 123×152.5cm
    재질 :
    비단에 채색
    제작시기 :
    석가모니후불탱(1724), 십육나한탱(1725)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순천 송광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