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양성 기단 海洋性 氣團, maritime air mass
    해양에서 발생하는 공기 덩어리로 일반적으로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영향력을 미치는 북태평양 기단이 가장 대표적인 열대해양성기단이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해양성기단 海洋性氣團, maritime air mass
    해양 기원의 거대한 공기 덩어리 또는 오랫동안 물 위에 존재해 변질되어 해양기원 공기 덩어리의 특성을 갖는 기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기단 氣團, air mass
    일반적으로 발원지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된다. 이들은 국제적인 용어로 ① 한대기단, ② 극기단, ③ 적도기단, ④ 열대기단으로 부르며 미국에서는 대륙성 한대기단(cP), 해양성 한대기단(mP), 대륙성 열대기단(cT), 해양성 열대기단(mT)으로 각각 불린다. 대륙성 한대기단은 대개가 겨울철에 발생하며, 중앙아시아, 북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단 氣團, air mass
    적도(E, equatorial) 네 가지로 분류한다. 또 습도 조건에 따라서 대륙에서 발생한 기단을 대륙성 기단 c(continental)로 표시하고, 해양에서 발생한 기단해양성 기단 m(marine)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한반도 부근의 시베리아 기단은 cP, 북태평양 기단은 mT, 양쯔 강 기단은 cT, 오호츠크 해 기단은 mP 등으로 표시...
  • 기단 氣團, air mass
    따라서 대륙성 기단해양성 기단으로 나뉘기도 한다. 현황 지구상의 기단은 대륙성 극기단과 한대기단, 열대기단, 해양성 한대기단과 열대기단, 적도기단 등이 있다. 이 중, 우리나라는 대륙성 한대기단에 해당하는 시베리아 기단해양성 한대기단인 오호츠크해 기단, 해양성 열대기단인 북태평양 기단과 적도기단...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오호츠크해기단 -----氣團, Okhotsk sea air mass
    오호츠크해에서 발원하여 장마가 시작되기 이전의 우리나라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으로 장마 전에 나타나는 건기의 원인이다. 냉량습윤한 해양성 기단으로 오호츠크해는 넓은 면적을 갖지 않으므로 우리나라에 장마 전 봄철, 짧은 기간 동안 영향을 미친다. 초여름 시베리아 기단의 약화로 오호츠크해 기단이 확장...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북아메리카의 기후
    대륙성과 해양성으로 세분된다. 북부의 기단은 그린란드와 캐나다 북극 열도를 지나가는 북극기단, 캐나다 북부와 중부를 지나가는 대륙성 한대기단, 알래스카와 북태평양 연안을 지나가는 태평양 한대기단, 캐나다와 뉴잉글랜드의 대서양 지역을 지나가는 대서양 한대기단 등으로 나누어진다(해양성 한대기단). 남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오호츠크해기단 오호츠크海氣團
    내용 오호츠크해에 주변의 융설수 및 융빙수가 유입되면서 형성되는 해양성 한대기단으로 늦은 봄철 한반도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오호츠크해는 저기압이 자주 통과하고 다른 곳에서 발원한 기단이 지나는 곳이므로 기단이 발원하기 어렵다. 그러나 늦은 봄에 시베리아 지방의 눈이 녹기 시작하면서 오호츠크해 주변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오호츠크 해 기단 Okhotsk sea air mass
    오호츠크해 부근에서 나타나는 고기압을 말하는데 겨울에 오호츠크해에 흘러내린 얼음물로 인해 만들어진 해양성 한대기단으로 대륙성 한대기단보다 비교적 많은 습기를 포함하고 있고 기온이 낮다. 우리나라의 초여름과 장마철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으로 이 기단이 중위도와 고위도의 내륙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산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상/기후
  • 북태평양 기단 North Pacific air mass
    북태평양 기단은 연중 다습하고 많은 비를 내리는 해양성 열대기단이다. 5~6월쯤 기온이 높은 적도 근처의 바다에서 만들어져서 따뜻한 대륙 위로 이동하면 기단이 강한 열을 받게 되어 안개나 낮은 층운 대신 넓은 지역에 지역적으로 강한 뇌우를 발생시킨다. 태양고도가 점점 높아지면 저위도로 물러났던 북태평양...
    도서 다음백과
  • 기단 氣團, air mass
    위도)을 기준으로 북극(arctic), 한대(polar), 열대(tropical), 적도(equatorial)의 4종류로, 발생지역의 수증기함량특성을 기준으로 대륙성(continental)과 해양성(maritime)으로 분류된다. 특정지역에 발생하는 기단은 이러한 일반분류기호 외에 고유한 명칭을 붙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봄, 가을, 겨울에 시베리아...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적도 기단 赤道氣團, equatorial air mass
    적도 기단은 적도 무풍대(북동 무역풍대와 남동 무역풍대 사이 지대)에서 생겨나는 열대 기단으로 온도와 습도가 모두 높은 특징을 가진다. 계절에 따라 적도 무풍대가 북상 또는 남하하게 되므로 적도 기단의 발원지도 어느 정도 남북으로 이동한다. 봄과 가을에는 적도 부근이, 북반구의 여름에는 북위 10도 근처로...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