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무암석기 玄武岩炻器, basaltes ware
    단단하고 검은 유리질의 석기. basaltes는 basalt라고도 쓰며 black basaltes('검은 현무암'이라는 뜻)라고도 함.|화산석 현무암에서 그 이름을 땄고, 영국 스태퍼드셔의 에트루리아에서 1768년경부터 조사이어 웨지우드가 만들었다. 웨지우드의 현무암석기는 다른 스태퍼드셔 도공들이 만든 '이집트의 검정'이라 알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현무암 玄武岩, basalt
    정의 검은 색을 띠는 흔한 화산암. 몇몇 현무암은 완전히 유리질이며(타킬라이트), 많은 것은 극세립질이고 치밀한 것도 많이 발견되나 미세한 결정질 기질(석기) 내에 감람석·휘석·장석의 큰 결정(반정)을 갖는 반상조직이 더욱 흔하다. 감람석과 보통휘석은 현무암에서 가장 흔한 반정광물이며, 사장석 반정도 매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현무암 玄武岩
    결정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지표에서 급한 냉각으로 인한 빠른 고화(固化) 때문에 결정 대신에 유리질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현무암 중의 결정은 용암으로 분출하기 전에 마그마 중에서 이미 성장한 것이다. 이때 세립 내지 유리상의 석기(石基) 중에 비교적 큰 결정이 함유된 모양을 반상조직(斑狀組織)이라고...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석기시대 舊石器時代
    많다. 전기로 분류되는 석기공작과 중기로 분류되는 석기공작들의 구성이나 기술적인 변화는 뚜렷하지 않다. 현재 전기로 구분되는 석기공작들은 대체로 한탄강과 임진강 유역의 현무암 대지 위에서 발견되는 유적들이 다수 있고 또한 청원 만수리유적의 하부층에서 나타나는 석기공작을 전기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강동 화암 주상절리 강동동 제3기 현무암 주상절리, 江東花岩柱狀節理
    화암 주상절리에 분포하는 현무암의 반정(斑晶: 반상 석리에서 나타나는 큰 결정)은 주로 사장석이다. 크기는 전체적으로 크기가 1㎜ 이상인 것이 20% 이상이며...누대구조(累帶構造: 조성이 조금씩 다른 결정에 의해 차곡차곡 포위되어 있는 구조)와 체구조(sieve structure)도 발달해있다. 석기(石基: 반상 석리에서...
    시대 :
    현대
    문화재 지정 :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2호
    성격 :
    시도기념물
    유형 :
    지명
    소재지 :
    울산광역시 북구 산하동 952-1번지 해역부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현무암 Basalt, 玄武岩
    있다. 감람석 쏠레이아이트는 보통휘석과 사방휘석, 피조나이트에 더하여 감람석이 풍부하지만, 감람석은 피조나이트의 림을 가질 수도 있고, 석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무암은 솔리더스와 리퀴더스가 높다. 지표에서 리퀴더스는 1200 °C, 솔리더스는 1000 °C보다 조금 낮은 정도로, 다른 화성암에 비해 높은 편...
    도서 위키백과
  • 주먹도끼
    면을 한 방향에서 여러 번 쳐서 만든 초퍼, 그리고 자갈돌의 양쪽 면을 서로 엇갈린 방향에서 여러 번 타격을 가하여 만든 초핑툴 같은 석기들로부터 상당히 발전한 단계에 이른 석기로서 주먹도끼가 나타나기까지는 매우 오랜 세월이 걸렸다. 주먹도끼의 재료는 주로 규석·석영·사암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현무암...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올두바이 공작 Oldowan industry
    찍개도구가 일정한 형태 없이 만들어졌는데, 석영·규암·현무암을 좌우 양 방향으로 깎아서 찍기·긁기·자르기 등 다용도로 쓸 수 있도록 만든 거칠고 단순한...로부스투스도 같은 지역에서 출현했다. 일부 학자들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부스투스는 채식을 했기 때문에 석기 제작이 큰 의미가 없었고 같은 장소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연천 전곡리 유적 漣川 全谷里 遺蹟
    등의 구조로 균열이 있어서, 서리작용과 집중호우의 기후현상이 특징인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짧은 기간동안 침식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현무암대지 위에 존재하는 구석기 포함의 퇴적물은 한탄강이 대지 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기간 동안에 형성된 것이다. 빠른 속도의 현무암침식과 현무암이 30만년 전경에...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전곡리유적 全谷里遺蹟
    유적을 둘러싸고 한탄강이 흐른다. 해발 40~50m 되는 곳에 있으며 1978년에 발견되었고, 1979~83년에 6차례, 그리고 1986, 1991년에 발굴되었다. 석기는 전곡현무암층 위에 쌓인 퇴적층에서 나온다. 칼륨-아르곤(K/Ar) 방법에 의한 절대연대측정에서 전곡현무암층의 가장 윗부분은 약 28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파주 금파리 유적 坡州 金坡里 遺蹟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북쪽의 제2지점에서는 많은 수의 박편과 석편들이 모암(母岩), 망치돌, 다양한 석핵들과 함께 발견되어 석기 제작지점일 가능성이 높다. 구석기유물은 현무암 위에 남아 있는 강퇴적층 상부인 갈색 또는 적색조(赤色調)의 점토층 속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이 층은 1∼2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빌레못동굴유적 ─洞窟遺蹟
    위층의 지압(地壓)으로 단단한 상태이다. 층의 두께는 평균 70㎝ 가량으로 뗀석기가 발견되며, 동굴의 암반 위에 놓여 있다. 발굴에서 수집된 석기는 모두 현무암제이다. 대형석기인 찍개 3개, 박편도끼 4개, 격지석기〔剝片石器〕인 긁개 26개, 칼 12개, 첨기 2개, 송곳 1개, 부리형석기 1개, 홈날석기 2개, 톱니날석기...
    시대 :
    선사/석기
    건립시기 :
    구석기시대
    성격 :
    동굴
    유형 :
    유적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