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르미즈드 4세 Hormizd IV
    사산 제국의 왕(578/579~590 재위). Hormizd는 Ormazd, Ormizd라고도 씀.|호스로우 1세의 아들이며 그를 이어 왕이 되었다. 고대 사료에 의하면 호르미즈드는 그의 군대와 궁전에서 가혹한 규율을 유지한 반면에 평민을 보호했다. 승려들이 그리스도교도의 박해를 요구했을 때 그는 왕관과 정부는 두 종교를 선의로 다...
    출생 :
    미상
    사망 :
    590
    국적 :
    사산 왕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호르미즈드 4세 (관련어 호르미즈드4세) Hormizd IV, ホルミズ..
    호르미즈드 4세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다. 호스로 1세의 자손이다. 호르미즈드 4세는 579년에 즉위하자마자 그의 형제들을 살해했다. 호르미즈드 4세는 고압적이고 폭력적이지만, 완전히 냉혈한 것은 아니었다. 타바리가 기록한 몇몇의 이야기들에 의하면, 호르미즈드 4세는 군대와 궁정에 엄격한 규율을 정...
    도서 위키백과
  • Hormizd IV 호르미즈드 4세
    Hormizd IV (New Persian: ), was king of the Sasanian Empire from 579 to 590. He was the son and successor of Khosrau I. Hormizd IV is called a Torkzad in the Shahnameh, meaning son of Turk, according to some sources his mother was the daughter of the Turkish khaqan, this, however, has been reject...
  • 바람 6세 쿠빈 Bahram VI Chubin
    라이(지금의 테헤란 근처)의 미란가(家)의 가장이며 장군으로 사산 왕족의 혈통이 아니면서도 이례적으로 왕위에 올랐다. 사산 왕조의 왕 호르미즈드 4세 때 비잔틴과의 전쟁에서 궁내장관으로서 뛰어난 실력을 보였고 뒤에 호라산에서 최고 사령관에 임명되어 터키족의 침략을 물리쳤다. 그러나 589년 로마에 패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사산 왕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사산 왕조시대 Sassanian Dynasty
    이란 동부지역에서 출현하여 중근동으로 진출하기 시작했으나 아직 사산 왕조의 영역에 심각한 위협은 되지 않았다. 호스로우 1세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호르미즈드 4세(579~590 재위)는 비잔티움과 평화협상에 실패했지만, 그리스도교에 관대한 정책을 폈다. 이러한 정책은 그의 아들 호스로우 2세에까지 이어져 결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흐람 코빈 Bahram Chobin, バハラーム6世
    바흐람 추빈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장군이자 샤이다. 바흐람 추빈은 페르시아의 7 귀족 중 미흐란 가(House of Mihran)의 출생으로, 호르미즈드 4세의 치세엔 장군으로 활약하여 돌궐이나 비잔틴 등과의 싸움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평소 바흐람 추빈의 명성을 질투하던 호르미즈드 4세는 바흐람 추빈이...
    도서 위키백과
  • 티베리우스 2세 Tiberius II Constantinus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페르시아 왕 호스로 1세는 비잔티움이 제시한 조건대로 타협할 것처럼 보였지만, 579년 이른 봄에 죽었다. 그러나 그의 후계자인 호르미즈드 4세는 티베리우스의 제안을 거부했고, 전쟁이 재개되었다. 이 전쟁은 티베리우스의 통치기간 내내 계속되었다. 북쪽에 접경하고 있는 아바르족에 대해서...
    출생 :
    ?, 트라키아
    사망 :
    582. 8. 14,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호스로 2세 Khosrow II, ホスロー2世
    호스로 2세 또는 파르베즈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샤이다. 호르미즈드 4세의 아들이며 호스로 1세의 손자이다. 590년에 호스로 2세는 호르미즈드 4세의 반역에 가담한 유력자들에 의해 제위에 올랐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호르미즈드 4세를 처형했다. 그러나 로마 제국과 싸우던 페르시아의 장군 바흐람 코빈...
    도서 위키백과
  • 마우리키우스 Maurice (emperor), マウリキウス
    제국의 군대에서 반란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제국군은 2년 이상을 페르시아와 싸웠다. 그러던 중 페르시아 제국 내에서 내전이 일어나 사산조의 황제 호르미즈드 4세가 살해 당하고 그의 아들 호스로 2세가 비잔티움으로 피신했다. 마우리키우스는 중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회로 호스로우 2세를 지원하여...
    도서 위키백과
  • 하자르 Khazars, ハザール
    있던 루스 카간국과 협력했다. 본래 루스 카간국은 키예프에서 하자르, 아랍으로 이어지는 교역망의 일원이었다. 비잔티움과 루스 카간국은 하자르 제국을 공격하였고 그 결과 약 3세기 동안 흑해 북쪽의 교역망을 장악했던 하자르 제국의 패권은 사라졌다. 호르미즈드 4세 레온 4세 칸국 루스 카간국 가르다리키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아자르미도흐트 Azarmidokht, アーザルミードゥフト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아자르미도흐트는 장군 파루크 호르미즈드는 수도인 크테시폰을 점령하고 아자르미도흐트를 살해했다고 한다. 그 후엔 호르미즈드 6세나 호스로 4세 등이 아자르미도흐트의 뒤를 이었다. 하지만 오직 야즈데게르드 3세만이 636년에 아랍 제국이 공격해 오기 전까지 제국에 최후의 안정을 가져왔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