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단 氣團, air mass따라 결정되며, 그 종류는 고위도의 한대기단과 극기단, 저위도의 열대기단과 적도기단 등이 있다. 기단은 발원지의 지표면 성질에 따라서 대륙성 기단과 해양성 기단으로 나뉘기도 한다. 현황 지구상의 기단은 대륙성 극기단과 한대기단, 열대기단, 해양성 한대기단과 열대기단, 적도기단 등이 있다. 이 중, 우리나라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기단 氣團, air mass해양에서 발생한 기단을 해양성 기단 m(marine)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한반도 부근의 시베리아 기단은 cP, 북태평양 기단은 mT, 양쯔 강 기단은 cT, 오호츠크 해 기단은 mP 등으로 표시한다. 시베리아 기단은 대륙성 한대 기단(cP)으로,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대륙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한랭 건조한 특징이 있으며 겨울...
-
-
-
시베리아기단 시베리아氣團내용 겨울철에 시베리아대륙에서 형성되는 대륙성 한대기단을 말하며, 북서계절풍, 삼한사온, 꽃샘추위의 원인이 된다. 시베리아기단은 연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한반도의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대체로 늦장마가 끝나는 9월 중순 이후부터 오호츠크해기단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5월 중순까지 시베리아기단의 영향...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오호츠크해기단 오호츠크海氣團내용 오호츠크해에 주변의 융설수 및 융빙수가 유입되면서 형성되는 해양성 한대기단으로 늦은 봄철 한반도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오호츠크해는 저기압이 자주 통과하고 다른 곳에서 발원한 기단이 지나는 곳이므로 기단이 발원하기 어렵다. 그러나 늦은 봄에 시베리아 지방의 눈이 녹기 시작하면서 오호츠크해 주변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