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해방거미 Ero koreana양 옆면에 복잡한 검정 무늬가 있으며,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많이 나 있으나 혹처럼 생긴 융기는 없다. 생태 서식지: 산림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산에 사는 거미로 산이나 들의 풀숲이나 키가 작은 나무의 잎사귀 사이 등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사냥하며, 다른 거미줄에 침입해 그 주인을 잡아먹기도 한다. 6~8...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 학명 :
- Ero koreana Paik, 1967
- 국내분포 :
- 경기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러시아
-
뿔해방거미 Ero japonica돌기가 1쌍 있다. 생태 서식지: 산림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그물을 만들지 않고, 산지의 풀숲이나 관목 사이를 돌아다니며 생활한다. 다른 거미의 그물에 침입하여 주인 거미를 공격하여 잡아먹는다. 성숙기는 6~9월이고, 알주머니는 황갈색으로 망태기 모양이며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 놓는다. 집필진 : 정상우, 민홍기...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 학명 :
- Ero japonica Bösenberg and Strand, 1906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러시아
-
큰해방거미 Mimetus testaceus있고, 전체에 가시털 같은 센털이 흩어져 있다. 생태 서식지: 산림, 초지, 평야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산이나 들, 초원 등의 풀숲 사이를 돌아다니며, 다른 거미들을 습격하여 잡아먹는다. 성숙기는 5~9월이고, 전국에 널리 분포하며 5~9월에 주로 관찰된다. 집필진 : 정상우, 민홍기, 안승락, 최용근, 유정선, 백운기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 학명 :
- Mimetus testaceus Yaginuma, 1960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
뿔해방거미긴 가시털이 줄지어 있다. 배는 황갈색으로 불룩하며, 뒤쪽 양 옆에 1쌍의 원뿔 모양의 돌기가 있고, 긴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산지의 풀숲이나 관목 사이 등에 살며, 그물을 치지 않고 다른 거미 그물에 침입하여 그 주인을 습격하여 잡아먹는다. 알주머니는 황갈색 망태기 모양인데,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 놓는다...
- 분류 :
- 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크기 :
- 암컷 4.0~4.5mm, 수컷 3.0~3.2mm
- 학명 :
- Ero japonica (Bösenberg et Strand, 1906)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 출현시기 :
- 6~9월
-
큰해방거미다리는 황갈색으로 암갈색무늬가 산재하며, 종아리마디와 발바닥마디에 장대한 가시털이 나 있다. 배는 뒤쪽 너비가 넓은 마름모꼴로 등면은 갈색 바탕에 복잡한 검정무늬가 있고, 전면에 가시 같은 센털이 산포되어 있다. 산야나 초원의 풀숲 사이에 서식하며, 다른 거미들을 습격하여 잡아먹는다. 전국에 널리 분포...
- 분류 :
- 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크기 :
- 암컷 5.5~6.0mm, 수컷 4.0~5.2mm
- 학명 :
- Mimetus testaceus (Yaginuma, 1960)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중국 등
- 출현시기 :
- 5~9월
-
민해방거미마디에 1개씩의 검은 고리무늬가 있다. 앞다리 발바닥마디와 종아리마디에 독특한 가시털이 줄지어 나 있다. 배는 긴 난형으로 황회색 바탕에 등면과 양 옆면에 복잡한 검정무늬를 가지며, 등면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많이 나 있으나 혹 모양의 융기는 없다. 산지성 거미로, 다른 거미줄에 침입해 그 주인을 잡아...
- 분류 :
- 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서식지 :
- 대구광역시 팔공산(八公山)
- 크기 :
- 암컷 5~5.6mm
- 학명 :
- Ero koreana (Paik, 1967)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 출현시기 :
- 6~8월
-
얼룩해방거미배갑은 황갈색으로 가장자리와 눈 구역, 정중부에 암갈색무늬가 얼룩져 있다. 가슴판은 짙은 갈색 바탕에 담갈색무늬가 있고, 뒤끝은 뒷다리 밑마디 사이로 돌입한다. 다리는 황갈색바탕에 암갈색의 폭넓은 고리무늬가 둘려 있고, 앞다리 종아리마디와 발바닥마디에 긴 가시털과 짧은 가시털이 섞여 나 있다. 배 등면...
- 분류 :
- 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해방거미과(Mimetidae)
- 크기 :
- 암컷 2.5~3.5mm
- 학명 :
- Ero cambridgei (Kulczyński, 1911)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러시아 등(구북계)
- 출현시기 :
- 7~9월
-
-
한국산 거미목의 분류 체계 및 검색털이 줄지어 나 있다. → 해방거미과(Mimetidae) 이러한 가시털 줄이 없다. → 15번 항목으로 15번 항목 넷째 발끝마디에 톱니빗털이 없다. → 17번 항목으로...등면 센털이 톱니빗털보다 길지 않다. → 굴아기거미과(Nesticidae) 17번 항목 발끝마디의 길이가 발바닥마디보다 길다. 가장 작은 거미로, 몸 길이 1mm 내외...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청록파 국어말살정책 속 시를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다암흑기에서의 해방은 강렬한 동적 심상을 불러일으켜 1949년에 펴낸 첫 단독 시집인 『해』에서는 여전히 산을 소재로 하면서도 예전처럼 누워 침묵하는 산의 이미지와는 다른, 이글이글 타는 해를 솟아오르게 하는 생명력이 충만한 산을 노래한다. 박두진, 「해」, 『해』(1949)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 시기 :
- 194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