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대 寒帶, polar zone
    극권(위도 66° 33′)보다 고위도의 지대. frigid zone이라고도 함.|W. 쾨펜의 기후구분에서는 최난월의 평균기온이 10℃ 이하로 강수량이 적은 지역을 가리키고, 식생을 지표로 했을 때는 아한대의 극 쪽에 위치하는 무수목지역을 가리키는데, 이것은 다시 툰드라 지역과 빙설지역으로 나뉜다. 북반구에서는 유라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한대 기후 (관련어 한대) Polar climate, 寒帯
    다른 뜻 넘어옴 한대 기후(寒帶氣候) 또는 극기후는 최난월 평균기온이 영상 10도 미만인 지역의 기후대이다(강수량 조건은 없음). 이 지역에서는 수목이 기본적으로 자라지 않는다. 한대 기후라고도 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기호는 E로 저위도부터 5번째(가장 고위도)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플론-쿠퍼의 기후 구...
    도서 위키백과
  • 한대미술
    한대는 중국미술의 원형이 형성된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중국미술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대에는 궁정벽화가 성행했다. 전한대에 지어진 미앙궁(未央宮)의 승명전(承明殿) 벽화, 노(魯)나라 공왕(恭王) 때 완성된 영광전(靈光殿) 벽화, BC 51년(宣帝 3) 곽광(바광) 등의 공신상을 그려넣은 기린각(麒麟閣) 벽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진·한대의 중국문학
    시가 이 시기에 새롭게 등장한 부는 시와 산문의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는 시가형식으로 초사체와 직접적인 계승관계가 있는 문체이다. 보통 한대 초기에 유행한 소체부와, 경제(景帝) 때 일어나 무제(武帝)·선제 때 흥성한 산체장부의 2종류로 나뉜다. 특히 후자는 길게 늘여서 꾸미는 포장 수법과 조탁에 힘을 기울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한대기후 寒帶氣候, cold climate
    용어가 의미하듯 매우 추운 기후로, 식물이 거의 성장하지 못하고 거주민이 매우 드물다. 크게 아극(亞極)기후·극기후·고원기후로 구분된다. 아극기후는 위도 50~65°의 고위도지역에서 나타나며 최난월(最暖月)의 평균기온이 10℃인 등온선이 극 쪽 경계로 수목한계선과 일치한다. 온대대륙성기후와 비슷한 특성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한대의 음악
    주대에 흥성했던 예악사상 및 제사의 음악은 한대(BC 202~AD 220)에 이르러 국가제도인 '아악'으로 확립되었다. 이는 천·지·종묘를 제사하는 전례이다. 한대의 주요한 속악으로는 악부가 있다. 악부는 한대의 문예 전개와 더불어 민간에서 흥성한 예술가곡을 궁정에서 받아들인 것으로, 〈상화가 相和歌〉·〈청상삼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한대전선 제트류 polar front jet stream, 寒帶前線 ──流
    일종)는 지표면으로 확장하는 수평적 온도 변화와 관련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제트류는 심층 위의 차가운 공기와 심층 위의 따뜻한 공기 사이에 경계선을 표시하는 하나의 전선으로 나타난다. 한대전선 제트류는 등압면과 등밀도면이 일치하지 않아 불안정해질 수 있고, 로스비 파(Rossby waves)로 분산될 수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한대전선 polar front, 寒帶前線
    이 전선은 강력한 온도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온대저기압과 관련된 운동 에너지로 쉽게 전환될 수 있는 위치 에너지가 쌓인다. 한대전선이 여름에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반영하듯, 온대저기압대는 7월에 북쪽으로 옮겨진다. 노르웨이의 기상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빌헬름 비에르크네스가 설립한 베르겐 지구물리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기상/기후
  • 한대오름
    진달래, 꽝꽝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자라고 있다. 오름 서쪽 지역에는 곰취군락이 있고, 동쪽 자락에는 꽤 넓은 습원을 이루면서 주변에 물웅덩이가 많다. 한대오름은 제주 한라산 기슭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으며 제주만의 풍경을 갖고 있다. 특히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오름으로, 한라산국립공원의 해발 1100...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화전길 201
  • 경학 經學
    누르고 당시 학계의 우위를 차지했다. 고문경학에서는 문자의 해석과 전장문물(典章文物)의 탐구를 중시했으며, 특히 〈주례 周禮〉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한대 금고문경학의 대립을 해소하여 고문경학 중심의 학풍을 이룬 학자는 마융의 제자인 정현(鄭玄)이었다. 그는 5경 전반에 걸친 방대한 주석작업을 통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한대야간제트류 寒帶-----, polar night jet stream
    제트류는 지상 9-12km상공에서 불며 편서풍이며 굽이치며 부는 바람을 말한다. 세계기상기구에서는 풍속이 30m/s이상인 바람을 제트기류로 규정하고 있다. 풍속이 가장 빠른 지역은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이나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쪽에 있으며 겨울에 강한 제트기류가 발달한다. 제트기류는 계절에 따라 남북방향으로...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극동풍 한대편동풍, 極東風
    극풍 또는 한대편동풍이라고도 부른다. 극동풍이 동쪽으로 편향되어 부는 것은 지구의 자전에 의한 전향력 때문이다. 극동풍은 아열대 고기압에서 불어온 따뜻한 바람과 위도 40~60도 부근에서 만나 한대전선(고위도 저압대)을 형성한다. 따뜻하고 차가운 두 개의 공기 덩어리가 만나 합쳐지면서 많은 비가 내리게 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상/기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한대 제트
한대 기후
한대의 동노궤
한대의 성보
한대의 동전
한대의 정원
한대의 종이
한대의 놀이 문화
한대의 우경법
중국 한대(漢代)의 가량(嘉量)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