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韓國行動科學硏究所설립목적 행동과학 전반에 걸친 이론적·실제적 연구를 통하여 인간의 능력을 개발하고 사회 각 기관의 능률향상을 도모하여 인간의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국가발전에 공헌하기 위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행동과학이란 개인 또는 사회집단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설명하는...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2길 21(역삼동)
- 설립 :
- 1968.9
- 성격 :
- 연구소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정범모
- 분야 :
- 교육/교육
-
산업공학과 행동과학시스템 분석이 경영학의 계량적 분석기법의 발전에 기여했다면, 경영학의 또다른 주요연구방법인 행동과학적 연구는 기업조직과 인간행동의 분석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시스템 어프로치의 관점에서 하나의 조직을 보면, 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는 1개의 개방 시스템(open system)으로 주위환경과...
-
-
-
지진발생! 책상 아래 숨을까? 밖으로 나갈까?의 행동을 연구해 지진을 예측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질학자들은 첨단 계측장비를 활용해, 지진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에 매달리고 있다. 지진파의 전파에 의한 지면의 진동을 기록하는 장치인 지진계(seismograph)를 전국에 설치하고, 컴퓨터 네트워크로 엮어둔 것도 이 때문이다. 지진계는 지면이...
-
행동유전학 환경은 유전을 보완하는 필터중요성을 설명하는 과학적 기반을 제시해 줬다. 파블로프의 실험에 따르면 개는 벨 소리를 들어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개에게 있어 벨 소리는 아무...졌다는 뜻이다. 비단 벨 소리 외에도 어떤 종류의 신호든 먹이와 연결되면 개는 그 신호를 학습하고 침을 흘릴 수 있음이 후속 실험을 통해 밝혀지면서 행동...
-
TV 화질이 좋지 않으면 때리는 습관좋은 화질의 TV를 보기 어려웠던 예전에는 TV의 전파 수신 상태가 좋지 않아 화질이 깨끗하게 안 나오면 TV의 양옆을 손으로 강하게 치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보곤 했다. TV뿐만 아니라 라디오의 음질이 좋지 않을 때도 그렇게 내려치곤 했는데, 신기한 것은 한 번 치고 나면 화질이나 음질이 나아졌다는 점이었다. 이러...
-
동물은 지진을 미리 알 수 있다?지진으로 인한 해일파는 지진이 발생하고 난 뒤 만들어져 주변으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지진의 발생 전에 동물이 이상한 행동을 보인 적이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1978년 일본 이즈·오시마 근해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동물들이 이상행동을 했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 쥐가 사라졌다, 개와...
-
겨자의 천적 공격, 지능적이네~못하도록 미리 죽이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곤충의 알 낳기가 식물 내부의 화학물질을 변화시켜 직접 알을 낳은 대가를 치르게 하거나, 초식벌레의 천적을 불러와 알의 생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회지(PLoS ONE) 2012년 9월 5일자에 실렸다. 2012-09-17
-
여성보다 똑똑한 엄마의 과학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엄마가 되면 젖을 보채는 아이에 반응해 때론 과감한 행동을 하게 된다. 아이를 먹여야 한다는 생각이 다른 모든 생각을 압도하기 때문...는 말이 있지만 여기에 “엄마는 똑똑하고 용감하다”는 말을 덧붙여야 하지 않을까. ※ 본 콘텐츠는 Daum 백과사전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공동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