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양수산부 海洋水産部,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
    해양·수산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 해양정책 수립 및 총괄, 수산업 진흥, 어촌개발 및 수산물 유통, 해운업 육성 및 항만 건설·운영, 해양환경 보전, 해양조사, 해양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2017년 7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
    설립 :
    1996년
    유형 :
    정부기관
    국가 :
    대한민국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 정부세종청사 5동
    사이트 :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공공기관
  • 해양수산부 海洋水産部,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
    수산·해운·항만·해양환경보존·해양조사·해양자원개발·해양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및 해난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내용 국가경제수준의 세계화와 해양환경보전 및 해양자원보전이 절실하게 요구되어 해양수산업무의 확대·강화의 요청으로 인해 1996년 8월에 이전의 농림수산부 산하의 수산업...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6년 8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관련어 해양수산부) Ministry of Oceans and ..
    정부 기관 정보 해양수산부(海洋水産部)는 해양정책, 수산, 어촌개발 및 수산물 유통, 해운·항만,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수산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국무위원으로, 차관은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해양·수산 정책에 관한...
    도서 위키백과
  • 해상무선통신망 LTE-M, LTE-Maritime
    이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데 근간을 이룬다. 또 해양사고 발생 시 수색 ・ 구조 대응 및 골든타임을 낭비하지 않기 위한 해상재난망의 기능도 담당한다. 해양수산부는 2019년 5월 KT 연합체(컨소시엄)와 LTE-M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우리나라 전국 연안에 LTE-M 구축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KT...
  • 대한민국의 해양수산부 장관
    관직 해양수산부 장관(海洋水産部 長官)은 해양수산부를 대표하는 직위다. 국무위원으로 보한다. 국무위원 중에서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무총리는 해임을 건의할 수 있다. 국회는 임명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한다.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해양수산부 차관
    해양수산부 차관(海洋水産部 次官)은 해양수산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다.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해양수산부 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해양수산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장관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해양수산부 차관보
    해양수산부 차관보(海洋水産部 次官補)는 장관과 차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해양수산부 차관보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해양수산부 차관보는 장관과 차관을 보좌하여 소관사무를 처리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차관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정부 대수...
    도서 위키백과
  • 경상남도·진해시와 해양수산부장관 간의 권한쟁의
    경상남도·진해시와 해양수산부장관 간의 권한쟁의는 도와 정부 간의 권한쟁의를 다룬 대한민국의 유명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정부가 진해시에 신항을 건설하였는데 부산시는 신항의 명칭을 부산 신항으로 진해시는 진해 신항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해양수산부장관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신항만의...
    도서 위키백과
  • 해양안전의 날 海洋安全─
    인적 과실에 의한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은 관 주도의 선박설비 개선, 현장 안전점검이 주를 이루어 왔다는 점에 착안, 해양수산부에서 해양업무 종사자뿐 아니라 바다를 이용하는 국민 모두의 의식개선을 위한 제도가 요청되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2013년 대국민 해양안전문화...
    분류 :
    법정기념일, 비공휴일
    시행일 :
    2014년 11월 14일
    주관처 :
    해양수산부
    날짜 :
    매월 1일
  • 해양경찰청 해경, 海洋警察聽
    경제수역이 종전보다 5.2배 가량 넓어지게 되면서 본격적인 해양경쟁시대에 대비하여 해양행정체제를 일원화하는 차원에서 해양수산부가 발족하였고, 이에 발맞추어 해양경찰청은 경찰청에서 분리되어 해양수산부의 외청으로 독립되었다. 2005년 7월 28일 해양경찰청장의 계급은 기존의 치안정감에서 차관급인 치안총감...
    시대 :
    현대
    성격 :
    중앙행정기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1년 8월 1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국립수산과학원 國立水産科學院
    국립수산진흥원이 되었고, 1996년 8월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진흥원, 2002년 3월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산과학원이 되었으며, 2013년 3월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되었다. 내용 주요사업과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해양환경조사:해양물리학 · 해양화학 · 해양생물학적...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연안침식관리구역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대해 해양수산부장관이 「연안관리법」에 따라 지정하는 지역을 말한다. 연안침식관리구역의 구체적인 지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연안침식으로 인하여 토지, 바닷가 또는 제방, 도로 등 시설물의 기능을 더...
    유형 :
    지역 ・ 지구 등
    관련법령 :
    「연안관리법」 제2조, 「연안관리법」 제20조의2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4건

멀티미디어1건

해양수산부(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