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일레 셀라시에 Haile Selassie
    에티오피아의 황제(1930~74 재위). 본명은 Tafari Makonnen.|에티오피아의 근대화를 추진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에티오피아를 아프리카 정치의 본류로 끌어들였다. 에티오피아를 국제연맹과 국제연합(UN)에 가입시켰고 아디스아바바를 아프리카 통일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OAU)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
    출생 :
    1892. 7. 23, 에티오피아 하레르 근처
    사망 :
    1975. 8. 27, 아디스아바바
    국적 :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일레 셀라시에 (관련어 하일레셀라시에) Haile Selassie, ..
    출처 필요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다. 에티오피아 남부 해안 지방의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라스 터퍼리 머콘는이다. 혈연으로는 아두와 전투에서 이름을 떨친 영웅 메넬리크 2세의 사촌 아들에 해당한다.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 젊은 나이 각지의 주지사를 역임했다. 기억력이 ...
    도서 위키백과
  • Haile Selassie 하일레 셀라시에 1세, ハイレ・セラシエ1世
    Haile Selassie I (qädamawi haylä səllasé)born Tafari Makonnen Woldemikael, was Ethiopia's regent from 1916 to 1930 and Emperor of Ethiopia from 1930 to 1974. He also served as Chairperson of the Organisation of African Unity from 25 May 1963 to 17 July 1964 and 5 November 1966 to 11 September...
  • 암하 셀라시에 Amha Selassie, アムハ・セラシエ1世
    동행했다. 뇌졸중으로 인해 그는 한쪽이 영구적으로 마비되어 걸을 수 없게 되었고 말도 못하게 되었다. 그가 살아날 가능성이 없어 보이자 부황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당시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 재학 중이던 그의 아들 제라 야고보 왕자를 임시 왕세자와 추정 왕세자로 지명했다. 1974년 9월 12일 그의 아버지가 폐위...
    도서 위키백과
  •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Mengistu Haile Mariam, メンギスツ・..
    이유로 아만 안돔 의장을 해임한 후 연금했다. 후에는 온건파의 일부와 총격전을 벌여 아디스아바바 각처에서 아만 의장을 포함해 전 수상 2명,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손자인 해군 사령관, 61명의 온건파 지도자, 정부 고관, 황족 등을 살해했다. 학살 실행의 흑막이었던 멩기스투는 이 사건으로 에티오피아의...
    도서 위키백과
  • 셀라시에
    셀라시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하일레 셀라시에 제라 셀라시에: 솔로몬 왕조의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손자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제라 셀라시에 Zera Yacob Amha Selassie, ゼラ・ヤコブ・ア..
    왕족 정보 제라 야곱 암하 셀라시에는 솔로몬 왕조의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손자로, 솔로몬 왕조의 현재 수장이다. 1997년 2월 17일부터 재위 중이다.
    도서 위키백과
  • 하일레
    하일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하일레 셀라시에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의 초대 대통령이자 군인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에티오피아의 장거리 육상 선수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에티오피아의 역사
    철도가 건설되었고 수도는 신식 학교와 병원으로 근대화되었다. 에티오피아는 1920년대에 커피 수출로 비교적 경제 번영을 이루었으며, 1930년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는 근대화 사업을 확대했다. 1890년 에리트레아에서 안정된 지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1935∼36년 에티오피아를 침략해 1941년까지 에티오피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문학 Ethiopian literature
    띤 우의소설의 첫 작품으로는 아페워르크 가브레 아이수스가 쓴 〈상상의 이야기 Libb wallad tarik〉(1908)가 있다(풍유). 라스 타파리(후에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섭정기(1916~20)에 히루이 왈데 셀라시에(1938 죽음)는 암하라어 작가의 지도자가 되었는데, 특히 〈내 벗과 같은 내 마음 Wadaje lebbe〉이라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라스타파리안 Rastafarian
    에티오피아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즉위 전 이름은 라스[왕자] 타파리)를 구세주 혹은 흑인의 옹호자로 숭배한다(→ 하일레 셀라시에). 흑인은 환생한 유대인이며 신의 벌을 받아 악마와 열등한 백인의 지배를 받아왔지만 결국에는 지상천국이자 진정한 고향인 아프리카로 돌아감으로써 구원을 얻고 백인들 위에 군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에리트레아 해방전선 ELF, Eritrean Liberation Front
    1958년에 결성된 ELF는 에티오피아의 통치자 하일레 셀라시에가 1962년 에리트레아의 자치권을 박탈한 뒤 급격히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1960년대말부터 ELF는 에티오피아 정부에 대항하여 조직적인 게릴라전을 벌여 에리트레아의 시골지역을 장악하고, 그 지역에 행정체계를 세웠을 뿐만 아니라 에리트레아의 몇몇 지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