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가격지수와 공산품가격지수 간의 간격이 마치 가위의 양날을 벌린 듯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대개 농산물시장은 완전경쟁적이어서 가격순응적(price taking)이며 생산의 특성상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반면, 공산품시장은 불완전경쟁적이어서 가격결정적(price making)이며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높다는 특성...
독점적 산업부문과 비독점적 산업부문 사이에 생산물의 가치실현력에 차이가 발생해 일정기간 양자의 생산물 가격지수에 격차가 생기는 현상이다. 특히 공산물과 농산물가격의 움직임을 그래프에 시계열적으로 나타낼 때 두 선이 교차한 후 벌어지는 모습이 가위 모양(鋏狀, 협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협상가격차라는 이...
독점적 산업부문과 비독점적 산업부문 사이에 생산물의 가치실현력에 차이가 발생해 일정기간 양자의 생산물 가격지수에 격차가 생기는 현상이다. 특히 공산물과 농산물가격의 움직임을 그래프에 시계열적으로 나타낼 때 두 선이 교차한 후 벌어지는 모습이 가위 모양(鋏狀, 협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협상가격차라는 이...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농산물과 공산품 사이의 협상가격차가 확대된다. 이 현상은 농업부문이 상당한 수준으로 자본제화한 서구 여러 나라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 인플레이션이나 불황이 진행되는 동안 더욱 심화되었고, 농업공황 때 가장 격심했다. 후진국에서는 장기적인 농업공황에...
도모해왔고, 이 인위적인 저곡가는 도시와 농촌, 공업과 농업부문간의 격차를 심화시켜왔다. 1972~76년 일시적인 고미가정책이 실시되었는데, 이것은 협상가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아니라 차관상환 압박, 국제수지 악화, 저곡가 및 저물가 유지를 위한 증산유도 등의 여건변화에 따른 미봉책이었다. 이중곡가제의...
타개책으로 만주를 침략하는 한편 이제까지 조선의 식량공급기지화 정책에 근거한 1920년대의 지주육성책에 일정한 수정을 해야 했다. 농산물가격의 폭락, 협상가격차의 확대, 조세부담의 증가로 농가경제는 파탄에 빠졌으며, 자작·자소작 계층은 대거 몰락해갔고 대지주층은 토지를 급속도로 집적해갔다. 또한 농민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