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핵확산금지조약 NPT, 核擴散禁止條約핵확산금지조약은 1969년 유엔총회에서 체결된 핵 보유국 및 비보유국의 핵 확산을 금지하는 국제 조약이다. 이 조약은 1969년 6월 12일 유엔총회에서 찬성 95, 반대 4, 기권 13으로 체결되었다, 영어 표기의 머리글자를 따서 NPT라는 약칭으로도 쓴다. 비핵보유국이 새로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과 보유국이 비보유국에 ...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핵확산 금지 조약 NPT, 核擴散禁止條約1970년 3월 3일 발효된 핵무기 확산 금지에 관한 조약. 핵무기 보유국은 핵무기 기록장치 및 그 관리를 제3자에게 이양할 수 없고, 비 핵 보유국은 이러한 무기를 수정하거나 개발할 수 없으며 원자력 시설에 대한 국제 사찰을 인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조약이다.
- 분야 :
- 방호
-
핵 확산 금지 조약 NPT, 核擴散禁止條約1970년 3월 3일 발효된 핵무기 확산 금지에 관한 조약. 핵무기 보유국은 핵무기 기록 장치 및 그 관리를 제3자에게 이양할 수 없고, 핵 비보유국은 이러한 무기를 수정하거나 개발할 수 없으며, 원자력 시설에 대한 국제 사찰을 인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조약이다.
- 분야 :
- 방호
-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핵 확산 금지 조약, 核拡散防止..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commonly known as the Non-Proliferation Treaty or NPT, is an international treaty whose objective is to prevent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nd weapons technology, to promote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and to furth...출처 영어 위키백과
-
핵확산금지조약 발효미국과 소련 등 핵무기 보유국들의 주도로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핵확산금지조약(NPT)이 발효됐다. 핵무기 보유국이 비(非) 보유국에 핵무기를 제공하는 것과 비보유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었다.
- 시대 :
- 1970년 3월 5일
- 국가/대륙 :
- 세계
-
현재 몇 나라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까?그러다 1963년에 지상, 수중 그리고 우주에서 핵 실험을 금지한다는 부분적 핵 실험 금지 조약이 체결되었다. 1968년에는 핵 확산 금지 조약이 체결되었다. 비핵 보유국은 핵무기를 생산하거나 핵무기를 취득하는 행위가 금지되었다. 이미 핵무기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이 핵무기 개발을 억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이유로...
-
-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 Partial Nuclea..제한하지도 못했다. 이 조약에는 몇 개월 만에 프랑스와 중국을 제외한 100개국이 넘는 정부가 조인했다. 조약을 기초한 미국, 소련, 영국은 조약 개정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다. 조약의 개정은 미국, 소련, 영국을 포함한 조인국가 다수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CTBT) 핵확산방지조약(NPT...도서 위키백과
-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Comprehensive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슈퍼컴퓨터 모의 핵실험으로서, 미국은 오바마 정부에서도 4회나 실시했다. 동 조약의 핵실험 정의에 포함되지 않아서, 핵실험 자체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핵확산방지조약(NPT)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PTBT)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기구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위키데이터 속성 추적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