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법개정 개헌, 憲法改正
    헌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것|개요 헌법개정을 말한다. 줄여서 ‘개헌’이라 한다. 헌법개정에서의 헌법은 성문헌법에 해당하며 불문헌법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성문헌법은 미국의 연방헌법이나 대한민국 헌법처럼 특정 문서로 만들어진 헌법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문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헌법은 불문헌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헌법
  • 개헌 (관련어 헌법 개정) Constitutional amendment, 憲法改正
    개헌(改憲) 또는 헌법 개정(憲法改正, 즉 근본규범을 파괴하지 않고 헌법조항을 수정·삭제 또는 증보하여 의식적으로 헌법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다. 헌법은 국가의 근본법이므로 그 변경에는 신중을 요한다. 특히 근대의 입헌주의적 헌법이 성립된 이후로는 헌법을 성문화하고 그 개정을 곤란하게 하여 국민의 기본권...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헌법 大韓民國憲法
    국민의 권리와 의무, 제3장은 국회, 제4장은 정부, 제5장은 법원, 제6장은 헌법재판소, 제7장은 선거관리, 제8장은 지방자치, 제9장은 경제, 제10장은 헌법개정에 관한 규정이며, 부칙 6개조에는 경과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 근대적인 헌법이 제정된 것은 1948년의 제헌헌법에서부터 비롯된다. 조선시대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헌법
  • 사사오입개헌 四捨五入改憲
    11월 18일 국회에 상정하고 27일 비밀투표로 표결하였다. 표결결과는 재적인원 203명, 재석인원 202명, 찬성 135표, 반대 60표, 기권 7표였다. 이것은 헌법개정에 필요한 의결정족수인 재적 인원 203명의 3분의 2인 136표에 1표가 부족한 135표 찬성이므로 부결된 것이어서 당시 사회자인 부의장 최순주(崔淳周)가 부결...
    시대 :
    현대
    발생 :
    1954년 11월 27일
    성격 :
    개헌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이승만
  • 헌법의 성립
    전쟁 종결 당시부터 일본 국민들은 헌법개정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국가의 이상을 어디에 두느냐, 국가의 조직을 어떻게 새로 고치느냐는 문제 등 지금까지의 천황 중심에서 국민 중심의 평화민주국가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기본원칙인 헌법개정이 불가피하였다. 패전 직후부터 정부 내에서 헌법개정...
  • 헌법 개정 절차 개헌 절차
    헌법 개정 절차는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먼저 재적의원 과반수 또는 대통령이 헌법개정안을 발의해야 한다. 이후 발의된 개정안을 대통령이 20일 이상 동안 공고하고, 국회는 공고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개정안을 의결해야 한다. 개정안을 의결하려면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국회에서 개정안이 의결...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헌법
  • 발췌개헌 拔萃改憲
    연행에 의하여 동원되어 며칠씩 연금되는 테러 속에서, 7월 4일 밤 국회는 기립표결로 찬성 163, 기권 3표로 발췌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이승만은 새로운 헌법에 의하여 같은 해 8월 5일 실시된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 그러나 발췌개헌은 ① 일사부재의(一事不再議)의 원칙에 위배되고, ② 공고되지 않은...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국회의원 國會議員
    변경되었다. 변천과 현황 헌법 제정 이후 아홉 차례에 걸친 헌법 개정에 따라 국회의원의 구성, 선출 방식, 임기, 지위 등에 변화가 있었다. 1952년 제1차 헌법 개정 단원제 국회를 양원제로 하여 국회의원은 임기 4년의 민의원 의원과 임기 6년의 참의원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공화국 기간 동안...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시월유신 十月維新
    해산과 정치활동 중지 등 헌법 일부 조항의 효력 정지, ② 비상 국무회의가 효력이 정지된 일부 헌법 기능 수행, ③ 비상 국무회의의 헌법 개정과 국민투표, ④ 개정 헌법에 따른 헌법질서 성립 등이었다. 연원 및 변천 10월 유신의 정치적 동기와 배경에 대해 박정희는 ①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세력균형 변화와 안보...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헌법을 보호하는 수단
    존 로크, 장 자크 루소 등의 저술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헌법은 국가의 행위 준칙인 합법성의 기준을 제공한다. 이러한 헌법에 대한 개정에 대해서는 헌법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헌법개정권자는 대통령과 국회의원으로 대통령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회의원 재적과반수의 찬성으로 발의할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헌법재판소 제대로 들여다보기 동성동본 부부와 군대 안 간 여자가 찾은 곳?
    년이 지난 뒤 뒤늦게 헌재를 찾았다. 2013년 3월 헌재는 국민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침해한 긴급조치가 위헌이라고 선언한다. 2010헌바132등 "헌법개정하거나 다른 내용의 헌법을 모색하는 것은 주권자인 국민이 보유하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로서, 가장 강력하게 보호해야 할 권리 중의 권리이다. 그런데도 긴급조치는...
  • 평화헌법 平和憲法
    아니한다. 국가 교전권은 인정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며 군대 보유와 전쟁을 포기했다. 따라서 일본이 전쟁할 수 있는 나라가 되려면 이 헌법개정해야 한다. 평화헌법에 따라 일본은 군대를 보유할 수 없지만 1954년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부대’라는 명목으로 사실상 군대와 다름없는 조직인 자위대(自衛隊)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헌법개정위원회
헌법개정의 절차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에 모인 헌법 개정 반대 시위대
평화 헌법 제9조 개정에 반대하는 일본 내 시위(위)와 우리나라의 위안부 수요 집회(아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