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이집트 Lower Egypt
    나일 강 삼각주의 3각형 지역을 중심으로 남쪽으로는 북위 30˚선, 북쪽으로는 지중해에 이르는 이집트의 지리적·문화적 지역구분. (아). Misr Bahri.|비옥한 토지가 넓게 펼쳐져 있는 하이집트 지역은 나일 강 계곡을 따라 사막 가까이에 있는 인구밀집지역인 상이집트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집트 왕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하이집트 (관련어 하 이집트) Lower Egypt, 下エジプト
    하이집트(Lower Egypt, 下이집트)는 이집트의 지역을 일컫는 이름이다. 현재의 카이로 남부부터 지중해까지의 나일 강 삼각주 지대를 지칭한다. 카이로 이남 나일 강 하곡의 상이집트와 함께 고대 이집트를 구성하는 양대의 지역이었다. 중간기에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에 각각의 왕조가 분권하여 패권을 다투는 경우도 ...
    도서 위키백과
  • Lower Egypt 하이집트, 下エジプト
    Lower Egypt (Egyptian Arabic:Maṣr El-sofla) is the northernmost region of Egypt: the fertile Nile Delta, between Upper Egypt and the Mediterranean Sea — from El-Aiyat, south of modern-day Cairo, and Zawyet Dahshur. In ancient times, Pliny the Elder (N.H. 5.11) said that upon reaching the delta t...
  • 상이집트 Upper Egypt
    전체를 포함한다. 일부 학자들이 중이집트로 명명하는 지역(리시트에서 파노폴리스까지의 지역)도 상이집트에 포함된다. 왕조 이전 시대말에 상이집트는 하이집트(삼각주 지역)와 별도의 정치권을 형성했다. 그러나 메네스 왕(BC 2900경)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했으며, 그때부터 이집트의 왕은 '상·하 이집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타니스 Tanis
    하이집트 14번째 노모스(州)의 주도이며, 한때는 나라 전체의 수도였다. 이 도시는 아시아 해안선과 가장 가까운 항구의 하나로서 중요했다. 제20왕조 말기에 이집트의 아시아 제국이 쇠퇴하자 수도는 페르라메수(Per Ramessu)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졌고, BC 1075년경 제21왕조 때는 타니스가 수도로 정해졌다. 이집트인...
    위치 :
    이집트 북부 나일 강 삼각주 북동부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사이스 사 엘 하가르, Sais
    전쟁과 베틀의 여신인 네이스의 대표적 신전이 있었으며 그후에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BC 8세기말에 사이스의 군주인 리비아인 테프나흐테가 하이집트 지방의 패권을 놓고 쿠시인들과 겨루었으나 BC 713~712년 이집트 제25왕조를 세운 샤바카에게 패배했다. BC 671년 아시리아가 쿠시인의 왕조를...
    위치 :
    이집트 북부 알가르비야 주, 나일 강 삼각주 서쪽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알마아디 al-Maadi
    하이집트 알카이라 무하파자(총독지구)에 있었던 곳으로 지금의 카이로 정남쪽에 있다. 이곳에 사람이 거주한 시기는 게르진 문화가 상이집트에 널리 퍼져 있던 기간(BC 3400~3100경)과 대략 일치한다. 알마아디는 농촌이었음이 분명하며 마을의 공동묘지가 따로 있었다. 직4각형 오두막집, 벌어진 다리를 가진 항아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신약성서 초기의 번역본
    있고, 다른 시리아어 역과는 다른 본문 형태를 지녔다. 이집트에서는 3~6세기에 콥트어 역이 나왔다. 남쪽(상이집트)에서는 사히딕 역(Copsah), 북쪽(하이집트)에서는 보하이릭 역(Copboh)이 나왔다. 둘 다 엄격한 직역이며, 2~3세기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본문 형태를 반영한다. 드물게 서방 본문 형태도 발견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부시리스 Busiris
    존재를 부정했다. 부시리스라는 이름은 이집트 신 우시레를 그리스식으로 오시리스라고 부르기 전에 쓰던 덜 정확한 그리스식 이름인 듯하다. 모든 오시리스 신전은 푸시리(부시리스)라고 불렀지만, 푸시리라는 이름을 가진 주요한 도시는 삼각주의 중심에 있는 하이집트 9번째(부시리테) 주의 수도였다(→ 이집트 종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아미르타이우스 Amyrtaeus of Sais
    제28왕조를 세웠으나 자신의 재위기간이 끝난 뒤에는 다시 새로운 왕조가 들어섰다. 리비아의 군주 이나로스를 도와 나일 삼각주(하이집트) 지역에서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를 축출하려고 했던 아미르타이우스 가문 출신으로 보인다. BC 404년 그는 삼각주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아케메네스 왕조에 대해 반란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부키르 만 K halῑj Abū Qῑr
    하이집트 지방 알부하이라 주에 속하는 나일 강 삼각주의 로제타 지류 하구와 아부키르 곶 사이에 있다. 1798년 해군소장 호레이셔 넬슨 경이 지휘한 영국 함대가 나폴레옹의 함대를 격파한 '나일 강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1970년대 말엽 그 앞바다에서 천연 가스 전이 개발되어 알렉산드리아 일대와 알부하이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람세스 7세 Ramses VII
    올랐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위 4년째부터 특히 곡물 가격이 크게 올라 과거 수준의 3배나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 2가지 문서를 통해 상(上)이집트와 하이집트 사이에 나일 강을 통한 운송이 원활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각난 또다른 경제부문 파피루스를 맞추어보면 람세스 7세가 7년 동안 집권했다는 것을 알 수...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하이집트(Lower Egyp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