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의 에너지 준위를 기술해주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의 원자모형과 비슷하게 원자핵을 기술하는 모형.|핵껍질모형에 따르면 핵 구성입자들은 양성자나 중성자의 수가 2, 8, 20, 28, 50, 82, 126개일 때 가득 채워지고 닫힌 에너지 준위를 이루는데, 이때 중성자와 중성자, 양성자와 양성자 쌍을 이루고 있...
입자들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으며, 각각 자기 고유의 궤도에서 움직이고 다른 원자핵 입자들은 수동적인 참여자처럼 행동한다는 것이다. 핵껍질모형과 그 변형체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2번째 부류는 강한 상호작용 모형, 즉 통계적 모형으로 이 모형의 주된 가정은 양성자와 중성자는 각각 쌍을...
오비탈은 핵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아도 방향에 따라 전자가 발견될 확률이 다르기 때문에 방향성이 있다고 설명한다. 오비탈의 개수는 주양자수에 따라 다르다. 즉, 전자껍질의 종류에 따라 오비탈의 종류와 개수는 다르다. 각 전자껍질에는 주양자수가 같은 오비탈들이 있으며, 오비탈을 표시할 때는 주양자수와 오비탈...
핵껍질모형은 짝지은 양성자와 중성자들의 닫힌 껍질로 이루어진 수동적인 원자핵 중심부를 무시하고 짝짓지 않은 핵자(양성자와 중성자)에 기초해서 원자핵의 구조와 거동을 설명한다. 물방울 모형은 구형 물방울을 이루고 있는 모든 분자가 전체 에너지와 표면장력에 기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핵자의 통계적...
때문이다. 보어 모형은 나중에 양자역학이 발전하면서 보다 정확한 모형(원자가 껍질)으로 대체되었으나, 간단하며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는 정확한 결과를...20세기 초에, 어니스트 러더퍼드에 의한 실험은 조그마하고 빽빽하며, 양전하를 띈 핵 주위를 감싸는 음전하의 전자 구름으로 이루어진 원자의 개념을 정립...
일치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증명했다. 보어 모형 1913년에 보어는 전자가 어떻게 핵 주위의 안정한 궤도를 가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양자화된 전자껍질모형을 제안하고 2가지 가설을 세웠다. ①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원 궤도에 따라 움직이며, 전자가 취할 수 있는 궤도는 그 궤도의 각 운동량이 h/2π의 정수배...
러더퍼드의 모형을 더욱 발전시켜 전자의 궤도가 고정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 가설에 의하면 전자는 특정 궤도만을 돌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방출될...일이었다. 보어는 태양과 행성의 관계처럼 전자가 정해진 궤도로 핵의 둘레를 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전자는 행성과는 달라서,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
원자핵을 중심으로 한 전자들이 취하는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과거의 원자껍질모형에서 정상원자 내 전자는 일련의 전자껍질(원자핵에 가장 가까운 K껍질, 2번째의 L 껍질 순으로 7번째로 핵에서 가장 멀리 있는 Q껍질까지)에 전자를 순서대로 채운다. 주기율표의 전통적인 족에 속하는 구성원자를 알아내는...
열이 껍질을 통과해 내부로 전달되면 표면 밑의 얼음이 수증기로 바뀌기 시작한다. 이렇게 생성된 기체는 혜성을 빠져나오면서 먼지입자의 일부를 운반한다...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메탄·암모니아·탄소황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핵을 벗어난 분자는 재빨리 분해되어 2세대 분자인 기(基)와 이온으로 된다. 이들은...
이 수는 원자 모형의 전자 껍질을 전자가 꽉 채워서 안정할 때의 전자 개수 또는 핵에서 양성자나 중성자가 핵껍질을 꽉 채웠을 때의 양성자나 중성자 개수를 나타낸다. 원자의 경우 마법수는 전자껍질을 꽉 채우는 데 필요한 전자의 개수를 나타내며, 그 수는 2, 10, 18, 36, 54, 86 등이다. 예를 들어 원자번호가 17...
보단 뉴턴 역학으로써 간주 될 수 있다. 물방울 모형에서, 핵은 표면 장력과 양성자의 전기적 반발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증가하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물방울...그림에 중첩 되어 있다. 그것은 마리아 메이어의 큰 부분이 발달된 핵껍질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설명되었다. 중성자와 양성자의 특정한 숫자를 가진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