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르덴베르크 Karl August, Fürst von Harde..
    프로이센의 정치가·행정가. Freiherr von Hardenberg라고도 함(~1814).|개요 나폴레옹 전쟁 때 프로이센 국가를 완전한 상태로 지켰다. 그는 국내에서는 슈타인 남작 카를이 도입한 개혁을 계속 추진했고, 외교 면에서는 프로이센이 프랑스와 맺고 있던 동맹 대신 1813년에 러시아와 동맹을 맺었으며, 1814~15년에는 ...
    출생 :
    1750. 5. 31,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기프호른 근처 에센로데
    사망 :
    1822. 11. 26, 이탈리아 제노바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후작 (관련어 하르덴베르크) Karl ..
    카를 아우구스트 폰 하르덴베르크 후작는 프로이센의 정치가이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재상의 자리에 올라 무기력했던 군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보좌하여 프로이센 왕국을 지켜냈다. 1770년 하노버 선제후령에서 하노버 선제후이자 영국의 군주였던 조지 3세 막하에서 법무부 고문관으로 관료생활을 시작했다. 그...
    도서 위키백과
  • 나폴레옹 전쟁의 영향
    회복하려 했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1805년과 1806년의 패배는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재앙이었기 때문이다. 프로이센은 슈타인(Karl von Stein)과 하르덴베르크(Karl August von Hardenberg)의 지휘 아래 역사상 유례없는 중앙집권국가 건설이 진행되었다. 북쪽에 위치한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와는 달리 상부의...
  • 노발리스 Novalis, ノヴァーリス
    작가 정보 노발리스는 독일의 시인이자 철학자이다. "노발리스"는 필명으로, 그의 본명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하르덴베르크 남작이다. 그의 작품들은 초기 낭만주의의 대표적 작품으로 평가된다. 노발리스는 북부 독일의 유서 깊은 귀족 집안 출신이다. 작센 주에 있는 영지 오버비더슈테트의 성에서 태어나 유년기...
    도서 위키백과
  • 슈타인 (Heinrich Friedrich) Karl, Reichsfreiherr vom..
    이익으로 생각하게 되리라고 기대했다. 프로이센의 팔다리를 잘라낸 틸지트 강화조약에 따라,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나폴레옹의 요구대로 카를 폰 하르덴베르크를 장관직에서 해임할 수밖에 없었다. 이어서 왕은 나폴레옹의 권고대로 슈타인에게 새 총리직을 맡겼다. 1807년 9월 30일 메멜에 도착한 그와 왕은 몇...
    출생 :
    1757. 10. 26, 나사우(지금의 독일에 있음) 나사우안데어란
    사망 :
    1831. 6. 29, 베스트팔렌 슐로스카펜베르크
    국적 :
    프로이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프랑스 혁명 시대의 프로이센
    대한 여러 가지 조치가 취해졌으며, 중앙 정부도 개편되었다. 슈타인은 나폴레옹의 명령으로 1808년 11월 해임당했지만, 그뒤에도 개혁작업은 카를 폰 하르덴베르크의 주도 아래 1810년부터 다시 시작되었다. 한편 나폴레옹이 유럽을 지배하게 되자 민족주의 감정이 크게 치솟았다. 프로이센의 민족주의 기운도 다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Friedrich Wilhelm III
    참패하고 엘베 강 서쪽 지방을 모두 잃게 되자, 그는 마침내 프로이센이 결정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카를 슈타인과 카를 폰 하르덴베르크 등 프로이센 정치가들이 제안한 개혁을 재가했으나, 이것은 고급 관료정치의 개혁이었을 뿐 왕의 특권에 대한 개혁은 아니었다. 왕은 개혁이 '자코뱅주의...
    출생 :
    1770. 8. 3, 프로이센 포츠담
    사망 :
    1840. 6. 7, 베를린
    국적 :
    프로이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예나 낭만파 Jena Romanticism
    자신의 타고난 성향을 따르는 천재의 권리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문학 집단의 가장 위대한 창조적 업적은 프리드리히 레오폴트 폰 하르덴베르크의 서정시와 단편적인 소설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와 프리드리히 폰 셸링의 저작은 철학 속에서 낭만주의 원칙을 설명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콩스탕 Henri-Benjamin Constant de Rebecque, Benjamin..
    붉은 공책 Cahier Rouge〉(1907)에 실렸던 자화상을 삽화로 하여 1952년에는 〈내면일기 Journaux intimes〉가 처음으로 완간되었다. 1808년 샤를로테 폰 하르덴베르크와 비밀리에 결혼했으나 스탈 부인이나 코페에 있는 친구들과의 지적인 교류는 깨지지 않고 계속되었다. 자유주의자였던 그는 부르봉 왕조가 복고한 데...
    출생 :
    1767. 10. 25, 스위스 로잔
    사망 :
    1830. 12. 8,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작가
  • 니부어 Barthold Georg Niebuhr
    총리인 슈타인 남작의 부탁을 받고, 프로이센에 가서 덴마크에서 지녔던 것과 유사한 직책을 맡았다. 그러나 슈타인이 물러난(1808) 2년 뒤 총리 하르덴베르크의 정책에 반대해 직책을 사임하고 국가사료편찬위원이 되었다. 동시에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됨으로써 새로 설립한 베를린대학에서 강의할 자격을...
    출생 :
    1776. 8. 27, 덴마크 코펜하겐
    사망 :
    1831. 1. 31, 프로이센 본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18세기 낭만주의와 독일문학
    전기 낭만파의 주요 이론가는 슐레겔 형제(아우구스트와 프리드리히)였고, 주도적 작가는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 루트비히 티크, 노발리스(프리드리히 폰 하르덴베르크) 등이었다. 바켄로더는 예나 낭만파의 첫번째 주요작인 〈예술을 사랑하는 어느 수도승의 심정 토로 Herzensergiessungen eines kunstliebenden...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일 , 문학
  • 베른스도르프 Christian Günther, Greve af Bernstorff
    1814년 5월 파리 조약에 서명했으며 덴마크 대표단을 이끌고 빈 회의에 참석했다. 1816년 베를린 주재 대사로 임명된 베른스도르프는 1818년 하르덴베르크 대공의 권유로 프로이센 외무부에서 일하게 된다. 베른스도르프는 1818년 10월 엑스라샤펠 회담에 참석했고 베를린으로 귀환할 무렵에는 외무장관이 되어 있었다...
    출생 :
    1769. 4. 3, 덴마크 코펜하겐
    사망 :
    1835. 3. 28, 독일 베를린
    국적 :
    덴마크·프로이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