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심가 Hashimite
    예언자 마호메트의 직계 또는 방계의 아랍인 후손들. Hashemite라고도 씀.|이들 중의 한 가문이 20세기의 하심 왕조를 세웠다. 마호메트 자신은 쿠라이시 부족의 일부인 하심 가문 출신이었다. 하심가에서 가장 존경받는 혈통은 마호메트의 딸 파티마와 그의 남편이며 4대 칼리프인 알리 사이에서 태어난 하산으로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하심가 Hashemites, ハーシム家
    왕가 정보 하심가는 이슬람교의 가문 가운데 하나이다. 이슬람교의 성지인 메카의 지배 계급인 쿠라이시족에 속한 가문이며 이슬람교의 예언자, 창시자인 무함마드의 증조부인 하심 이븐 압드 마나프(Hashim ibn 'Abd Manaf)를 시조로 한다. 헤자즈 왕국, 이라크 왕국, 시리아 아랍 왕국, 트란스요르단의 왕가였으며 현 ...
    도서 위키백과
  • 이흐완 Ikhwan
    전통주의자들이 되었다(와하비). 1918년 그들은 이븐 사우드의 정예군으로 들어갈 태세가 되었다. 1919년 이흐완은 아라비아 북서쪽 연안에 있는 헤자즈의 하심가(家) 왕국에 대하여 전투를 개시했다. 그들은 후사인 이븐 알리 왕을 투라바에서 패배시킨(1919) 다음 그의 두 아들인 트란스요르단의 아브드 알라와 이라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다마스쿠스 공방전 (1920년) Capture of Damascus (1920), ダマス..
    함락한 사건이다. 다마스쿠스가 함락되면서 시리아 아랍 왕국은 멸망하였고 이 지역엔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가 들어서게 된다. 1920년 1월서부터 촉발된 하심가과 프랑스와의 전쟁은 새로 수립된 시리아 아랍 왕국 전역에서 충돌이 일어나게 되었다. 프랑스와의 장기간 혈전에 대해 걱정한 파이살은 1920년 7월 14일...
    도서 위키백과
  • 탈랄 1세 Talal of Jordan, タラール1世
    제국 메카 ~ 1972년 7월 7일 터키 이스탄불, llang)는 요르단의 제2대 국왕(1951년 7월 20일 ~ 1952년 8월 11일)이다. 무함마드의 직계 후손임을 자처하는 하심가 출신인 그는 후세인 1세의 아버지이다. 1951년 7월 20일 압둘라 1세의 뒤를 이어 요르단의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1952년 7월 23일 정신 질환으로 인하여...
    도서 위키백과
  • 아랍 연방 Arab Federation, アラブ連邦
    많은 아랍 국가인 이집트의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였다. 나세르는 자유장교단의 지지를 얻어 이집트 왕조를 폐지하고 아랍사회주의 정권을 세웠으며, 하심가 및 사우디아라비아를 통치하는 사우드가와 대립하였다. 이 시기는 냉전 도중이었기 때문에, 국가와 정권별로 서구권, 동구권, 또는 둘 모두에게 지원을 요청...
    도서 위키백과
  • 시리아-프랑스 전쟁 Franco-Syrian War
    신생국 시리아 아랍 왕국과 프랑스 사이의 전쟁이다. 마이살룬 전투에서 절정에 달한 일련의 교전 끝에 프랑스군은 1920년 7월 24일 다마스쿠스를 점령하며 하심가 시리아의 군주 파이살 1세와 그의 지지자들을 물리쳤다. 7월 25일에는 시리아에 알라 알 딘 알 다루비의 친프랑스 신생 정부가 수립되었다.Tauber E. The...
    도서 위키백과
  • 아랍 반란 Arab Revolt, アラブ反乱
    전투 말기에 병력은 몇 천 명으로 증가했다.harvnb 1918년 말이 되면 셰리프군은 수 천 명의 정규군과 수 만명의 게릴라 부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심가 군대는 두 가지 뚜렷한 세력으로 구성되었다. 하나는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인 부족 비정규군이고, 다른 하나는 오스만 제국의 아랍인 포로들로부터...
    도서 위키백과
  • 헤자즈 왕국 Kingdom of Hejaz, ヒジャーズ王国
    마크 샤케 장군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후세인 빈 알리 (1916년 6월 10일 ~ 1924년 10월 3일) 알리 빈 후세인 (1924년 10월 3일 ~ 1925년 12월 19일) 메카의 샤리프 하심가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 헤자즈 방언 토머스 에드워드 로런스 Cambridge 1979, S. 118. Bedeutung und Lebensfähigkeit (= Hamburgische...
    도서 위키백과
  •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Mandatory Palestine, イギリス委任統治領パレスチナ
    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위치한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1948년까지 영국이 통치하였고 동안은 트란스요르단으로 분리하여 히자즈에서 온 하심가 출신 왕족에게 자치권을 주어서 통치하였으며, 1946년에 트란스요르단은 요르단 하심 왕국으로 독립하였다. 1917년에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영국군과 오스만...
    도서 위키백과
  • 후세인 빈 압둘라 Hussein, Crown Prince of Jordan, フセイン・ビ..
    기술 대학과 다양한 과학 및 인도주의적 계획을 담당하는 왕세자 재단(Crown Prince Foundation)의 책임자이다. 2015년, 후세인은 20세의 나이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의의 최연소 의장이 되었다. 그는 2017년 샌드허스트를 졸업한 뒤 그해 9월 UN 총회에서 연설하며 글로벌 데뷔를 했다. 하심가 후세인 1세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Ibn Saud, アブドゥルアズィーズ・イブン・サウード
    함께 쿠웨이트로 망명하였다. 1902년 리야드를 탈환하여 네지드 지방을 차지했고 1921년 라시드가를 멸망시켜 네지드의 술탄이 되었다. 1925년 메카의 영주 하심가(家)의 후세인으로부터 메카를 포함한 히자즈 지방을 탈취하여 1926년 히자즈와 네지드의 왕이 되었음을 선포하였다. 1927년 제다 조약에 의해서 영국...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