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12개의 합주 협주곡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12 Concerti grossi Op.6 (HWV319~330)〈합주 협주곡 Op.6〉은 헨델이 작곡한 12개의 합주 협주곡(HWV319~33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합주 협주곡’(concerto grosso)이란, 몇 개의 독주 악기들로 구성된 작은 악기 그룹과 전체 오케스트라가 서로 대조와 조화를 이루는 바로크 시대 음악 양식을 말한다. 이때 작은 악기 그룹을 ‘콘체르티노’(concertino...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39년 9월~10월
- 작곡가 :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 출판 :
- 1739년, 런던(초판) / 1741년(2판)
- 편성 :
- 독주 바이올린 2, 독주 첼로, 현 4부, 하프시코드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Brandenburg Concertos BWV1046-1051출판되었다. 바로크 시대에는 한 개의 독주악기와 합주를 위한 ‘독주협주곡’과 여러 개의 독주악기들과 합주를 위한 ‘합주협주곡’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협주곡들이 존재했다.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의 6곡은 합주협주곡 유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로크 협주곡 형태를 망라하여 보여주는 대작이다. 뿐만 아니라...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18~1721년경
- 작곡가 :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출판 :
- 1850년
- 헌정 :
- 크리스티앙 루드비히 브란덴부르크 공
-
첼로 협주곡 1번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Cello concerto No.1 in C Major Hob.VIIb-1첼로 협주곡 2번〉과는 달리, 1760년대에 쓴 1번에서는 바로크 음악의 색채가 강하게 느껴지는 곡이다. 특히 독주와 합주가 경쟁하듯이 정교하게 진행하는 모습은 바로크 합주 협주곡과 유사하며, 짧은 후렴구 같은 악구가 반복되거나 단조로운 반주 위를 흐르는 화려한 선율에서도 18세기에 유행한 음악 양식을 엿볼 수...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65~1767년
- 작곡가 :
-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 출판 :
- 1962년, 프라하 SHV
- 편성 :
- 독주 첼로, 오보에 2, 호른 2, 바이올린 2부, 비올라, 베이스
-
크리스마스 협주곡 아르칸젤로 코렐리, Concerto grosso in g minor, Op.6-8, ‘Christmas’합주 협주곡 형식을 빌린 크리스마스 음악 이탈리아의 기교파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협주곡의 발달에 기여한 아르칸젤로 코렐리는 1653년에 태어나 1713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가 사망한 이듬해인 1714년에는 추기경 피에트로 오토보니의 후원으로, 유작으로 남은 코렐리의 열두 개의 합주 협주곡을 묶은 작품집 ≪12개의...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정확한 작곡연도는 불확실. 다만 코렐리의 새로운 후원자를 위해 1960년 연주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 작곡가 :
- 아르칸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
- 출판 :
- 1714년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Violin Concerto No. 2 in E Major, BWV1042유명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E장조는 전체 세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반적으로는 이탈리아풍이 강하게 느껴진다. 바로크 시대에 유행하던 기존의 합주 협주곡 양식에서 벗어나, 독주 악기의 독립적인 기교가 중심이 되며, 합주는 이를 뒷받침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역할을 나누고자 하는 시도가 곳곳...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20년(쾨텐 시대)
- 작곡가 :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 편성 :
- 바이올린(독주), 바이올린 2, 비올라, 바소 콘티누오
-
-
피아노와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삼중협주곡 C장조 루트비히 판 베토벤, Triple Concerto for Piano, Violin and Cello in C major, Op.56부활절 무렵에 라이프치히에서 공개 초연되었다. 독주 악기의 조화와 균형 세 대의 독주 악기를 사용한 이 곡의 편성은 기본적으로 바로크 시대에 유행한 합주 협주곡의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각기 다른 음색과 기교적 난이도를 지닌 세 대의 악기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 베토벤은...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관현악곡 > 협주곡
- 제작시기 :
- 1803~1805년
- 작곡가 :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초연 :
- 1808년, 라이프치히
- 출판 :
- 1807년
- 헌정 :
- 로프코비츠 후작
- 편성 :
-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독주악기로 사용하는 협주곡 편성 플루트,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호른2, 트럼펫2, 팀파니, 현5부
-
‘조화의 영감’ 중 바이올린 협주곡 6번 안토니오 비발디, Violin Concerto Op.3 No.6 in a minor, RV356자유로운 영감과 아이디어를 추구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작품집 안에는 총 열두 곡의 협주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편성은 각기 다르며, 코렐리 풍의 합주 협주곡 양식에서부터 비발디 시대에 싹트기 시작한 독주 협주곡 양식에 이르기까지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발디의 《조화의 영감》이 출판된...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11년
- 작곡가 :
-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
- 출판 :
- 1711년, 암스테르담 로제 출판사
- 헌정 :
-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트 3세
- 편성 :
- 독주 바이올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통주저음
-
플루트 협주곡 G장조 쥬세페 타르티니, Flute Concerto in G major생애 초반기에 쓰일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곡은 분명하게 가로 플루트(transverse flute)을 위해 쓰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플루트 협주곡 G장조〉는 코렐리의 〈합주 협주곡〉의 영향을 짙게 보이는 작품으로 솔로와 투티 섹션의 명확한 대비를 주된 구성으로 삼고 있다. 악곡 구성 1악장 알레그로 2악장 라르고 안단테...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작곡가 :
- 쥬세페 타르티니(Giuseppe Tartini, 1692~1770)
- 편성 :
- 오케스트라, 플루트(솔리스트)
-
알라 루스티카 ‘전원풍 협주곡’ 안토니오 비발디, Alla Rustica RV151전원풍으로 노래하라? 비발디의 〈현악 합주를 위한 협주곡 RV 151〉은 ‘알라 루스티카(Alla Rustica)’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데 비발디가 직접 붙인 것이다. 이는 토리노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비발디의 자필악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곡은 제목에서 암시하는 것과 같이 전원풍보다는 화려한 후기...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제작시기 :
- 1720 중반~1730년
- 작곡가 :
-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
- 편성 :
- 바이올린 2(3악장 오보에), 비올라, 바소 콘티누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