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이상학적 회화 形而上學的繪畵, Metaphysical pain..
    이탈리아에서 생겨난 회화 양식.|1911~20년에 이탈리아의 미술가인 조르조 데 키리코와 카를로 카라, 조르조 모란디의 작품에서 번성했다. 이 화가들의 구상적이면서도 기괴하고 부조화스러운 형상은 보는 이에게 낯설고 불안한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깊이 있는 먼 공간에 어울리지 않는 여러 가지 물건들을 배치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카라 Carlo Carrá
    화가 조르조 데 키리코를 알게 되었으며 그로부터 평범한 물건을 소재로 불안정한 삶을 표현하는 것을 배웠다. 카라와 조르조 데 키리코는 그들의 양식을 '형이상학적 회화'(pittura metafisica)라고 불렀는데 이때 제작된 둘의 작품은 표면적이나마 유사한 면을 지니고 있다. 1918년 카라는 데 키리코와의 관계를 끊고...
    출생 :
    1881. 2. 11, 이탈리아 콰르넨토
    사망 :
    1966. 4. 13, 밀라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20세기 서양회화
    조르조 데 키리코가 1910~14년 파리에서 그린 환상적인 풍경과 오브제 그림들은 불합리성을 기본태도로 한 그림으로,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에 의해 '형이상학적 회화'라고 명명되었다. 초현실주의 운동은 1924년 앙드레 브르통이 선언문을 발표함과 함께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나오는 무의식의 원리에 입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화 , 미술
  • 회화적 상징
    시적으로 나타난다. 중국과 일본 불화의 제작 및 주제설정은 종교적·형이상학적 의미를 갖는다. 작가의 직관적·서체적 필치는 자연과의 불가사의한 공감을...그 힘의 정신적 조화에 대한 믿음을 나타낸다. 대체로 상징주의적인 인도 회화는 시각적으로도 매우 뛰어나며 뱀, 바나나 잎, 양성 파충류들, 물결 무늬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시와 회화
    회화를 "눈을 뜨고 있는 사람을 위해 사람이 만든 꿈"이라고 규정한다. 이 규정은 이념계와 현상계를 엄격히 구분하고 있는 그의 이원론적 형이상학의 입장에서 내린 회화에 대한 비난을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회화가 진정한 실재인 이념으로부터 두 단계나 떨어진 이중의 모방이고, 실재와 아무 관계가 없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형이상화파 Metaphysical painting, 形而上絵画
    걷다가 회화로 전향, 1906년부터 1909년까지 뮌헨에 머물면서 아르놀트 뵈클린과 막스 클링거의 화풍(畵風)을 배웠다. 그후 이탈리아 각지로 여행하여 르네상스 미술을 연구하고 더욱 1911년에서 1915년까지는 파리에서 큐비즘에 접(接)하였다. 형이상화파의 제창은 파리체재 이후의 일이다. 키리코의 사상적 근저에는...
    도서 위키백과
  • 데 키리코 Giorgio de Chirico
    카를로 카라 및 조르조 모란디와 함께 '피투라 메타피시카'(pittura metafisica) 화풍을 창시했다(→ 형이상학적 회화). 1906년 독일의 뮌헨 미술 아카데미에 들어갔고 그의 초기 양식은 평범한 장소에 환상적인 것을 병치시키는 아놀드 뵈클린의 그림에서 영향을 받았다. 피렌체에서 그는 〈가을 오후의 수수께끼 The...
    출생 :
    1888. 7. 10, 그리스 볼로스
    사망 :
    1978. 11. 19, 이탈리아 로마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이탈리아의 문화예술 이탈리아의 문화
    다 빈치, 티치아노, 베르니니, 티에폴로 등의 위대한 예술가와 건축가가 두각을 나타냈다.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와 미래파의 작품은 조르조 데 키리코의 형이상학적 회화로 계승되었으며, 건축에서는 합리주의의 영향을 받은 피에트로 루이지 네르비가 큰 활약을 했다. 음악은 유럽의 정상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예술과 체제와 개념
    그리스 문화를 계승하려는 과정에서 수행된 키케로나 세네카의 조각에 대한 논의가 있은 뒤에야 대두했다. 위의 2가지 계기,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회화나 조각에 대한 재평가를 일자의 개념을 기초로 새로운 일원론적 형이상학 속에 종합해놓은 사람이 바로 플로티노스이다. 그는 정신적이고 가치적인 이념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문화 일반
  • 자크 데리다 Jacques Derrida
    해체'라고 부르는 이 방법을 통해 그는 형이상학을 가장 많이 비판하는 철학자들까지도 형이상학적 가설과 선험적 가정을 사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데리다...제시하려고 했다. 후기에 발표한 저서로는 〈조종 Glas〉(1974)·〈회화의 진실 La Vérité en peinture〉(1978)·〈우편엽서 La Carte Postale〉(1980...
    출생 :
    1930. 7. 15, 알제리 엘비아르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화론 畵論
    詩文)과 여러 가지 형태의 화가전(畵家傳) 등에 실려 있다. 직관적이고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주로 철학적·문학적 개념의 어휘를 사용하여 다소 애매하고 구체적...동양 미술론을 대변한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각 시대 회화활동의 지침서 역할을 하면서 회화사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회화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화 , 미술
  • 근대미술 近代美術, modern art
    이러한 근대적 움직임에는 신인상주의, 상징주의, 나비파, 아르 누보, 야수파, 입체파, 미래파, 표현주의, 애시캔파, 절대주의, 구성주의, 광선주의, 오르피슴, 형이상학 회화, 소용돌이파, 데 스테일, 순수주의, 다다이즘, 신즉물주의, 초현실주의, 사회사실주의, 추상표현주의, 아르 브뤼, 팝 아트, 옵 아트, 미니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