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동의어 ..) 한국노..27개 산별 노조가 가입한 노동조합 연맹체. 변천 및 주요 활동 한국노총의 모체는 1946년 3월 10일 우익 청년단체 및 정당 관계 인사들에 의해 상층 지도부 중심으로 조직된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이다.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약칭 대한노총)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에 맞서서 활동을 하였고, 전평 산...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5번지
- 설립 :
- 1961년 8월 30일
- 성격 :
- 노동조합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규철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조직이던 한국노총 가입을 거부하고 자주성과 민주성을 지닌 노동조합의 연대조직 건설을 모색하여 1990년 1월 제조업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14개 지역협의체와...해 5월에는 사무전문직 업종의 14개 연맹, 586개 노동조합, 200,197명 조합원을 포괄하는 전국업종노동조합회의(약칭 업종회의)가 결성되었다. 이 두 조직은...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22
- 설립 :
- 1995년 11월 11일
- 성격 :
- 노동조합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등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한국노동조합총연맹, 韓国労働..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was formed in 1960 after a military coup, and the dissolution of the General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and its affiliates. The FKTU was placed under the guidance of the military authorities.The FKTU was the sole legal trade union center in Sout...출처 영어 위키백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연혁 및 변천 한국의 대표적인 노동조합 연맹체 중 하나. 약칭 민주노총으로 불린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어용성을 비판하고 노동조합운동의 발전을 기치로 전국노동조합협의회를 모태로 출범했다. 노동법의 '복수노조 금지 조항'으로 인해 공식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다가, 1999년 11월 출범 4년 만에...
- 설립 :
- 1995년 11월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 사이트 :
- http://www.nodong.org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부산지역본부 韓國勞動組合總聯盟 釜山地..[설립 목적]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한 부산 지역의 단위 노조들을 총괄하는 지부로 지역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향상하고 노조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의 노조들이 서로 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천] 1963년 3월 14일 부산지부로 창립되었으며, 창립 당시에는 부두노조 부산지부 사무실을...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연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聯盟진보 계열의 노동운동 단체로, 1995년 11월 11일 창립했다. 보건의료노조는 민주노총에 소속돼 있다. 민주노총은 2018년 조합원 수에서 23년 만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앞지르며 제1노총으로 등극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8년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 대한노총, 大韓勞動組合總聯合會위하여 투쟁한다. 5. 노동운동의 자주성을 확립하며 노동자의 권익을 해치는 일체의 대내외의 불순세력과 과감하게 싸운다.’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전국노동단체통합결성대회(1960년 11월 25~26일)에서 ‘(1) 민주적인 노동운동을 통하여 노동자의 인권수호와 경제적 사회적 지위향상을 위한 공동적인...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한노동총연맹 대한노총, 大韓勞動總聯盟노협계, 대한노총을 탈퇴했거나 신규 조직된 노조 등 전국 대의원 725명이 참석하여 대한노총과 전국노협의 통합대회를 개최하고, 통합 조직의 명칭을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으로 결정했다. 이후 1961년 5·16 군사쿠데타로 강제 해산후 재결성하게 되었다. 대한노총의 조직과 활동의 주요한 특징은 처음 결성될 때 노동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전국섬유·유통·건설노동조합연맹 전국섬유노동조합연맹,..중앙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 대표자회, 지역본부장회 등이 있다. 재정은 조합원의 납부금과 조합비로 운영된다. 상급단체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다. 의의와 평가 1960∼70년대 한국 산업화시기에 제조업 중 가장 많은 노동자가 고용된 업종이 섬유, 의류 업종이다. 당시 전국섬유노조는 조합원수가 가장 많았으며...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