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험 核實驗, nuclear weapon test
    1945년 7월 미국이 뉴멕시코 주 앨러머고도 사막에서 세계 최초로 원자탄 폭발실험을 실시한 이래 1983년말까지 약 1,400회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에 의한 방사성 강화물의 전지구적 오염이 뚜렷해지면서 실험방지 논의가 전세계에 강하게 대두되었다. 1968년 미국·영국·소련 3국이 '부분적 실험 정지조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실험 (관련어 핵 실험) Nuclear weapons testing,..
    무기 무기 실험(核武器實驗, 문화어)은 무기에 대한 실험을 말한다. 20세기 이후 무기를 개발한 대부분의 나라들은 실험 단계를 거쳤다. 실험 과정을 통해 무기의 성능과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험은 과학력과 군사력을 과시하는 정치적 이유에서 시도되기도 했다. 미국의 첫 원...
    도서 위키백과
  • 세계 실험 반대의 날 국제 핵 실험 반대의 날, Intern..
    제정 이유 실험을 통한 인간의 생활환경 파괴와 그로 인한 비극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무기를 실험하다 일어나는 폭발 사고와 인명 피해, 근본적으로 조성되는 위협감은 무기와 실험을 반대해야 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궁극적으로는 어떤 무기도 사용되지 않는 평화적인 국제사회를 만들기...
    분류 :
    기념일, 비공휴일
    시행일 :
    2009년 12월
    날짜 :
    8월 29일
    제정처 :
    국제연합(UN)
  • 실험금지조약 Nuclear Test-Ban Treaty
    이 조약의 기원은 지상의 무기 실험에 의해 발생되는 대기의 방사성 낙진이 위험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대해 전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면서 비롯되었다. 이 문제는 1955년 중요한 쟁점이 되었지만 실험 금지를 위한 첫번째 협상은 당시 주도적인 강대국이었던 미국과 소련(지금의 러시아)이 서로 다른 내용을 제안...
  • 북한 무기, 진짜? 가짜?
    지난 10월 9일 실시한 북한 실험에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이 방사능 물질을 탐지해 지난 13일 북한 실험 사실을 보도한 것에 이어, 러시아도 지난 18일 북한 지역 대기에서 방사능 물질을 탐지했다고 발표했다. 원자폭탄은 제2차 세계대전 도중 미국의 ‘맨하튼 프로젝트’에 의해서 처음 만들어졌다...
  • 포괄적 실험 금지조약 包括的核實驗禁止條約, Comprehens..
    포괄적 실험금지조약(CTBT)은 1963년 체결되었던 '부분적 실험금지조약'(PTBT)이 지하실험을 규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지적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1974년에는 '지하실험 제한협정'(TTBT)이라는 이름으로 150㏏ 이상의 지하실험을 금지하고 실험 지역을 제한하는 협정이 미국과 소련 양국 사이...
  • 무기 보유국 核武器保有國
    1974년에, 파키스탄은 1998년에 처음으로 실험을 했고, 이스라엘은 실험을 실시하지는 않았지만 1966년부터 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무기 보유국’ 1974년 첫 실험을 했고 1998년 다섯차례의 실험을 감행한 인도와 1998년 여섯 차례의 실험을 한 파키스탄, 실험을 하지 않았으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국제사회
  • 각국의 개발
    1960년부터 피에르라트에 농축 우라늄 공장을 건설하여 1964년부터 저농축 우라늄의 생산을 개시했고 1967년부터 수준급의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고 있다. 실험은 당초 사하라 사막에서 행해졌으나 그뒤 300kt 급의 열핵물질을 포함하는 강화원자폭탄에 집중하여 1966년 8월에는 2Mt급의 열핵장치의 실험에 성공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현재 몇 나라가 무기를 보유하고 있을까?
    냉전 시대에는 어떤 협정이나 조약도 소용없다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그러다 1963년에 지상, 수중 그리고 우주에서 실험을 금지한다는 부분적 실험 금지 조약이 체결되었다. 1968년에는 확산 금지 조약이 체결되었다. 비핵 보유국은 무기를 생산하거나 무기를 취득하는 행위가 금지되었다. 이미 무기를...
  • 서울에서 무기가 터지면?
    실험결과 반경 150m 이내 건물은 증발하고 1.5km 이내 사람은 전신 3도 화상을 입으며 총 62만 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6차 실험을 강행한 50kt급 무기가 폭발하면 36만 명이 즉사하고 사상자가 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폭발이 일어난 곳의 반경 약 370m 안의 건물은 증발하고...
  • 부분적 실험금지조약 部分的核實驗禁止條約, Treaty of B..
    모스크바 조약이라고도 하며 정식 명칭은 '대기권 내, 우주공간 및 수중에서의 무기 실험을 금지하는 조약'이다. 지하실험이 금지되지 않아 부분적 금지라고 말하는데 무기를 둘러싼 협정으로는 최초의 국제 조약이다.→ 실험금지조약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CTBT, Comprehensive Nuclear Tes..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은 보유국 및 비핵보유국의 새로운 개발을 막으면서 부분실험금지조약(PTBT)에서 제외된 지하실험 등 모든 실험을 금지하기 위해 1996년 국제연합(UN) 총회에서 결의한 조약이다. 186개국이 서명하고 174개국이 비준했지만 CTBT 발효를 위해서는 5대 보유국(미국 ・ 러시아...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국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