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식도야이론 形式陶冶理論, formal discip..
    주로 인문주의자들이 옹호한 이론으로 고전어와 수학, 음악을 통해 기억과 추리력을 향상하고 감정을 순화시키는 것을 중시했고, 이렇게 형성된 일반적 정신능력은 다른 교과학습이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준다 훈련의 전이를 주장했다. 그러나 고전 인문학 교육을 위한 이론이라는 비판과 특히 실용적 지식과 자연과학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전이 轉移, transfer
    것이다. 수직적 전이는 같은 교과라고 하더라도 보다 상위 수준의 과제를 학습하기 위해 과거에 학습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다. 전이를 설명해주는 이론들에는 형식도야설(形式陶冶說)·동일요소설(同一要素說)·일반화설(一般化說)·형태이조설(形態移調說)이 있다. 첫째, 형식도야설은 인간의 마음이 기억력·추리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동일요소설 학습전이설, 同一要素說
    형식도야이론에서 전이는 교과의 형식 때문에 일어난다고 주장했으나, 손다이크는 전이실험을 통해 전이는 내용이나 절차에 있어서 양쪽의 학습상태에 '동일한 요소들'이 있을 때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수학을 공부한 결과가 물리학을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두 과목의 내용에 '동일한 요소'가 있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예술교육 藝術敎育
    또는 이론에 따라 달리 전개될 수 있으나 그 공통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예술적 인식의 성격은 본질적으로 가치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가치교육과 도덕교육의 기초로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교육이 전체 교육, 즉 인간 형성이라는 목표 속에서 차지하는 목적은, 예술이 갖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교육 이론 教育科学
    교육 이론의 설명은 교육 현실의 법칙이나 사실을 전제하고, 거기에서 논리적인 결론을 연역하여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설명은 상관관계가 높은 인과관계의 법칙을 갖는다. 대표적인 교육 이론가는 다음과 같다. 마이클 애플(Michael Apple) 찰스 비어드(Charles Beard) 시어도어 브라멜드(Theodore Brameld) 존 듀이...
    도서 위키백과
  • 화론 畵論
    등의 형식을 통해 그림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것은 창작과 감상 등의 회화활동에 한문학적 지식을 갖춘 문인학자들이 참여하면서부터 대두...시도되었던 이러한 풍조는 고려시대로 계승되어 북송과의 활발한 문화교류를 통해 점차 대두되었다. 1100(숙종 5), 1192년(명종 22)에 당 말기까지의 회화이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화 , 미술
  • 문화주의 (교육사상)
    구별한다. 이론적 생활형식은 보편타당한 인식을 얻는 활동이 중심이 되고, 타활동은 모두 이 활동의 보조수단이 된다. 경제적 생활형식은 자연의 물질을 생활수단에 적용하기 위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 하는 활동이 중심이 된다. 심미적 생활형식은 물질적 소재를 미적 형상으로까지 형성하는 예술...
    도서 위키백과
  • 서양 19세기의 교육
    원칙·형식적 교수단계설·창작활동의 원칙 등이 역설되었다. 이상과 같은 교육의 목적·내용·방법은 계발주의 교육자에 따라서 그 강조점이 다르지만 일반적...즉 그들은 첫째, 아동을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지 않고 그때그때 충실히 도야되어야 할 존엄한 존재로 본다. 둘째는 아동들의 심리에 기저를 둔 교육을 역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