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행정절차 行政節次, administrative procedure
    행정청이 행정권의 행사에 있어서 지켜야 할 절차.|넓은 의미에서는 행정권 행사의 법적 절차로서 행정입법절차, 1차적 행정처분절차, 행정집행절차, 사후구제절차, 행정처벌절차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는 행정청이 공권력을 발동하여 행정에 관한 일반적 결정을 함에 앞서서 밟아야 하는 일련의 외부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행정절차
    행정행정절차(行政節次)란 행정기관이 규칙 제정·쟁송의 재결, 결정 기타의 행정행위를 할 경우에 준거할 전차를 말한다. 넓은 의미의 행정절차행정의사의 결정과 집행에 관련된 일체의 과정을 의미하며, 사전절차로서 행정입법·행정계획·행정처분·행정계약 및 행정지도에 관한 절차가 있고, 사후절차로서 ...
    도서 위키백과
  • 행정소송 行政訴訟
    1985년 10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1988년 8월 개정된 뒤 1994년 7월 다시 개정된 것으로 행정작용에 대한 국민의 권익구제를 위하여 획기적인 절차적 개혁이라 할 수 있다. 행정소송은 항고소송 · 당사자소송 · 민중소송 · 기관소송으로 대별되는데, 항고소송은 행정청의 공권적인 처분 등이나 부작위가 있은 뒤에 이...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행정소송 行政訴訟, administrative litigation
    개요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관한 분쟁을 법원에 의해 해결하기 위한 정식의 소송절차. 행정소송은 재판기관이 행정법규 적용에 관한 분쟁을 판단하는 쟁송절차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행정소송은 행정쟁송이라는 점에서 행정심판과 같으나 그 분쟁해결기관과 절차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으며, 행정심판에 비해 공정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규칙 行政規則
    한다. 협의의 행정규칙이란 행정조직 내부에서 상급행정관청이 하급기관의 조직 또는 하급기관 구성자의 행위 등에 관해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조직...재량준칙·간소화지령이 있다. 행정규칙의 성립을 위해서는 주체·내용·형식·절차 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들 요건에 관해서 행정규칙의 고유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심판 行政審判
    11인, 기타의 위원회의 경우는 7인의 위원으로 구성하되, 일정한 수의 전문가가 포함된다. 「행정심판법」은 심판절차에 있어서, 심판청구인의 지위를 보장하고, 피청구인인 행정청과 대등한 위치에서 심리를 진행할 수 있게 대심구조(對審構造)를 취하고 구술심리의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행정심판절차의 준사법절차화...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제도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징계·해고 관련 노무상담, 명예퇴직이 무엇인가요
    부합하는지 심사하고 위로금 지급 대상자를 선발합니다. 대부분의 명예퇴직은 비정기적인 정리해고 과정에서 이뤄집니다. 법적으로 정당성을 갖춘 정리해고 절차를 밟아 진행하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까다로운 요건을 다 맞추기도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손쉽게 인원을 정리하는 방편으로 명예퇴직...
  • 행정소송을 하려면
    행정소송을 하려면 행정법원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행정법원은 서울에만 있기 때문에 지방에서의 행정소송은 지방법원 행정재판부에 내면 된다. 10년 전만...수 있다. 즉 '행정처분 → 행정심판 → 행정소송'의 단계를 거치기도 하지만 '행정처분→행정소송'도 가능하다는 말이다. 하지만 행정심판은 당사자가 출석할...
  • 기본권 구제절차 基本權救濟節次
    행정 기관에 의한 권리 침해의 경우에는 행정 기관에 행정 심판을 신청할 수 있다. 행정 심판과 내용은 동일하나 분쟁 해결 기관과 절차에서 차이가 있는 행정 소송이 있다. 행정 소송은 재판 기관이 행정부와 독립된 사법부에서 진행하여 행정 심판에 비해 신중성과 공정성이 보장된다고 볼 수 있다. 기본권 침해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대집행 代執行
    법 제2조 2항). 다만 법률에 특별규정이 있는 경우(건축법 제53조의 3), 비상시 또는 위험이 절박한 경우에는 계고 및 대집행영장에 의한 통지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행정대집행법 제3조 2항). 셋째, 대집행을 위해 현장에 파견되는 집행책임자는 그가 집행책임자라는 것을 표시한 증표를 휴대하여 이해관계인에게 제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소청 訴請
    처분에 대한 구제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공무원법에서 행정심판에 대한 특례로 소청제도를 마련한 것은 공무원의 신분을 보다 강하게 보장하려는 데 있다...결정에 대한 총무처장관의 재심사청구의 인정, 동(同)위원회의 심사절차에 있어서 직권조사주의의 채택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소청사항, 즉 소청의 대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법
  • 적법절차 適法節次, due process
    있다면 일반적으로 승인된다.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 조항에 따라 각 주에 의무지워야 할 절차적 안전책을 확정함에 있어서 연방대법원은 주의 민사 및 행정 절차에 대해 임시적 영향력을 행사할 뿐만 아니라, 주법원에서의 형사재판 집행에 대해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연방대법원의 결정은 강력한 비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