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인리히 4세 Heinrich IV
    하인리히 4세는 당시 정점에 달한 교황권과 추락한 왕권을 보여준 사건인, 이른바 카노사의 굴욕을 겪었다. 아버지 하인리히 3세의 요절로 6세에 즉위했다. 어머니 아그네스 왕후가 섭정하는 동안 실정을 거듭해 대부분의 왕령이 귀족들의 소유로 넘어갔다. 친정을 시작 후에는 잃은 왕령들을 되찾으며 왕권을 회복하고...
    출생 :
    1050년 11월 11일
    사망 :
    1106년 8월 7일, 로렌 리에주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인리히 4세, 로마 점령하고 그레고리우스 7세 추방
    ‘카노사의 굴욕’으로 수모를 당했던 신성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가 복수에 성공했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를 무력으로 내쫓은 것이다. 교황과 신성로마 황제 사이의 알력은 12세기까지 계속된다. 참조
    시대 :
    1082년
    국가/대륙 :
    유럽
  • 하인리히 4세 (관련어 하인리히4세) Henry IV, Holy Rom..
    하인리히 4세(Heinrich IV, 1050년 11월 11일 – 1106년 8월 7일)은 1056년부터 독일 왕이었고 1084년부터 1105년 강제로 퇴위 당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다. 잘리어 왕조의 세 번째 황제였으며 11세기의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역할을 한 황제였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이른바 서임권 투쟁을 둘러싸고 격렬한...
    도서 위키백과
  • 로마네스크 건축, 독일의 성기 로마네스크와 제2 슈파이어 (관련어 하인리히 4세)
    독일의 성기 로마네스크는 통상적으로 1060년부터 1170년 사이를 일컫는데 정치사에서는 잘리어왕조(1024~1125)와 호엔슈타우펜 왕조(1138~1254)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잘리어왕조가 주도적 역할을 했다. 오토왕조의 뒤를 이어 신성로마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조였으며 건축양식도 함께 전성기를 누렸다. 독일의 성기 ...
  • 하인리히 4세 ‘카노사의 굴욕’ 당하다
    신성로마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가 한겨울의 냉기 속에서 맨발인 채로 사흘 동안 사죄하는 굴욕을 당했다. 사죄의 대상은 바로 교황이었다. 교황이 신성로마황제를 파문하면서 벌어진 이 사건은 하인리히가 용서를 빈 곳의 지명을 따서 ‘카노사의 굴욕’이라 불린다. 사건의 발단은 성직자 임명권을 둘러싸고 교황과...
    시대 :
    1077년
    국가/대륙 :
    유럽
  •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철학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의 신학
    세속 군주가 성직자를 임명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1075년 교황이 성직자 서임권이 교회에 있음을 밝히자 세속 군주와의 권력 투쟁이 벌어진다. 황제 하인리히 4세는 교황의 폐위를 결정했다. 이에 교황은 로마회의에서 황제의 파문과 폐위를 선언했다. 파문당하면 봉건 제후들의 충성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황제는...
  • 하인리히 5세 Heinrich V
    보헤미아·헝가리·폴란드와의 전쟁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하인리히 4세의 아들인 하인리히 5세는 아버지가 교황과 벌인 성직 임명권 논쟁을 계속했다. 하인리히 4세와 그의 첫번째 아내인 토리노의 베르타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황제가 된 뒤, 하인리히의 형 콘라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다...
    출생 :
    1086. 8. 11
    사망 :
    1125. 5. 23, 프리슬란트 위트레흐트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인리히 3세 Heinrich III
    아그네스를 아내로 맞이하겠다는 하인리히의 결심을 뒷받침해주었다. 1050년 11월 아그네스는 아들을 낳았다. 이 아들은 나중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가 되었다. 이어서 둘째 아들 콘라트와 세 딸이 태어났다. 하인리히에게 아직도 모자란 것은 최고의 명예, 즉 교황이 직접 주재하는 황제 대관식뿐이었다...
    출생 :
    1017. 10. 28
    사망 :
    1056. 10. 5, 작센 고슬라어 근처 보트펠트 성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인리히 2세 Heinrich II
    교회에 널리 퍼진 전설에 따라 그를 시성했다. 사실 그는 전혀 성인답지 않았지만, 그의 종교적 성품에 관한 전설에는 어느 정도 진실도 들어 있다. 그는 하인리히 3세와 함께 샤를마뉴가 처음 시작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오토 1세 대제(962~973 재위)가 추진한 정책에 따라 교회와 국가의 협력 관계를 이룩한 위대...
    출생 :
    973. 5. 6, 바이에른 알바흐(?)
    사망 :
    1024. 7. 13, 작센 괴팅겐 근처 그로나 성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하인리히 7세 Heinrich VII
    자신의 아들을 보헤미아의 왕위에 오르게 함으로써 가문의 지위를 강화했다. 그러나 이탈리아를 제국에 확고히 묶어두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1288년 아버지 하인리히 3세를 계승하여 룩셈부르크의 백작이 되었다. 1308년 11월 프랑크푸르트에서 독일 왕으로 선출되어 이듬해 1월 아헨에서 즉위식을 갖고 룩셈부르크 왕가...
    출생 :
    1269/74경, 에노 발랑시엔
    사망 :
    1313. 8. 24, 이탈리아 시에나 근처 부온콘벤토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마르슈너 Heinrich August Marschner
    법학을 공부했지만 1817년 빈에서 만난 베토벤과 그밖에 다른 사람들의 영향으로 작곡으로 방향을 돌렸다. 1820년에 가까운 친구인 베버가 마르슈너의 오페라 〈하인리히 4세와 도비녜 Heinrich Ⅳ und d'Aubigné〉를 드레스덴 오페라단 무대에 올렸는데, 마르슈너는 훗날 이 드레스덴 오페라단의 감독이 되었다...
    출생 :
    1795. 8. 16, 독일 작센 치타우
    사망 :
    1861. 12. 14, 하노버 하노버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하인리히 라스페 폰 튀링겐 방백 Henry Raspe, ハインリヒ・ラスペ (..
    2월 16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이자 튀링겐 백작이고, 1246년부터 1247년 독일의 대립 황제였다. 아버지 헤르만과 외할아버지 오토 1세 비텔스바흐가 하인리히 4세의 딸 아그네스의 친손자와 외손자가 된다. 6촌 관계인 프리드리히 2세 및 그 아들 콘라트 4세에 반대하는 귀족들에게 추대되어, 프리드리히 2...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하인리히 4세(Heinrich IV)
하인리히 4세(Heinrich IV)
〈하인리히 4세와 마틸다〉
에두아르 슈바이거, 「카노사의 하인리히 4세」, 뮌헨 막시밀리아네움 재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