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균 단보(端甫), 許筠조선시대 첨지중추부사, 형조참의,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 아버지는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서 학자·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엽(曄)이다. 어머니는 강릉 김씨(江陵金...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9년
- 사망 :
- 1618년
- 경력 :
- 형조정랑, 첨지중추부사, 형조참의, 좌참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문인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한문학
- 본관 :
- 양천(陽川)
-
허균 <홍길동전>의 저자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을 지은 작가로 유명한 조선 중기의 문장가.자는 단보, 호는 교산·성수로 26세에 정시문과에 합격하여 승문원 사관으로 벼슬길에 올랐고, 1606년에는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종사관으로 글재주와 학식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역적모의 혐의로 참수형을 당했다.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 출생 :
- 1569(선조 2)
- 사망 :
- 1618(광해군 10)
- 국적 :
- 조선, 한국
- 본관 :
- 양천(陽川,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 자 :
- 단보(端甫)
- 호 :
- 교산(蛟山), 성수(惺叟)
-
허균우리나라에서는 김시습의 《금오신화》를 시작으로 17세기 초 허균의 《홍길동전》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국문소설 문학의 시대가 열렸다. 《홍길동전》은 공식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로 꼽히지만, 그전 시대에 이미 국문소설이 등장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허균은 1569년(선조 2) 영의정을 지낸 허엽과 강릉...
- 출생 :
- 1569년
- 사망 :
- 1618년
- 대표작 :
- 《홍길동전》, 시 선집 《국조시산》, 비평집 《성수시화》 등
-
허균 조선시대 반역과 이단의 상징명문가의 자제로 불우한 이들의 벗이 되다 교산(蛟山) 허균(許筠, 1569~1618)은 분명히 시대의 반역아요 이단이었다. 그를 단적으로 표현하면 한 세기에 날까 말까한 천재적 시인이요 문사이자 최초로 국문소설을 쓴 작가였으며, 또한 유불선(儒佛仙)에 두루 통달한 학자였고 불 같은 의지를 지니고 현실을 뜯어 고치려...
- 출생 :
- 1569년
- 사망 :
- 1618년
-
홍길동전은 정말 허균이 지었나?학산(鶴山) 허균(許筠, 1569~1618), 재주와 여인, 벼슬 복을 풍성히 누린 이, 광해군 조에 역모죄로 처형되고 《광해군일기》에 ‘천지간의 한 괴물(天地間一怪物)’이라 기록된 이 이가 정녕 〈홍길동전[洪吉同(童)傳]〉을 지었는가? 학계에서는 아직도 팽팽한 긴장이 흐른다. 명쾌히 해결된 문제가 아니라는 말이다. ...
-
허균 許筠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사회 모순을 비판한 조선 시대의 대표적 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이다. 《홍길동전》 외에도 《한년참기(旱年讖記)》, 《한정록(閑情錄)》 등의 작품을 집필했다. 1606년 원접사 종사관으로 명나라 사신 주지번을 영접하여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1610년 진주 부사로 명나라에 가서 한국 최초...
- 출생 :
- 1569년
- 사망 :
- 1618년
-
시대의 이단아들, 허균 vs 이이첨반체제 · 반봉건 문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 그는 뜨거운 피를 가진 열혈 남아로 시대를 거슬러 산 이단아였어요. 이런 그에게 라이벌이 있었으니, 광해군 시대를 좌지우지했던 대북파의 최고 권력자 이이첨이 바로 그 사람이에요. 시대의 이단아 허균을 초대하여 이이첨과의 얽히고설킨 인...
-
허균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소설가(1569~1618)이다. 서자의 차별 대우에 반대하였고 광해군의 폭정으로 서인을 규합하여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참형을 당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인<홍길동전>을 지었다.
-
허균과 이순신이 살던 곳이순신이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대목이 나오는데 류성룡은 "신의 집이 이순신과 같은 동네에 있기 때문에 그의 사람됨을 깊이 알고 있습니다"라고 대답한다. 허균은 류성룡에게 글을 배우고 이달에게 시를 배웠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순신이 가세가 기울어 아산으로 내려간 뒤 류성룡은 같은 마을에 사는 스물일곱 살...
- 관련 장소 :
- 충무로
-
홍길동전에 반영된 허균의 사상적 배경養民)하기 위함"이라는 주장까지 하는 것을 보면 그는 왕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를 부정하는 반봉건적 개혁 사상이 〈홍길동전〉의 배경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허균은 〈유재론 遺才論〉에서 인재등용의 불합리함을 지적하고, 세상에 쓰이지 못한 탁월한 인물의 행적을 〈손곡선생전 蓀谷先生傳〉과 같은 일사전(逸士傳...도서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