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심리성적 발달 (관련어 항문기) 정신분석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유아 성욕 이론심리성적 발달이론은 정신분석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가장 논란이 되었던 개념이다. 프로이트 이전까지만 해도 어린이에 대해 이론을 펼친 사람은 적었고, 그 내용도 어린이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정리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달랐다. 열역학 제1법칙인 에너지 보존의 법칙(law of conservation of energy)을...
-
대소변 가리기가 심리적으로 왜 중요한가요 육아 심리상담 : 아이의 발달충돌이 일어납니다.(무조건 떼쓰는 아이를 어디까지 허용해야 하나요, 아이가 짜증을 잘 내고 떼를 많이 써요 참조) 프로이트는 18개월에서 3세까지를 항문기라고 했는데요. 이때는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중심으로 해서 엄마와 아이의 관계가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아이는 자신이 만들어낸 큰 대변을 자랑스러워하기도...
-
아이가 아직까지 기저귀를 차고 다녀요 3~4세 아이의 배변방법을 알려 주는 것이 부모가 가져야 할 자세입니다. 너무 다그쳐도, 너무 내버려 두어도 문제 프로이드는 18개월부터 36개월까지 시기를 항문기로 정의하였습니다. 항문기에는 대변을 참고 있거나 배설하는 데에서 쾌감을 얻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시기의 아이들은 유난히 똥과 관련된 이야기를 좋아하고, '방귀'나...
- 시기 :
- 3~4세(25~48개월)
-
자아심리학 고전적 정신분석과 후기 정신분석 사이에서갈등에서 독립적으로 성장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프로이트의 초기 견해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프로이트는 사람은 태어날 때 원초아만을 가지고 태어나며, 항문기(심리성적 발달 참조)에 이르러서야 원초아에서 자아가 분화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하트만은 프로이트와 달리 사람은 태어날 때 원초아와 자아를 함께...
-
-
무조건 떼쓰는 아이를 어디까지 허용해야 하나요 인간심리의 발달통제가 실패하거나 지나치게 어른들의 간섭을 받게 되면 자율성을 얻지 못하고, 수치심과 자신에 대한 회의감이 생기게 됩니다. 프로이트는 이 단계를 항문기(Anal Stage)라 명명했는데요. 배설의 쾌감이 리비도의 만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라는 의미입니다.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하면서 이런 욕구가 충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