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폴 고갱, 해바라기를 그리는 고흐 애증의 시간, 엇갈리는 시각둔데 반해 고갱은 스스로의 기억과 상상 등에 의존해 그림을 그리곤 했고, 이와 같은 차이는 그들을 끝없는 다툼으로 이끌었다. 고갱과 고흐의 시각 차는 <해바라기를 그리는 고흐>에서도 잘 드러난다. 대표적인 예로 이 그림에서 보이는 해바라기가 꽂혀있는 화분은 고갱이 상상해 그려넣은 부분이다. 이 작품이 완성된...
- 크기 :
- 73x91cm
- 제작시기 :
- 1888년
- 원제 :
- Le Peintre de Tournesols
- 작가 :
- 폴 고갱(Pau.l Gaugauin) 프랑스, 1848~1903년
- 소장/전승 :
- 네덜란드 반 고흐 미술관(Van Gogh Museum)
- 기법 :
- 유화, 캔버스에 유채
-
해바라기 향일화, sunflower부드러운 털이 있다. 씨는 달걀을 거꾸로 놓은 모양이고 흰색 또는 회색이며 흑색 줄이 있고 길이 9mm, 너비 4~8mm로서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매끈하다. 해바라기는 옆으로 향한 꽃이 햇빛이 오는 쪽을 향하고 있다. 구별하기 비슷한 식물로서 하늘바라기는 꽃이 하늘을 바라보고 있고 해바라기에 비해 꽃이 작다. 뚱딴지...
- 분류 :
- 국화과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Helianthus annuus L.
- 개화기 :
- 8월∼9월
-
절화용 초화류, 해바라기 elianthus spp.해바라기는 북미 원산으로 그 종류가 100종 이상이나 된다. Helianthus속의 대부분은 내한성이 없어 월동이 안 되는 일년초이지만 돼지감자 등과 갈이 지하에 덩이뿌리를 가지고 있는 숙근초도 있다. 해바라기의 명칭은 잘 알려져 있지만 종류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대부분의 해바라기는 강건하고 야생적...
-
꽃병에 꽂힌 해바라기 열다섯 송이 Tournesols“고갱이 도착하기 전에 스튜디오를 좀 꾸며 볼까 해. 커다란 해바라기만으로 말이야.” -빈센트 반 고흐 해바라기는 빈센트 반 고흐의 꽃이다. 반 고흐는 1887년부터 1889년까지 해바라기 그림을 열한 점 그렸는데, 그중 일곱 점이 바로 생레미 정신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 그린 것이다. 그는 입원해 있는 동안 멀리...
- 제작시기 :
- 1888년
- 가격 :
- $40,500,000(424억 9000만 원)
- 작가 :
-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부위에 밀집되어 있는 암자색 또는 갈색의 통상화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2개의 능선이 있는 둥근 난형으로 길이가 1㎝ 내외이고 검은 줄무늬가 있다. 해바라기의 어원은 '꽃이 해를 향해 핀다'라는 뜻의 중국어 향일규(向日葵)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이름 'sunflower'는 'helios'(태양)와 'anthos'(꽃)의 합성어인...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해바라기속
- 원산지 :
- 중앙아메리카
- 크기 :
- 약 2m ~ 3m
- 학명 :
- Helianthus annuus L.
- 꽃말 :
- 동경, 숭배, 의지, 신앙
-
해바라기 규곽, Common Sunflower개요 북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관상용 및 식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00-300cm, 가지가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15-40cm, 폭 11-30cm, 밑부분은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이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고...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해바라기속
- 서식지 :
- 밭, 화단
- 학명 :
- Helianthus annuus L.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북아메리카
-
해바라기 향일규경수(向日葵莖髓)대개 흰색 또는 회색 바탕에 검은 줄이 많다. 특징 및 사용 방법 규곽(葵藿)·규화(葵花)·향일규·향일화(向日花)·조일화(朝日花)·산자연이라고도 한다. 해바라기란 이름은 중국 명칭인 향일규(向日葵)를 번역한 것인데 이 식물의 꽃이 해를 따라 돈다고 오인한 데서 붙여졌다. 줄기는 굵고 곧게 자라며 빳빳하고...
- 학명 :
- Helianthus annu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 인가 부근의 양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씨·꽃
- 생약명 :
- 향일규(向日葵)
- 키 :
- 2m 정도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한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씨는 익어서 단단히 말랐을 때)
- 취급요령 :
- 날것(씨) 또는 말려서(뿌리· 씨·꽃)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꽃 7∼8g, 씨 20∼30g, 뿌리 8∼12g
- 주의사항 :
- 뿌리와 꽃은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해바라기꽃턱), 果殼(과각)은 向日葵殼(향일규각)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向日葵子(향일규자) - 癰膿(옹농)을 속까지 없애는 효능이 있다. 血痢(혈리)를 치료한다. 해바라기油는 被覆藥(피복약)이 되고 또 氣(기)를 疏通(소통)해서 膿(농)을 제거한다. ⑵向日葵根(향일규근) - 二便不通(이변불통), 타박상, 胃腸胸痛(위장흉통...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해바라기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Helianthus annuus L.
- 개화기 :
- 8월, 9월
-
-
해바라기내용 장덕조(張德祚)가 지은 단편소설. 1937년 1월 ≪삼천리 三千里≫에 발표되었다. 영화 속의 주인공이 두 손을 벌리고 사랑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장면을 구경하고 있는 인애와 그녀의 남편, 인애는 이 영화에 대하여 문학소녀처럼 감동하고 있다. 이러한 영화를 보고서도 무심한 남편의 태도가 인애에게는 못마땅...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장덕조
- 창작/발표시기 :
- 1937년 1월
- 성격 :
- 단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