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미얀마 Lower Myanma
    미얀마의 역사적·지리적 지역.|벵골 만과 안다만 해(상미얀마 맞은편)의 남부 해안과 삼각주 지역을 말한다. 페구를 중심으로 하는 몬 왕국의 영토였으나 1826, 1852년에 영국령 인도 정부로 넘어갔다. 영국의 통치하에서 빠른 발전을 이룩해 쌀을 생산·수출하는 중심지역이 되었다. 1948년 미얀마가 독립한 후에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하미얀마 Lower Myanmar, 下ビルマ
    하미얀마는 미얀마의 지리를 표현하는 용어중 하나이다. 이라와디강 삼각주와 바다와 맞닿아 있는 라아킨 주, 몬 주, 타닌타리 구 등도 포함된다. 버마어에서는 상미얀마 출신 사람들을 a-nya tha 라 칭한다. 역사적으로 하미얀마는 대영제국이 합병한 지역을 나타냈는데 1852년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이후로 복속된 ...
    도서 위키백과
  • 마우빈 Ma-ubin
    이라와디 강 주요지류의 서쪽 둔덕에 자리잡은 하항으로 홍수 조절을 위한 제방이 설치되어 있다. 동쪽으로 65㎞ 떨어진 양곤과 트완테 운하로 연결되며 디젤 발전소를 갖추고 있다. 주변지역은 대부분 이라와디 삼각주의 습지대로서 안다만 해를 따라 남부 해안선이 뻗어 있다. 쌀농사와 어업이 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
    위치 :
    미얀마 남부
    인구 :
    43,111명 (2014 추계)
    대륙 :
    아시아
    국가 :
    미얀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상미얀마 Upper Myanma
    1885년 영국령 인도에게 넘어갔던 중부와 북부 지방을 일컫는다. 해안지역은 하미얀마라고 부르는 반면, 상미얀마는 대략 아라칸 산맥의 비그늘지대에 자리잡은 건조지대에 해당되는 미얀마의 심장부를 말한다. 미얀마인들이 가장 먼저 자리잡고 살기 시작한 지역으로 오랜 시기에 걸쳐 미얀마 왕들의 관할 아래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상미얀마 Upper Myanmar, 上ビルマ
    현재의 만달레이와 인근 지역을 포괄한다. 더 넓게 말하면 카친 주와 샨 주를 포괄한다. 버마어에서는 상미얀마 추신 사람들을 a-nya tha이라 칭하는 반면 하미얀마 출신 사람들은 auk tha라 칭한다. 사실 처음에는 영국이 현재 미얀마의 중북부 지방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이름이다.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1852...
    도서 위키백과
  • 영국-미얀마 전쟁 Anglo-Burmese Wars
    요구했다. 영국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더이상 북쪽으로 진격하지는 않았다. 양측이 모두 곤경에 처하자 싸움은 간단히 끝났다. 영국은 이제 하미얀마 전체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미얀마 왕실의 공식적인 인정은 없었다. 민돈 민은 다시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응할 방도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는 행정개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타빈슈웨티 Tabinshwehti
    반 시와 모울메인 시를, 이듬해에는 프로메 시를 점령했다. 대부분의 남부 속국들과 연합하여 시암(지금의 타이) 접경지역의 타보이에 이르는 하미얀마를 지배했다. 하미얀마에 대한 전쟁이 매우 잔인하게 진행되었지만 타빈슈웨티는 몬족의 관습을 채택하고, 그들을 자신의 군대에 입대시켰으며, 1546년에는 고대 페구...
    출생 :
    1512, 미얀마 통구
    사망 :
    1550, 페구
    국적 :
    미얀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시아
  • 몬 왕국 Hanthawaddy kingdom, Mon kingdom
    푼자야는 푸난의 고대 캄보디아 왕국, 중국, 북부 말레이 왕국들과 유대를 맺고 있었다. 몬족은 또한 크메르 문화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몬족은 서쪽의 하미얀마로 이동한 후 실론 섬과 남부 인도에서 소승불교를 받아들여 국교로 삼았고 인도의 팔리 문자를 채택했다. 825년경 이들은 하미얀마에서 확고히 자리잡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바 잉와, Ava
    왕조를 계승한 샨족(族)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곳을 거점으로 샨족은 남쪽의 차욱세 관개지역에서 공급되는 쌀을 장악할 수 있었다. 차욱세 관개지역은 하미얀마의 전통적인 쌀 재배지역이 몬 왕국에 넘어간 뒤 매우 중요시되던 곳이다. 계속 번성하던 아바는 1527년 샨족에 대항하던 무리들에게 파괴되었으나 토웅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라칸 라카인 주, Arakan
    그와 강에 이르기까지 길고 좁게 뻗어 있다. 남북 길이는 640㎞ 정도이며, 폭은 가장 넓은 곳이 약 145㎞이다. 아라칸 산맥이 동쪽 경계를 이루기 때문에 하미얀마의 나머지 지역과는 어느 정도 고립되어 있다. 앞바다에는 체두바·람레 섬과 같은 꽤 큰 섬들이 여럿 있으며 나프·마유·칼라단·렘로 강이 흐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카렌족 Karen
    구성되어 있으며, 적카렌족은 브레족·파다웅족·인바우족·자예인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얀마 동남부 살윈 강 하류의 양쪽 기슭, 타이 접경지역, 하미얀마의 페구 산맥, 미얀마 남쪽 해안의 이라와디 강 삼각주 등에 사는 이들은 미얀마에서 2번째로 큰 소수민족이다. 1948년 미얀마가 독립한 후 카렌족으로 자처하는...
  • 카렌 Kayin, Karen
    벼농사가 이루어진다. 카렌족은 중국 티베트계 종족으로, 미얀마에서 2번째로 큰 인종집단이지만 다른 인종집단들에 비해 좀더 널리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 하미얀마 지방의 삼각주지대에서 살고 있으나 적지 않은 인구가 버마족·몬족과 함께 살고 있다. 1947년에 제정된 독립 미얀마의 헌법으로, 살윈 군과 인근의...
    위치 :
    미얀마 남부
    인구 :
    1,593,053명 (2017 추계)
    면적 :
    30,382.8㎢
    대륙 :
    아시아
    국가 :
    미얀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양곤(Yang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