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 8000~6000년경 지금의 사하라 사막에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공통 조어에서 생겨나 서로 계통적 관계가 밀접한 언어들의 무리. Semito-Hamitic, Erythraean, Afro-Asiatic, Afrasian languages라고도 함.|함셈어족은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에서 주류를 이루는 어족이며, 아랍어·히브리어·암하라어·하우사어...
언어분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또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은 약 300개의 언어가 소속된 거대한 어족이다. 일반적으로 12,000년에서 18,000년 전에는 하나의 언어였을 것으로 학자들은 생각한다. 잘 확립된 어족 중 세계에서 가장 기록된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이 어족에 포함되는 언어들은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이 언어들은 니제르콩고어족이나 나일사하라어족·코이산어족·함셈어족에 속해 있다. 아프리카 제어의 수는 800~1,000개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제국들에서 쓰이는 언어들 가운데 중요한 것은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풀라니어·요루바어·이그보어·줄루어,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으로는 미국인 언어학자 조지프 그린버그에 의해 만들어진 분류법이 있다. 그의 분류법에 따르면, 아프리카어는 니제르코르도판어족·나일사하라어족·함셈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코이산어족으로 나뉜다. 니제르코르도판어족(니제르콩고어 및 코르도판어 포함)의 언어는 세네갈에서 희망봉에 이르는 지역에서 사용...
BC 2500~2250년경 사용되었던 이 언어는 아마도 지금까지 온전한 형태로 전해내려오는 언어 중 가장 오래된 언어일 것이다. 중북부 셈어인 에블라어는 함셈어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1970년대 중엽에 고고학자들이 시리아 알레포 근처의 탈마르디흐를 발굴한 결과 에블라 왕국의 공문서가 서판이나 서판 조각의 형태로...
추정되는 것도 있다. BC 8000∼6000년 이 지역의 쿠시어·셈어족(아프리카 아시아어족)이 목축과 농업을 발전시켰다. 에티오피아의 쿠시어파와 셈어파는 함셈어족의 문화적 후손이다. 게에즈어를 사용하는 농경민들은 BC 2000년경 티그라이의 고원지대에 닿은 후 다마트 왕국을 세웠다. 이 기간 동안 상아무역·코뿔소의...
19세기의 역사비교언어학은 세계 언어들의 친족관계를 밝히고 어족을 수립하는 데 몰두했다. 그결과 인도유럽어족·함셈어족·시노티베트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등 몇몇 어족이 수립되거나 가정되었다. 19세기 중반에 유라시아 대륙의 언어들에 대해 가정된 우랄알타이어족도 그중의 하나였다. 우랄알타이어족설의...
함셈어족의 5개 어군 가운데 하나를 이루고 있다. 나머지 4개 어군은 이집트어군·베르베르어군·차드어군·셈어군이다. 학자들은 쿠시어군을 다시 5개의 하위 어군으로 나누는데, 베자어군·아가우어군·동쿠시어군(갈라어·소말리어 포함)·서쿠시어군(에티오피아 남서부에서 쓰이는 카파어 포함)·남쿠시어군...
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며, 함셈어족에 속하는 쿠시어 계통의 언어를 쓴다. 원래 에티오피아 남동 지역에서 살았지만 16세기에 침략을 시작, 이동하면서 에티오피아 남부 지역 전체를 차지했다. 일부는 케냐의 타나 강 유역에 자리잡았고, 나머지는 암하라 지역 남쪽 부분을 포함한 에티오피아 중부와 서부 대부분과...
이 지역의 다수 부족을 이룬다. 풀라니족의 반 정도는 하우사족과 함께 정착하여 지배계층을 이루고 있으며, 하우사 언어와 문화를 받아들였다. 언어는 함셈어족의 차드어군에 속하며, 14세기 후반에 말리 왕국에서 들어온 이슬람교에 의해 신앙과 관습이 큰 영향을 받게 되자 언어도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하우...
일반적으로 함셈어족(또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한 분파인 동부 쿠시트어로 분류된다. 사호어를 쓰는 사람들은 북쪽으로는 티그레족, 서쪽으로는 암하라족, 남쪽과 동쪽으로는 아파르족과 경계를 이루고 분포하고 있으며, 사호어는 아파르어와 함께 동일한 어군을 이루고 있다. 사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지금은 사라진 이집트어는 셈어군·쿠시어군·차드어군 및 베르베르어군과 함께 함셈어족에 속한다. 학자들은 이집트어로 씌어진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이집트어사를 대개 고대 이집트어(BC 3000~2200경), 중기 이집트어(BC 2200경~1600경), 후기 이집트어(BC 1550~700경), 민중문자 시대의 통속 이집트어(BC 700~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