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수처리 下水處理, sewage disposal
    가정이나 공장에서 쓰고 버린 물인 하수를 정화(淨化)하는 일.|하수처리의 기원은 바빌론과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근대적인 하수도는 19세기가 되어서야 서구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초기의 하수시설에서 강이나 개울의 물은 하수처리와 급수(給水)라는 양자의 목적으로 동시에 사용되었으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환경
  • 하수처리 下水處理, sewage treatment
    하수처리란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하는 하수를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수는 현탁성, 콜로이드성, 용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그 상태로 자연수역에 방류하면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수계전염병을 전파할 수 있다. 하수처리는 크게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 오니처리, 처...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환경
  • 하수처리 下水處理, sewage disposal
    하수하수관거로 수집하고 하천과 해역 등으로의 방류에 적합한 수질로 정화하는 것|하수처리에는 물리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처리들을 조합해서 하수처리라 한다. 하수처리의 기원은 바빌론과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근대적인 하수도는 19세기가 ...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하수 처리 下水處理, sewage treatment
    하수를 각종 방법에 의해 정화하고 무해화해서 방류하는 일. 처리방법을 대별하면 침전법, 고속 살수 여상법, 활성 오니법이 있으며 이들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을 적당히 조합한 방법이 취해진다. 또 하수에 포함되는 오니를 원심 분리, 동결 분리, 천화 건조 등에 의해 탈수, 건조시켜 처리하는 일도 하수 처리...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하폐수 처리 (관련어 하수 처리) Sewage treatment, 下水処理
    하폐수 처리는 생활하수 또는 산업폐수(이하 하폐수) 내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주로 물순환계에서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처리된 물을 재이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미생물의 대사과정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로 이 중에 가장 대표적인 공법이 활...
    도서 위키백과
  • 고도하수처리 高度下水處理, advanced wastewater ..
    수 있다. 일반적으로 1차처리는 단순한 처리공정으로 간단히 정화하는 공정이며 주로 물리적 처리공정으로 구성된다. 2차처리는 상수도와 하수도에서 보편적 처리기준이되므로 표준처리 또는 표준2차처리라고 불리며, 표준 2차하수처리는 특정한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생활하수 등의 유기물과 고형물의 제거를 목적...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1차 하수처리
    하수를 정화할 때 최초의 단계이며 경우에 따라서 하수처리의 전부가 되는 1차 처리는 부유하는 큰 덩어리의 오물과 고체 오물의 미립이 제거되는 것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1차 처리법은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하수통 또는 수채통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수통 또는 수채통은 다공성 바닥을 갖고 있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환경
  • 2차 하수처리
    이런 종류의 2차 처리법 중 가장 흔한 것은 슬러지를 미생물로 가득 채우거나 활성화시키는 '활성 슬러지법'(activated sludge method)이다. 1차 처리를 거친 후 하수는 활성-슬러지 탱크로 들어가 공기를 쐰다.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합성물은 물에 부유한 채로 남아 물과 함께 2차 침전 탱크로 들어간다. 그 탱크 바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환경
  • 3차 하수처리
    제거하여 자연계로 방출할 수 있고 공업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안전한 물을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다. 방사선 처리, 인공 못으로의 배출, 염소처리 등을 비롯한 상당수의 방법이 사용된다. 하수는 또한 활성탄으로 된 여과장치나 다공질의 규조토로 된 체를 통과한 후 화학약품으로 처리되어 하수 내에 용해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환경
  • 하수처리설비중앙제어원
    및 현재 작업상태 등에 이상이 없는지 감시한다. 수시로 시스템이 자동운전이 되고 있는지 무인카메라로 확인하며 유량값 등을 현장과 협의하여 조정한다. 매일 종합 가동일지를 출력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시스템설비의 유지를 위하여 현장 신호전송반 패널을 점검하고 하수처리장 컴퓨터 시스템, 데이터 등을 관리한다...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제어조작
    고용직업분류 :
    [8531]상·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
    표준직업분류 :
    [8810]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자격/면허 :
    수질관리기술사,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환경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E370]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조사연도 :
    202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하수처리장치조작원
    수행직무 처리설비의 처리능력 및 가동상황을 점검·확인하고 생물반응조의 미생물 농도를 확인한다. 하수의 유입구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가동상태를 확인하고 하수의 유입량을 점검한다. 펌프, 열교환기, 반응조, 침전장치, 농축조, 탈취장치 등에 부착된 각종 기록계기 및 산도계(pH meter)를 점검하여 정상가동 여부...
    교육수준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직무기능(자료) :
    비교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제어조작
    고용직업분류 :
    [8531]상·하수도 처리장치 조작원
    표준직업분류 :
    [8810]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자격/면허 :
    수질관리기술사,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환경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E370]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조사연도 :
    202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하수처리기술자
    수행직무 하수처리설비의 전기, 기계 및 계장 시설물을 유지·관리하면서 유입되는 하수를 침사지, 유입펌프장, 침전지, 포기조, 최종침전지 등을 거쳐 정화한다. 처리 관련 현장을 지도 및 감독하고 홍수에 대비하여 하수의 역류현상을 방지하고자 수방대책을 계획, 수립 및 실행한다. 유입하수와 방류하수의 생물학적...
    교육수준 :
    12년 초과 ~ 14년 이하(전문대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보통 작업
    작업장소 :
    실내·외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고용직업분류 :
    [1553]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371]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자격/면허 :
    수질관리기술사,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환경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E370]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조사연도 :
    202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하수처리
개인하수처리시설관리업
개인하수처리시설관리업 등록증
개인하수처리시설제조업 등록증
하수 종말 처리 시설의 바이오 가스로 버스가 달린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