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헝가리 개혁교회 Reformed Church of ..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이 진행되던 시기와 그후에 헝가리에서 발전한 개혁교회. (헝). Magyarorszgi Reformtus Egyhz.|헝가리는 일찍부터 종교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1545년 에르도드에서 열린 교회회의는 루터교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채택했고, 1567년 데브레첸 교회회의는 개혁교회의 하이델베르크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루마니아 개혁교회 Reformed Church in Romania
    주요 교회 언어이다. 교회 교구의 대다수는 트란실바니아에 있다.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3.15% 또는 701,077명이 개혁교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회원의 약 95%가 헝가리계였다. 종교 기관은 개혁파 키라이하고멜레크 교구와 개혁파 트란실바니아 교구의 두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부는 각각 오라데아...
    도서 위키백과
  • 미슈콜츠 Miskolc
    오늘날 대부분 폐허가 되었다. 센트이시트반 교회, 13세기 고딕 양식의 교회, 국립극장, 개신교회, 아바스 개혁교회와 종탑 등 몇몇 옛날의 훌륭한 건물에서...기술대학이 있다. 미슈콜츠는 보르쇼드-미슈콜츠 산업지대의 중심도시로 헝가리에서 부다페스트 다음 가는 공업도시이다. 시멘트·유리·섬유·식품가공 등의...
    위치 :
    헝가리 북동부 보르쇼드오보우이젬플렌 주, 아바스 구릉지대의 동쪽 끝
    인구 :
    144,337명 (2023년 추계)
    면적 :
    236.68㎢
    언어 :
    헝가리어
    대륙 :
    유럽
    국가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근대 유럽의 출현
    보헤미아와 헝가리 왕위를 모두 차지했다. 그보다 더 동쪽에서는 모스크바 대공국이 강력한 독재군주국으로 새로이 등장했다. 이반 대제라고 불리는 이반 3세는 콘스탄티노플과 키예프의 전통을 자신이 계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브고로트를 점령하고 타타르족의 종주권을 거부했는데, 모스크바 대공국이 세력을 팽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종교개혁과 30년전쟁
    종교개혁의 물결이 가라앉은 뒤, 가톨릭 교회는 트리엔트 종교회의를 계기로 교황의 우위를 재확인하고 교회의 엄격한 위계제를 재확립하여 교회의 부정부패를...칼뱅파와 루터파 사이의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쟁을 틈타 헝가리와 보헤미아에서는 귀족들이 지배자의 종교에 크게 저항했다. 그러나 가톨릭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종교개혁 및 농민 전쟁 시대의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헝가리, 오스트리아(도나우 공국)의 지배자가 되었을 때, 트리엔트 공의회 결정을 거부했다. 당시 오스트리아에서는 신교 세력이 크게 확산되었고...그는 1572년 이후 교황 그레고리 13세와 함께 가톨릭의 반종교 개혁을 수행하여 오스트리아 지역에서 신교 세력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1543년과 1554년의...
    시대 :
    근대 초기
  • 근세기의 로마 가톨릭 교회
    폴란드와 헝가리를 비롯해 로마 가톨릭 교회가 깊이 뿌리내린 국가들이 공산화되자 20세기 로마 가톨릭 교회는 큰 타격을 입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많은 관측통은 로마 가톨릭 교회가 20세기 후반에 현대 세계와의 관계에서 본질적으로 방어적 태도를 취할 것이라고 결론짓고 있었다. 그러나 교황 요한 23세(1958~6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얀 후스 Jan Hus
    그리하여 개혁운동에 최초의 순교자가 생겼다. 얀 후스에 대한 재판이 재개되어 교황청 법정은 그를 출두불응을 이유로 파문했으며, 프라하를 비롯해서 후스가...도시는 성무금지령에 처한다고 선언했다. 성무가 금지된 지역에서는 교회의 성사를 베풀 수 없었다. 도시에 화가 미치지 않도록 얀 후스는 1412년 10월 자진...
    출생 :
    1372/73, 보헤미아 후시네츠
    사망 :
    1415. 7. 6, 콘스탄츠 자유시
    국적 :
    체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중세말 독일의 상황
    및 제국의 개혁에 나섰다. 그는 화폐제도 정비, 고리대 억제, 국가와 교회 관계의 조정에 힘쓰고 '란트 평화령'을 발표하여 제국의 법질서를 확립하려고 했으나 제후들의 반발과 후계자 문제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제국개혁의 요구는 다시 막시밀리안 1세(1493∼1519 재위) 때에 강하게 제기되었다. 그는 부르고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서방교회 대분열 Western Schism, 教会大分裂
    카를로가 헝가리에서 사망한 후에도 나폴리와 갈등속에 살다가 1389년 로마에서 독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아비뇽에 정착한 클레멘스 7세는 1384년 이탈리아 원정을 실시했으나 비참하게 끝나 버렸다. 우르바노 6세가 1389년에 사망하자 로마의 추기경들과 접촉하여 분열의 조기 종식을 위해 자신을 교황으로 추대해...
    도서 위키백과
  • 스테파노, 헝가리 Stephen of Hungary, St.
    스테파노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마지야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는 반란을 일으킨 자들을 정복하고 나라를 바로잡은 뒤에 헝가리 국왕이 되었다. 그는 헝가리를 왕국으로 일으키고, 좌를 세워 헝가리 교회 조직을 정비하였다. 그는 주교좌에 재정을 지원하고 광범위한 개혁을 단행하였다. 그는 또한 현명하게 통치하였고...
  • 칼뱅주의 Reformed Christianity, カルヴァン主義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는 정신을 공유한다. 개혁주의를 따르는 교단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개혁교회(Reformed church)- 독일, 네덜란드, 남아공, 미국(CRC와 RCA), 헝가리.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미국, 캐나다, 호주, 한국. 회중...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